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가 혁신적인 신약개발을 통한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단기적으로 내분비∙당뇨, 소화기, 근골격계를 중심으로 전문의약품(ETC) 개발과 도입에 나설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중장기적으로는 종양 및 면역∙퇴행성 질환을 타깃으로 신약개발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다. 동아에스티는 이와 관련, 단백질 분해 플랫폼 기술인 프로탁(PROTAC)을 이용해서 표적항암제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으며,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로부터 이중융합항체 기전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을 도입해
유바이오로직스(Eubiologics)는 21일 러시아 바이오텍에 수막구균 4가백신 후보물질 ‘EuMCV4주’에 대한 총 1000만달러(한화 132억원) 규모의 GFA(General Frame Agreement)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유바이오로직스는 완제의약품 기술이전과 원료의약품 기술이전 등 2단계로 나눠 기술이전을 진행한다. 이 업체는 러시아 및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등 CIS 국가에서 EuMCV4주의 개발 및 판권을 가진다. 먼저 유바이오로직스는 1단계인 완제의약품 기술이전에서
비씨켐(BiSiChem)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는 RIPK1 저해제 ‘BSC-1300’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3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의 ‘후보물질단계 개발부문’에 신규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비씨켐은 향후 2년간 연구비를 지원받아 BSC-1300의 임상 후보물질 도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BSC는 RIPK1을 저해하는 항염증성 기전의 저분자화합물이다. 비씨켐은 BSC-1300을 건선, 류마티스관절염, 궤양성대장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비씨켐은
스카이랩스(SkyLabs)는 22일 시리즈C로 207억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누적 투자금액은 548억원 규모다. 이번 투자에는 한국산업은행(KDB)와 K2인베스트먼트파트너스, 데브시스터즈벤처스, 에스제이지파트너스, 오픈워터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회사에 따르면 스카이랩스의 ‘카트 BP(CART BP)’는 기존의 팔 압박형 측정방식이 아닌 반지형 커프리스 연속혈압측정기로 24시간 연속 혈압측정과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시간대별 다양한 혈압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물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운동,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지난 18일 태국 식품의약청(FDA)으로부터 URAT1 저해제인 ‘에파미뉴라드(epaminurad, URC102)’의 통풍 임상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에파미뉴라드가 해외에서 임상3상 IND를 승인받은 것은 지난달 대만에 이어 두번째다. JW중외제약은 한국을 비롯한 대만,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5개국에서 총 588명의 통풍 환자를 대상으로 에파미뉴라드 임상3상을 진행하기 위해 각국에 IND를 신청했다. 현재 한국과 대만, 태국에서 I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코스닥시장 상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와이바이오로직스의 상장예비심사를 승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내달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연내 코스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유안타증권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올해 1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에서 두 곳의 평가기관 기술보증기금, 이크레더블으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받아 심사를 통과한 바 있다. 와이바이오로직
유바이오로직스(Eubiologics)는 21일 유니세프로부터 1240억원 규모의 2024년 경구용 콜레라 백신 납품요청서(Award letter)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유니세프로부터 요청받은 내년도 물량은 총 4933만 도즈로 확정됐으며 금액으로는 9900만달러(한화 1240억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콜레라 백신 매출 512억원 대비 2.4배이상으로 내년에는 사상 최대 매출실적을 기대할 수 있게됐다. 유바이오로직스는 본계약 체결 이후 내년 1월부터 확정된 제품발주에 따라 콜레라 백신을 납품할 예정이다. 유바이오로직스는 20
팬토믹스(Phantomics)는 심장돌연사를 유발하는 심혈관질환 치료 골든타임을 놓이지 않기 위해 인공지능(AI) 솔루션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심장 MRI와 CT 영상을 분석할 수 있는 AI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심장돌연사 진단 AI솔루션 ‘마이오믹스(Myomics)’는 지난해 국내 허가를 받아 병원에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급성 신근경색 환자 분류 솔루션 ‘엔지오믹스(Angiomics)’는 다음달 국내 허가를 기대하고 있다. 김판기 팬토믹스 대표는 지난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BIC 스타데이' IR행사에서 "마이오
이노큐어테라퓨틱스(InnoCure Therapeutics)는 비소세포폐암을 타깃하는 비임상 단계 cMET 표적 분해약물(degrader)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신약생태계 R&D 구축사업’ 과제에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에 따라 이노큐어는 최종후보물질을 도출후 임상개발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비소세포폐암에서 cMET 엑손14 스키핑(exon 14 skipping mutation) 변이를 타깃하는 치료제가 시판돼 있으나, 또다른 타입은 cMET 증폭 및 과발
