본문 바로가기
조절T세포(Treg) 엔지니어링 치료제를 개발하는 코리젠(CoRegen)이 9339만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며 임상단계 진입 준비에 나선다. 코리젠은 Treg에서 발현하는 SRC-3(steroid receptor coactivator-3)를 핵심 타깃으로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SRC-3는 Treg 세포의 면역억제 기능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보조활성자로 '분자내분비학의 창시자(f...
애브비(AbbVie)가 계약금 7억달러를 본격 베팅하며 아이크노스 글렌마크 이노베이션(...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가 개발하는 ‘델파졸리드(de...
비원메디슨(BeOne Medicines, 前베이진)은 best-in-class로 만든 ...
일라이릴리(Eli Lilly)가 회사의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키순라(Kisunl...
퓨쳐켐,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 국내 3상 “최종결과”
에이비엘, 인투셀 'TOP1 ADC' 계약해지.."특허이슈"
노바티스, 시로낙스와 'BBB플랫폼' 1.75억弗 옵션딜
머크, 'COPD 치료제' 英베로나파마 "100억弗 인수"
브릿지바이오. '파라택시스 코리아'로 사명변경
미국 머크(MSD)가 영국의 베로나파마(Verona Pharma)를 100억달러에 전격 인수한다. 머크는 베로나 인수를 통해, 블록버스터 잠재력으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시판 치료제 ‘오투베어(Ohtuvayre, ensifentrine)’를 확보하게 된다. 머크는 오투베어가 점차 성장하고 있는 회사의 심혈관폐질환(cardio-pulmonary) 파이프라인을 잘 보완해주며, 앞으로 10년간의 장기적인 성장을 이끌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베로나파마 인수딜은 지난 2023년 머크가 면역질환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인비보(in vivo) CAR-T 회사를 아예 사들인 이유가 있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불과 4개월전 단일환자 데이터를 보고 총 10억달러를 베팅해 인수한 자회사 에소바이오텍(EsoBiotec)이 BCMA 타깃 인비보 CAR-T ‘ESO-T01’의 추가 데이터를 공개했다. ESO-T01 투여한 다발성골수종(MM) 환자 4명 모두에게서 부분반응(partial response, PR) 이상을 확인했고, 특히 먼저 투여받은 환자 2명은 완전반응(complete response, CR)으로 병변이 사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가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발주자로서 ‘LCB14(IKS014, FS-1502; caxmotabart entudotin)’의 개발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초기 미국 임상1상 결과가 도출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는 파트너사 포순파마(Fosun Pharma)가 진행하는 중국 임상 결과만 있었고, 현재 중국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다. 초기 결과로 이전 ‘엔허투(Enhertu, T-DXd)’를 투여받았던 환자 5명에게 LCB14 중간용량(90mg/m^2) 이상 투여시 4
모더나(Moderna)는 지난 10일(현지시간) mRNA 코로나19백신 ‘스파이크박스(Spikevax, mRNA-1273)’가 감염 위험이 높은 6개월~11세 소아를 대상으로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모더나는 앞서 지난 2022년 1월 스파이크박스를 18세 이상을 대상으로 첫 FDA 정식승인을 받은 이후 같은해 6월부터 6개월에서 17세 사이의 어린이와 청소년 대상으로 긴급사용승인(EUA)을 받은 바 있다. 가장 최근에는 지난해 8월 KP.2 변종(variant)을 타깃하는 업데이트된 스파이크박스(2
비보존제약(Vivozon Pharmaceutical)은 지난 10일 서울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의 출정식을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산 38호 신약 '어나프라주(Unafra, 성분명: opiranserin)의 출시를 기념하는 자리로, 이날 행사에는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전영태 대한마취통증의학회 회장을 비롯해 임직원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어나프라주는 수술 후 중등도에서 중증의 급성통증 조절에 사용하는 비마약성 진통 주사제로,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허가를 받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는 동아쏘시오그룹의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 기업인 앱티스(AbTis)와 차세대 ADC 툴박스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앱티스의 '앱클릭(AbClick®)' 기술과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시러큐스 시설 내 컨쥬게이션(Conjugation) 생산 서비스를 연계하여 공동 마케팅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롯데바이오로직스의 ADC 툴박스(Toolbox) 범위를 확장하는 등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의 ADC 관련 신약개발 및 위탁생산(CD
