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올릭스(Oilx Pharamceuticals)가 19일 국내 기관투자자들로부터 총 415억원 규모의 자금을 유치했다고 공시했다. 올릭스는 키움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 NH투자증권, 위드윈인베스트먼트를 대상으로 124억5000만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와 290억5000만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총 규모는 415억원에 달한다. 보통주는 주당 6만1600원에, 전환사채는 주당 전환가액 7만206원에 각각 발행되며, 모두 향후 1년간 의무보유를 해야한다. 이와 함께 올릭스는 19일 이사회를 열어 보통
RNA 치료제 플랫폼 기업 올리패스는 355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8일 공시했다. 제3자배정 방식으로 전환우선주 246만5262주를 발행되게 된다. 납입일은 11월 30일이다.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올리패스는 기존 보유 현금을 포함해 500억원 이상의 현금을 확보하게 되며, 동시에 자본잠식 이슈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는 설명이다. 올리패스는 이번 자금을 연구개발과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특히 회사측은 "연구개발에 힘써 영국과 호주에서 임상 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비마약성 진통제 OLP-1002를 포함한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첫 번째 안과질환 치료제 ‘SB11(Lucentis Biosimilar, ranibizumab)’의 미국 시장 판매허가 심사 단계에 진입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19일 SB11의 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 신청서(BLA)에 대한 사전 검토가 완료됐으며, 본격적인 서류 심사에 착수되었다고 19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9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BLA를 제출한 바 있다. SB11은 로슈(Roche)와 노바티스(Novartis)가 판매 중인 황반변성, 당뇨병성 황반부종 등 안과질환 치료제 ‘루센티스(Luce
지투지바이오는 영국의 마이크로포어 테크놀로지(Micropore Technologies)사의 멤브레인 장비를 자사가 개발중인 치매치료용 미립구 제품 등의 제조시 전세계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마이크로포어사는 멤브레인 에멀전 미립구 제조관련 장비와 기술부문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보유한 회사로 그동안 지투지바이오는 회사의 약효지속 미립구 주사제 GMP 생산라인에 마이크로포어사의 장비를 이용해 생산 공정에서 많은 시험을 진행해왔다. 이희용 지투지바이오 대표는 “지투지바이오만의 제조방식으로 경쟁사들
메드팩토(Medpacto)의 안정형(MSS) 대장암 임상에서 VRGS(vactosertib related gene signature)가 바이오마커로 사용가능성을 보인 결과를 내놨다. 메드팩토는 18일 안전형(MSS) 대장암에 대한 ‘백토서팁+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병용요법 임상 1b/2a상 결과와 비소세포폐암(NSCLC)에 대한 ‘백토서팁(Vactosertib)+임핀지(Imfinzi, durvalumab)’ 병용요법 임상 2a상 결과를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0)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메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18일 인천 송도 글로벌캠퍼스에서 세계 최대규모의 제 4공장 착공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COVID-19의 상황을 감안해 집합없이 간소화된 형태의 버츄얼(virtual) 발파식으로 진행됐다. 회사는 실질적인 건설 공사에 집중해 목표 일정을 소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제 4공장 건설은 2022년 부분 생산, 2023년 전체 가동을 목표로 진행된다. 제 4공장은 생산량 25만6000리터로 현재 단일 공장 기준 세계 최대 생산 시설인 제 3공장(18만 리터)의 기록을 넘어선다. 총 연
셀트리온은 18일 인천시 연수구 송도신도시 내 부지에 기공 발파를 시작으로 제3공장 및 글로벌생명공학연구센터 건립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셀트리온은 총 5000억원을 투입하고 3공장은 2023년 5월, 연구센터는 2022년 7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향후 제품 다양화를 고려해 다품종 생산 및 공급 체계 구축을 위해 6만리터 규모 바이오의약품 제3공장을 건립하고, R&D와 공정개발 및 임상을 복합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원스톱’ 대규모 연구센터도 신축한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제3공장은 기존 2공장 부지 내 대
엑셀세라퓨틱스와 건국대 KU융합과학기술원(KIT)가 18일 ‘무혈청 화학조성 배지(Serum-Free Chemically Defined Media for hMSC)를 이용한 줄기세포 및 엑소좀 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조쌍구 건국대 KU융합과학기술원장, 이의일 엑셀세라퓨틱스 대표 등이 참석하였다. 이번 제휴는 KIT 소속 학과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임상 연구와 임상 연구를 위한 줄기세포 및 엑소좀 치료제 개발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이뤄졌다. 엑셀과 KIT는 연구 노하우와