유빅스테라퓨틱스(Ubix Therapeutics)는 21일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을 적응증으로 하는 안드로겐 수용체(Androgen Receptor, AR) 분해제 후보물질 ‘UBX-103’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2023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비임상 과제로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유빅스테라퓨틱스는 오는 2025년 5월까지 2년동안 개발비를 지원받아 UBX-103에 대한 GLP 독성시험, 비임상/임상 시험용 원료 및 완제생산을 수행하고, 2025년 상반기에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할 계획이다. UBX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글로벌 수주 확대 총력을 위해 세계적 권위의 바이오산업 컨퍼런스인 '2023 바이오프로세스 인터내셔널(BioProcess International, BPI)'에 참가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컨퍼런스는 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 분석 등 모든 영역에 걸쳐 최신 기술 공유하고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글로벌 행사로, 미국 보스턴에서 18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개최됐다. 행사 기간에는 전세계 200개 이상의 기업이 전시부스를 마련한 가운데 2700여명 이상의 글로벌 바이오 전문가들이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유방암 치료반응 예측 연구결과가 네이처의 자매지인 NPJ Breast Cancer(IF 5.9)에 게재됐다고 21일 밝혔다. 종양침투림프구(Tumor-Infiltrating Lymphocyte, TIL)의 침윤 정도는 유방암 환자의 예후와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척도 가운데 하나다. TIL은 여러 유방암 타입에 걸쳐 관찰되며, 특히 삼중음성유방암(TNBC)와 HER2 양성 유방암에서 호르몬수용체(HR) 양성 유방암보다 TIL이 더 많이
코스닥 상장사인 HLB가 코스피 시장으로의 이전상장을 본격화하고 있다. HLB는 20일 공시를 통해 코스피 이전상장을 위한 주관사로 한국투자증권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HLB는 지난달 24일 코스피 이전상장을 검토중이라는 보도와 관련, ‘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해명’ 공시를 통해 “코스피 이전 상장에 대한 장단점을 검토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사항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이달 22일까지 공시하게 돼 있었다. HLB는 그동안 주주간담회, 공지 등을 통해 코스피 이전상장에 대한 고민을 내비친 바
SK㈜의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 SK팜테코(SK pharmteco)가 미국 세포·유전자치료제(CGT) CDMO인 CBM(The Center for Breakthrough Medicines)의 경영권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SK팜테코는 지난해 1월 미국내 바이오 사업 강화를 위해 CBM에 3억5000만달러(약 4200억원)를 투자했으며, 당시 확보한 추가 투자권리를 이번에 행사해 1대주주로 올라서면서 경영권을 확보했다. 회사측은 이번에 투자한 금액 등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SK팜테코는 CBM 인수로
카카오헬스케어(Kakaohealthcare)는 20일 아이센스(isens)와 연속혈당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공급 및 데이터 연동 기반 혈당관리서비스 협력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헬스케어와 아이센스는 올해 1월 만성질환 관리 사업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카카오헬스케어의 플랫폼 및 인공지능 역량과 아이센스의 연속혈당측정기 등 바이오센서 전문성을 결합하여 혁신적인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계약에는 아이센스
알테오젠(Alteogen)은 특허법인으로부터 ‘FOLR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그의 용도’에 관한 미국 특허등록 결정을 수신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지난 2019년 PCT 출원을 했다. 알테오젠은 아미노산 치환을 통해 기존에 사용되던 항체에 비해 더 우수한 결합능력을 갖는 항체를 개발했으며, 이에 대한 미국 특허등록 결정을 받은 것이다. 해당 발명을 활용한 ADC는 더 효과적으로 타깃을 표적하고, 치료효과가 생길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이번 특허 내용과 관계된 FORL1(Folate receptor al
로슈, 펩티드림과 '펩타이드-방사성접합' 10.4억弗 딜
이뮤노젠, ‘엘라히어’ 이을 'FRα-ADC' 3가지 "개선점"
“ADC 비만신약?” 리제네론, ‘GLP-1’ 타깃 ‘ATL’ 소개
피노바이오, ‘ADCaptain’ 페이로드 "KDDF 과제선정"
디파이브, 합성치사 'TLS 저해제' “KDDF 과제선정”
레고켐, 中컨퍼런스서 ‘ADC 플랫폼∙에셋’ 차별성 소개
AZ, ‘TROP2 ADC’ HR+HER2- 유방암 3상 “PFS 개선”
큐라움, 시리즈B 106억 유치..”수면질환 치료기기”
ImmunAbs, developing a novel C5 antibody for complement-associated autoimmunity
이뮨앱스, 신규 ‘C5 항체’ ”보체 자가면역 신약개발”
랩지노믹스, 美법인 CFO로 한우민 이사 선임
차바이오텍 美마티카, 임원 2명 영입..“수주역량 강화”
'오픈이노베이션' 유한 "전략적투자 배제, 에셋L/I 선회"
韓CEO, 글로벌 유망 ‘ADC∙CGT’ 선정.."국내는 저분자"
셀렌진, '안전성↑' 췌장암 "메소텔린 CAR-T 개발"
바이젠셀, NK/T세포림프종 2상 “환자투약 완료”
‘의료용 대마’ 네오켄바이오, 시리즈B 100억 투자유치
셀트리온, 고농도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日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