GC지놈(GC Genome)은 자사의 인공지능(AI) 기반 다중암 조기진단 검사 ‘아이캔서치(ai-CANCERCH)’의 조기 췌장암 예측 성능을 확인한 임상연구 결과가 아시아종양학회(Asian Oncology Society 2025)에서 발표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아이캔서치’의 핵심기술인 FEMS(Fragment End Motif frequency by Size)기반으로, 혈액 내 세포유리 DNA(cfDNA) 구조적 특성과 췌장암 혈액 바이오마커 ‘CA19-9’를 함께 분석한 멀티모달 스태킹 모델을 통해 조기단계 췌
퓨쳐켐(FutureChem)은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전립선암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후보물질 ‘[18F]플로라스타민([18F]florastamin, FC303)’의 신약허가를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적응증은 △확증적 치료가 필요한 초기 전립선암 환자에서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 △전립선암 치료후 국소적인 재발 또는 진행성 재발이 의심되는 경우 등 2가지다. 퓨쳐켐은 지난 9일 FC303으로 진행한 2건의 임상3상 결과를 공시했으며, 이후 하루만에 해당 임상결과에 기반해 이번 허가신청서를 제출했다. 회사는 해외 임상 데이터를 추가로 확보
아이젠사이언스(AIGEN Sciences)는 10일 영국 소재의 플록(FLock.io)과 연합학습 기반 인공지능(AI) 신약개발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제약 및 의료 기관들은 민감한 데이터를 이동하거나 노출하지 않고도 공동으로 AI모델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목표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번 MOU에 따라 플록의 온체인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 인프라를 아이젠사이언스의 대규모언어모델(LLM) 기반 신약개발 엔진에 연동한다. 이를 통해 병원과 연구기
동아에스티(Dong-A ST)의 관계사 메타비아(MetaVia)는 10일 비만치료제로 개발 중인 GLP-1/GCG 이중작용제 ‘DA-1726’의 최대내약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 탐색을 위해 임상1상의 추가코호트 평가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메타비아는 비만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중인 임상1상 파트2에서 DA-1726 48mg 용량 코호트를 추가로 평가하기 위해 지난 9일 첫 환자에게 투약했다. 메타비아는 올해 4분기에 DA-1726 48mg 코호트에 대한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평가를 통
HLB생명과학(HLB LifeScience)은 경기 화성시 라마다동탄호텔에서 개최된 임시 주주총회에서 HLB와의 '합병 계약서 승인의 건'이 가결됐다고 10일 공시했다. 이날 열린 임시주총에는 전체 보통주 발행량의 34%가 표결에 참여했고, 이 중 97% 이상이 합병에 찬성의사를 표명했다. HLB생명과학은 이번달 30일까지 주식매수청구권 기간을 거쳐 합병 기일인 오는 9월1일 합병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합병을 통해 HLB그룹은 HLB와 HLB생명과학의 신약개발 및 헬스케어 사업을 통합해 재무적 이점과 경영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
프리시젼바이오(Precision Biosensor)는 지난달말 일본 니프로(NIPRO)와 동물용 임상화학제품 ‘Exdia PT10V’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프리시젼은 이번 계약을 통해 니프로가 보유한 네트워크역량을 기반으로 일본 내 동물병원에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번 계약은 니프로와의 두번째 파트너십이다. 양사는 지난해 12월 인체용 임상화학제품 'Exdia PT10'의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해당 제품의 분석장비와 전용시약은 지난 4일 각각 'Atlyze®', 'AtPanel®'이라는 브랜드로 일본
동국생명과학(Dongkook Lifescience)은 10일 의약품 생산역량 강화를 위한 신규 시설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170억원 규모이다. 동국생명과학은 생산능력(capacity, CAPA) 증대 및 제품 다양성 확보 등 사업확장을 위한 목적으로 안성공장의 신규라인을 증설한다. 기존 219만 바이알(vial) 생산에서 최대 CAPA를 기준으로 생산능력을 3배 이상 높이고, 저용량(5ml)부터 대용량(500ml)까지 다양한 제형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진행할 계획이다. 공시에 따르면 투자금 170억원에는 생산설비와
전체 기사보기
애브비, '본격화' BCMAxCD38xCD3 "19억弗 사들여"
리가켐, '델파졸리드' 결핵약 안전성 개선 "란셋 게재"
비원, ‘분해약물’ 공격적 베팅..”파이프라인 23개 공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