연세의료원·이화여대·차의과학대학교가 지난 9일 리퓨어생명과학에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라제 p300(Histone Acetyltransferase p300) 억제제’ 및 ‘항섬유화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윤호근 연세대 의대 교수는 “본 기술이 신약 개발로 이어져 실제로 환자분들의 치료와 생존율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라제 p300은 난치성 섬유화 질환의 후생유전학(Epigenetic)적 원인이 되는 효소다. 정상적인 경우 섬유화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는 18일 나노입자항암제 ‘SNB-101(나노화 SN-38)’의 국내 임상 1상 첫 환자 투약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에스엔바이오는 SNB-101의 안전성, 내약성, 유효성, 약동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임상 1상으로,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암, 유방암, 난소암 등의 고형암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분당차병원, 서울성모병원, 신촌세브란스병원에서 진행된다. 에스엔바이오는 이번 임상 1상 결과를 바탕으로 SNB-101의 임상 2상 권장용량(RP2)을 결정하게 된다. SNB-101은 ‘이중나노미셀’
보령제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예산공장 항암주사제 생산시설에 대한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적합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보령제약은 항암주사제 생산시설은 연간 최소 600만 바이알(Vial)의 생산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필요시 생산량을 3배 이상 확대할 수 있고, 약리활성이 높은 의약품도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는 ‘아이솔레이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한다. 보령제약은 예산공장 항암주사제 생산시설 GMP 인증 획득으로 다발성골수종 치료체인 ‘벨킨주(보르테조밉삼합체)’ 생산을 시작할 수 있게 되
대웅제약에서 스핀오프한 신약개발 자회사 아이엔테라퓨틱스(iN Therapeutics)가 디어젠의 AI플랫폼을 활용해 난청치료제 신약물질 발굴에 돌입했다고 18일 밝혔다. 아이엔테라퓨틱스와 디어젠은 난청치료제 분야에서 새로운 구조를 가진 약물을 발굴하고 후보물질 도출을 가속시키기 위해 지난달 22일 공동연구계약을 맺었으며 이어 본격적인 공동연구에 들어간 것이다. 디어젠이 자체 개발한 AI플랫폼을 활용해 선도물질 최적화 구조를 제안하면 아이엔테라퓨틱스는 이를 합성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디어젠은 AI 신약개발 전문기업으로, 유전자
Most researches on microbiome have been focusing on correlations between intestinal microbes and diseases. These researches have postulated that intestinal microorganisms are associated with diverse diseases including cancer, metabolic disorders, and inflammatory diseases. Leading pharmaceutical co
셀레믹스(Celemics)가 17일 디시젠(DCGEN)과 개발중인 유방암 예후 예측 다중 유전자 검사 '온코프리(OncoFREE®)'의 식약처 허가용 확증임상을 위한 준비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셀레믹스와 디시젠은 내년 상반기 식약처 허가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셀레믹스는 온코프리는 유방암 예후 예측과 관련된 179개의 유전자를 검사하는 NGS 제품으로, 자사의 NGS 타깃 캡처 기술과 리밸런싱 기술이 적용되었다고 밝혔다. FFPE(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조직 단편)의 RNA 검체는 암 조직 검사 시 주로 이용되는 검체이
프리시젼바이오가 17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절차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프리시젼바이오는 이번 상장으로 150만주를 공모하며, 공모예정가는 1만500~1만2500원으로 총 공모금액은 157억~187억원 규모다. 프리시젼바이오는 다음달인 12월 8~9일 양일간 수요예측을 하고 12월 14~15일 청약을 거쳐 12월 말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대표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 2009년 설립된 프리시젼바이오는 체외진단 전문기업으로 대주주인 아이센스가 3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프리시젼바이오는 인공위성용 카메라
유바이오로직스는 17일 유니세프로부터 콜레라 백신 대량 수주를 받았다고 밝혔다. 유바이오로직스가 수주 받은 물량은 324만도스로 625만달러(약 70억원) 규모다. 이는 유바이오로직스의 3분기까지 콜레라 백신 매출 139억원의 절반에 해당한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콜레라퇴치사업단(GTFCC)이 2030년까지 콜레라 사망률을 당시의 90% 이하로 낮추겠다는 엔딩콜레라(Ending Cholera) 2030캠페인을 펼치면서 유바이오로직스의 콜레라 백신 매출은 최근 3년동안 매년 100% 이상 성장해왔다. 그러나 올해 코로나1
올릭스, 자회사 ‘엠큐렉스’ 설립..”mRNA 백신/치료제 개발”
HK이노엔, JPM서 “NASH, CAR-T/NK 치료제 등 공개”
알테오젠 자회사 알토스바이오, 시리즈A 605억 유치
유틸렉스, 4-1BB 항체 'EU101' "FDA 1/2상 승인"
노바티스, 中 베이진 PD-1 항체 '22억弗에' 사들여
다케다, KSQ와 ‘TME 극복' T세포치료제 “옵션 딜”
Immunobiome: What Is the Strategy for ‘Microbiome-based Anticancer Drug?
ILIAS Biologics Inc. “Challenges the Undruggable”: The “Spontaneous” Exosome- Mounting Technology
인터파크인컨버전스, 신약 R&D CTO '이구 박사' 영입
씨젠, 이호 글로벌 영업마케팅 총괄 사장 영입
[BioS 레터]발전하는 ASO, 글로벌 승인&개발 현황은?
오토파지, 면역세포로부터 '암세포 보호' 역할 확인
옵토레인, 엑소코바이오와 ‘엑소좀분석’ MOU
Samsung Biologics establishing itself as a ‘Global CMO’, “expanding with new drugs and G&CT”
펩트론, 전립선암 치료제 ‘PT105’ 식약처 IND 승인
암젠, 에보크와 '2.4억弗 딜'.."자가면역질환 신약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