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자체 다중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Multi-AbKine’) 기술 기반 차세대 면역항암제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의 ‘2025년도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사업 바이오 특화단지 지원과제’에 선정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PD-1을 포함한 두 개의 면역관문 타깃을 동시에 차단하는 이중항체에 사이토카인을 융합한 혁신 물질의 제조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향후 4년6개월간 정부로부터 총 58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와이바이오는 이번 과제를 통해 키트루다 등 PD-(L)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국내 제약사중 처음으로 독자 기술로 개발한 GLP-1 비만 신약(에페글레나타이드)의 이름을 의사들을 대상으로 공모한다. 한미약품은 내년 하반기 출시를 앞둔 GLP-1 비만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의 제품명을 정하기 위한 네이밍 공모전을 진행한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자사의 의료 전문 포털 HMP(Health & Medical Platform)에 가입된 전국의 의사 고객을 대상으로 오는 16일까지 진행된다. 대한민국 의사라면 누구나 HMP(www.h
펠레메드(PeLeMed)가 차세대 FLT3 저해제로 진행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전임상에서 1차 표준치료제(SoC)인 BCL-2 저해제 ‘베네토클락스(venetoclax, 제품명: 벤클렉스타)’ 저항성 모델을 대상으로 경쟁약물과 비교해 더 높은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내놨다. 펠레메드는 회사의 FLT3 저해제인 ‘PLM-102’에 대해 지난해 재발성 혹은 불응성 AML 적응증에 대한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국내와 미국에서 승인받은 바 있다. 현재 우선적인 적응증으로 개발중인 재발성 AML에 이어, 이번 전임상 결과를 통
유빅스테라퓨틱스(Ubix Therapeutics)가 네오이뮨텍(NeoImmuneTech)과 공동개발중인 HPK1 타깃 표적단백질분해(TPD) 약물의 초기 비임상 결과를 공개했다. 두 회사는 주로 저해제로 개발이 시도되고 있는 면역항암제(IO) 타깃인 HPK1에 대해 TPD 모달리티를 적용해 효능, 지속성 등을 향상시키는 전략으로 프로그램을 진행중이다. 네오이뮨텍은 지난 2020년 유빅스와 TPD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인(L/I) 딜을 체결했다. 회사는 이번 결과에서 HPK1 저해제와 비교해 더 높은 저해효능 및 T세포 활성화를 확인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은 지난달 30일 3자배정 유상증자로 인해 최대주주가 이정규 대표 외 7인(8.31%)에서 파라택시스 코리아펀드(Parataxis Korea Fund I LLC) 외 1인(36.98%)로 변경됐다고 공시했다. 파라택시스 코리아펀드는 미국 뉴욕에 위치한 가상자산 헤지펀드인 파라택시스캐피털매니지먼트 게열의 특수목적법인(SPC)이다. 공시에 따르면 브릿지바이오는 오는 8월7일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해, 이정규 대표이사를 제외한 기존 이사 및 감사 전원이 사임한 후 양수인이 지정
일동제약그룹(Ildong Pharmaceutical Group)의 항암신약개발 전문회사인 아이디언스(Idience)가 회사의 신규 파이프라인인 LIN28 저해제의 개발전략을 공개했다. LIN28을 저해함으로써 암을 억제하는 microRNA(miRNA)인 let-7의 발현을 복구시키는 접근법이다. 암과 관련된 여러 경로를 조절하는 let-7을 다시 높여 복잡한 저항성 메커니즘과 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타깃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이명재 아이디언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전이 암(metastasis)에는 여전히 큰 임
지노믹트리(Genomictree)는 소변내 PENK 메틸화 기반 분자진단검사법 ‘얼리텍-B 검사(EarlyTect®-B)’의 상부요로상피암(upper tract urothelial carcinoma, UTUC)에 대한 진단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노믹트리와 서울아산병원이 공동으로 수행한 전향적 임상연구로, 지난 2022년 8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총 183명의 암환자 소변 시료를 분석했다. 이 중 요로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아이맵(I-Mab)과 공동개발하는 클라우든18.2(CLDN18.2)x4-1BB 이중항체 ‘지바스토믹(givastomig, ABL111)’의 단독투여를 평가하는 CLDN18.2 발현 위식도암(GEJ) 임상1상에서 전체반응률(ORR) 18%로 개선됐다고 2일 업데이트했다. 이전 발표했던 지바스토믹 단독투여 임상1상에서 추가 모집된 환자 가운데 1명에게서 부분반응(PR)이 관찰되면서, ORR 수치가 기존 16%에서 18%로 개선됐다. 아이맵은 임상1상에서 확인한 지바스토믹의 초기효능, 안전성 데이터를 기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2일 보령(BORYUNG)과 골질환 치료제 엑스지바(Xgeva) 바이오시밀러인 ‘엑스브릭(Xbryk, 성분명 데노수맙)’의 국내 판매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5월 엑스브릭을 국내에서 시판허가 받았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지난 2월 승인받았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개발사로서 엑스브릭의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고, 보령이 국내 독점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맡게된다. 엑스지바는 암젠(Amgen)이 개발한 RANKL 항체로, 골전이 암환자 등의 골격계증
