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가모(Sangamo)가 겸상적혈구증(SCD)에 대한 BCL11A 타깃 징크핑거(ZFN) 유전자편집 치료제 후보물질 ‘BIVV003(SAR445136)’의 임상 1/2상에서 태아혈색소(HbF, Hemoglobin F)를 1.4~10.6%에서 12.2%~41.2%로 높인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BIVV003은 사노피(Sanofi)가 동종유래(autologous) 기반 약물에 집중하기 위해 상가모에 올해 1월 기술반환한 약물로, 현재 상가모가 직접 개발을 진행 중이다. 현재 유전자편집 기술을 이용한 겸상적혈구증 치료제 경쟁에서 가장
셀트리온(Celltrion)은 13일 미국 혈액학회(ASH 2022)에서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CT-P10)’의 국내 시판후 임상시험(Post-marketing Surveillance, PMS)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ASH 2022는 이달 10~13일 미국 루이지애나주에서 열렸으며, 셀트리온은 12일(현지시간) 포스터 발표를 통해 트룩시마의 임상 결과를 공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지난 2016년 11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4년의 조사시간 동안 국내에서 트룩시마를 투약한
파노로스 바이오사이언스(Panolos Bioscience)는 13일 중국 켈룬제약 자회사 켈룬바이오텍(Kelun-Biotech)과 이중표적 면역항암제 ‘PKB01’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파노로스는 자사의 다중특이적 약물생성 플랫폼 ‘αART(Anti-angiogenesis-based Artifact Re-targeting Tri-specifics platform)' 기술을 켈룬바이오텍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약물 활성부위에 적용한 ‘PKB01’을 개발한다. 켈룬바이오텍은 자체개발한 면역관문억제제를 파노로
리제네론(Regeneron)이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DLBCL) 환자를 대상으로 CD20XCD3 이중항체 ‘오드로넥스타맙(Odronextamab)’을 투여한 임상2상에서 전체반응률(ORR) 49%, 완전관해율(CR) 31%의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그러나 5명의 환자가 사망한 사실이 확인되면서 그동안 오드로넥스타맙 투여와 관련돼왔던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한 결과였다. 리제네론은 지난 202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3등급 이상의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RS) 발생률 문제로 리제네론이 오드로넥스타맙의 효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13일 미국 혈액학회(ASH 2022)에서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SB12’의 추가 통계분석을 통해 오리지널의약품과 동등성을 충족시킨 견실성(Robustness) 데이터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SB12는 미국 알렉시온(Alexion)이 개발한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비정형용혈성요독증후군(aHUS) 등 난치성 희귀질환 치료제인 솔리리스(Soliris)의 바이오시밀러다. 현재 현재 국내와 유럽에서 판매허가 심사가 진행 중이다. 발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2019
혈액암 가운데서도 가장 경쟁이 치열한 BCMA 분야에서 ‘예외적으로’ 빠져있던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가 다시 BCMA CAR-T를 손에 쥐었다. 길리어드 자회사 카이트(Kite)는 미국 혈액암학회(ASH 2022)에서 아셀엑스(Arcellx)의 ‘CART-ddBCMA’의 임상1상 결과가 공개되기 바로 이틀전인 9일(현지시간), 지분투자 1억달러를 포함한 계약금 3억2500만달러를 주고 이를 사들였다. 길리어드는 3년전 카이트 인수를 통해 확보한 BCMA CAR-T ‘KITE-585’이 경쟁약물 대비 낮은
순환종양세포(CTC) 기반 액체생검 개발기업인 싸이토젠(Cytogen)이 미국 현지 실험실표준 인증연구실(CLIA LAB) 확보를 목적으로 엑스퍼톡스(ExperTox)와 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싸이토젠은 엑스퍼톡스의 지분 100%에 해당하는 발행주식 100만주를 730만달러(96억3892만원)에 취득하게 된다. 취득 예정일자는 오는 16일이며, 이에 앞서 9일 이사회에서 인수 결정을 내렸다. 엑스퍼톡스는 진단사업을 통해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내 100여개 이상의 병원, 연구소와 거래하고 있다. 엑스퍼톡스는 1996년
사노피(Sanofi)가 레볼루션(Revolution Medicines)에 SHP2 저해제의 권리를 반환한다. SHP2 저해제는 사노피가 지난 2018년 레볼루션으로부터 계약금 5000만달러를 포함해 총 5억5000만달러에 사들인 약물이다. 레볼루션은 지난 7일(현지시간) 사노피로부터 SHP2 저해제 ‘RMC-4630’의 개발 및 상업화 협력계약 종료를 통지받았다고 밝혔다. 협력계약 종료에 따라 레볼루션은 사노피가 가졌던 RMC-4630에 대한 모든 글로벌 권리를 반환받게 된다. 사노피는 파이프라인 개발 우선순위에 따라 RMC-46
목암생명과학연구소가 기존 경기도 용인시에서 서울시 서초구로 연구소를 이전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새롭게 자리잡은 서울시 서초구 M11 빌딩은 인공지능 관련 업체가 집중돼 있는 강남 및 판교 일대와 가까워 해당 분야의 우수 인력 모집이 용이하다고 목암측은 설명했다. 목암연구소 관계자는 “인공지능 기반의 신약개발은 다양한 학문 영역을 융합하는 분야이고 전세계적으로도 대세가 되는 분야인 만큼 연구에 매진할 우수 인재를 발견하고 육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며 “연구소 이전을 발판 삼아 우수한 연구 인력을 확보하고 사업 능력을 강화해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13일 권세창 대표이사가 이번달 9일자로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한다고 공시했다. 각자대표 체제에서 우종수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된다. 권 대표(사장)와 함께 한미약품 R&D를 이끈 이관순 부회장도 12일 부회장직에서 퇴임하고 고문으로 위촉됐다. 이 고문도 한미 R&D부문 사업을 조언하면서 현재 맡고 있는 임성기재단 이사장 역할에 충실할 계획이다. 권 대표 퇴임에 대해 한미약품은 “창립 50주년을 맞는 2023년 새로운 R&D 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결단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권 고문은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파킨슨병 후보물질 ‘ABL301(α-SynxIGF1R)’의 미국 임상1상에 들어간다. 다만 고용량 투여군은 부분보류(partial hold) 조치를 통지받았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ABL301에 대한 미국 임상1상 IND 결과 부분보류 조치를 받았다고 지난 12일 공시했다. 부분보류란 임상시험계획서(IND)에 제출한 임상은 진행하되, 특정 프로토콜·파트에 대해서는 지연되거나 중단됨을 의미한다. 이번 조치는 에이비엘바이오가 지난 10월 첫번째로 제출한 ABL301의 임상1
바이오노트는 12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최종공모가를 9000원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수요예측에는 국내외 237개 기관이 참여했다. 당초 바이오노트의 희망 공모가밴드는 1만8000~2만2000원으로 공모를 통해 최대 2860억원을 조달할 예정이었으나, 공모가 하향조정으로 공모금액은 공모금액은 936억원으로 축소됐다. 상장 후 시가총액은 9170억원수준이다. 바이오노트는 13~14일 청약을 거쳐 오는 22일 코스피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이다. 바이오노트는 유전자재
아피메드(Affimed)가 치료옵션이 제한적인 CD30 양성 재발성/불응성 호지킨·비호지킨성림프종(r/r HL·NHL) 환자에게서 NK세포 인게이저(NK cell engager)와 동종유래 제대혈 NK세포(cord blood-derived NK)를 병용투여(precomplexed)한 결과 전체반응률(ORR) 97%, 완전관해(CR) 77%의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특히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은 기존에 7번(중앙값)이상 치료받았음에도 높은 반응률을 보였으며, 사이토카인방출증후군(CRS), 신경독성(ICANS), 이식편대숙주병(GvH
아브로바이오(AVROBIO)가 GBA 유전자치료제 ‘AVR-RD-02’로 진행한 고셔병(Gaucher Disease) 임상 1/2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내놨다. 아브로는 AVR-RD-02 투여결과 3형 고셔병(GD3) 환자에서 고셔병과 관련된 주요 수치를 개선했고, 1형 고셔병(GD1) 환자에서 기존 표준치료법인 효소대체요법(ERT) 요구수치 아래로 환자의 간과 비장 부피가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고셔병은 GBA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가수분해효소인 GCase(glucocerebrosidase) 활성이 결핍되면서 나타나는 희귀 리소좀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아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CD33-GSPT1 분해약물 ‘ORM-6151’에 대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첫 발표했다. ORM-6151 전임상 결과는 10일부터 13일까지(현지시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혈액암학회(ASH 2022)에서 10일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됐다. 오름은 내년 상반기 AML 환자 대상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을 목표로 ORM-6151의 전임상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는 지난달 유방암 대상 임상1상을 시작한 HER2 항체
RNA 치료제 플랫폼기업 올리패스(Olipass)는 지난 9일 이사회에서 전환우선주(CPS) 30억원을 제3자배정 방식으로 발행하기로 결의했다고 12일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전환우선주 증자의 납입일은 12월 19일이며 발행가는 주당 4715원이다. 발행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시점부터 보통주로 전환이 가능하다. 올리패스 관계자는 “이번 증자는 내년 봄으로 예정된 비마약성 진통제 임상2a상 2단계 1차 중간분석 결과 확인 등 회사의 주요 단기마일스톤을 감안해 제한적인 금액으로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올리패스는 호주에서 관
[인사]셀트리온 그룹, 임원 승진 인사
종근당, 시나픽스 'ADC 플랫폼' 1.32억弗 L/I 딜
노바티스 '직접 선별', “초기 단계 유망에셋 5개는?”
큐리언트, TB얼라이언스에 결핵신약 ‘텔라세벡’ L/O
HLB그룹, 피에스엠씨 300억 인수..”CAR-T 개발지원”
인세리브로, ‘AI+분자모델링’ 신약개발 “남다른 이유”
노바티스 '직접 선별', “초기단계 유망에셋 5개는?”
IMBiologics unveils next-generation IgM platform aiming new concept of immune cell engager
메드팩토, 박남철 부사장 영입
[새책]『암 유전체학 노트 -암과 유전자, 싱글셀 분석』
[새책]'과학'과 '전략'으로 살펴본 『키트루다 스토리』
한미약품, 5년 연속 원외처방 1위.."100억이상 18종"
HLB생과, ‘리보세라닙’ 선낭암 “국내 조건부허가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