Lunit announced on the 2nd that a collaboration with Microsoft to accelerate the delivery of AI-powered healthcare solutions. In conjunction with their recent acquisition of Volpara, a Microsoft Industry Health Certified Partner, this collaboration will give health professionals globally access to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글로벌 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와 차세대 의료AI 솔루션 공동 개발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두 회사는 MS의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Azure)’에 루닛의 암진단 AI 솔루션을 탑재, 실제 임상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맞춤형 AI 서비스와 워크플로우 자동화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이로써 루닛은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AI 제품 공급을 가속화하게 됐다. 양사는 의료기관에서 AI 모델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병원별 맞춤형 AI인 ‘AI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듀셀바이오테라퓨틱스(Dewcell Biotherapeutics)는 써모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과 협력해 인공혈소판 생산 전용 맞춤형 배양배지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 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써모피셔의 Gibco™ Media by Design™ 서비스를 활용해 혈소판 생산성을 극대화할 최적의 배지 조성을 설계하는 프로젝트다. 또한 무혈청 및 동물유래 성분이 완전히 배제된(AOF, animal-origin-free) 배지 구성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개발동향에 맞춘 규제 대응력
웨어러블 AI(인공지능) 전문기업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몽골 국립심혈관센터 소장인 닥터 멍거(Dr.Mungun)와의 협력으로 입원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thynC)' 실증에 돌입했다고 1일 밝혔다. 씨어스는 몽골 제3국립병원(3rd State Central Hospital) 내 심장내과센터에 씽크를 설치해 현지 실증을 시작했다. 회사는 해당 병원이 간호사나 의사가 필요시 수동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있었으며 의료진들이 씽크의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한 후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고 설명했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파트너사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IKS014’의 글로벌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확대 승인받았다고 1일 밝혔다. 리가켐과 익수다는 IKS014를 ‘best-in-class’ HER2 ADC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고, MMAF 페이로드(payload)가 적용됐다(DAR=2). 현재 IKS014는 임상2상 권장용량(RP2D)를 결정하기 위한 용량증량(dose-escala
신라젠(SillaJen)이 지난 4월 이사회에서 결의한 우성제약과의 소규모 흡수합병 절차를 완료했다고 1일 공시했다. 이번 합병은 신라젠이 존속회사, 우성제약이 소멸회사가 되는 100% 자회사 흡수합병 방식으로, 신주발행 없이 진행됐다. 합병 후 우성제약은 신라젠 내 제약사업부로 운영된다. 신라젠은 이번 합병을 통해 연구개발 시너지와 수익기반 다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우성제약이 연구중이던 세계 최초의 '덱시부프로펜' 수액제 개발을 계속 진행한다. 또한 회사는 오는 3분기부터 우성제약의 매출이 신라젠 연결실적에 반영될
한미그룹 창업주 고(故) 임성기 회장의 신약개발에 대한 철학과 유지를 잇기 위해 설립된 임성기재단이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분야의 탁월한 업적에 대해 시상하는 ‘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수상 후보자를 공모한다. 임성기재단은 총 4억원의 상금을 수여하는 ‘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수상 후보자 공모를 오는 8월 31일까지 두 달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대상 1명에게 상금 3억원, 젊은연구자상 2명에게는 각 상금 5000만원을 수여한다. 국내 최고 권위의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분야 상인 임성기연구자상의 자격 기준은 한국인 또는 한국계 인사(
퓨쳐켐,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 국내 3상 “최종결과”
노바티스, 시로낙스와 'BBB플랫폼' 1.75억弗 옵션딜
비원, ‘분해약물’ 공격적 베팅..”파이프라인 23개 공개"
머크, 'COPD 치료제' 英베로나파마 "100억弗 인수"
롯데바이오, 앱티스와 차세대 ‘ADC 툴박스’ MOU
코리젠, 9339만弗 펀딩..'SRC-3 녹아웃' Treg 개발
리가켐, '델파졸리드' 결핵약 안전성 개선 "란셋 게재"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프로젠, 'GLP-1/GLP-2' 당뇨·비만 "EASD 구두발표"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6개월↑소아 "FDA 확대승인"
비보존제약, 비마약성 진통제 '어나프라주' 출정식
GC지놈, '다중암 진단' 췌장암 임상결과 亞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