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비만형 비알코올성지방간(Non-Obes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환자의 섬유증과 관련된 장내미생물(Gut Microbiome)을 밝혀낸 연구가 나왔다. 고바이오랩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김원 교수(서울시 보라매병원) 공동 연구팀은 지난 5일 장내미생물과 비알코올성지방간에 의한 섬유증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를 네이쳐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온라인판으로 게재했다. 고바이오랩은 “이번 연구로 비알코올성지방간의 비침습적(Noninvasive) 진단법 개발 가능성을 확인
GC녹십자가 '치료목적'의 코로나19 혈장치료제의 추가 생산을 마쳤다. GC녹십자는 14일 코로나19 혈장치료제 ‘GC5131A’의 두 번째 배치 생산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혈장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장에서 면역원성을 갖춘 항체를 추출해 만드는데, 이번 생산에 사용된 혈장은 240리터에 달한다. 이는 첫 번째 투입량보다 약 4배 더 많은 수치다. GC녹십자는 임상시험 목적으로 만든 첫 번째와 달리 이번에는 코로나19 환자에게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임상시험 중인 의약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승인 하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중남미 최대 바이오제약 시장인 브라질에서 ‘허쥬마(trastuzumab)’와 ‘트룩시마(rituximab)’의 수주에 연이어 성공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13일 브라질에서 ‘허쥬마’와 ‘트룩시마’의 수주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들이 참여한 브라질 최대 규모의 트라스투주맙 연방정부 입찰에서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수주에 성공한 것. 계약에 따라 셀트리온헬스케어는 향후 1년 간 브라질 트라스투주맙 시장의 약 40%에 해당하는 공공시장에 ‘허쥬마’를 공급한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지난주
디앤디파마텍은 지난 13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기업공개(IPO)절차에 돌입했다고 14일 밝혔다. 내년초 상장을 목표로 한다. 디앤디파마텍은 2014년 설립된 바이오텍으로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과의 연구개발 협력을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 파킨슨병을 중심으로 한 퇴행성뇌질환 치료 신약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더불어 진단용 이미징 바이오마커 및 환자 뇌조직의 단일 세포 유전자 분석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도 진행하고 있다. 디앤디파마텍은 GLP-1 작용제 'NLY01'로 파킨슨병 환자를 대
SK바이오팜이 아시아 최대 제약시장 중 하나인 일본에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 XCOPRI®)'의 기술수출을 이뤄냈다. 지난해 스위스 아벨 테라퓨틱스(Arvelle Therapeutics)에 사노바메이트 유럽 판권을 총 5억3000만달러에 기술수출한데 이은 2번째 마일스톤이다. SK바이오팜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일본 내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해 오노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과 기술수출 계약을 통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세노바메이트는 SK바이오팜이 독자 개
에스씨엠생명과학이 아직까지 치료제가 없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 신약 후보물질을 라이선스 인했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13일 대만 스테미넌트 바이오테라퓨틱스(Steminent Biotherapeutics)의 척수소뇌성실조증 줄기세포치료제 후보물질 ‘스템키말SCA(Stemchymal SCA)’의 국내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라이선스 인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스테미넌트에 계약금 약 56만달러(약 6억4000만원)에 더해 개발단계에 따른 마일스톤으로 최대 약 393만달러(약 45억원)을 지급한다. 에
제넥신이 개발중인 GX-19의 마우스와 영장류 비임상 실험을 통해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방어 효능을 확인한 논문이 지난 10일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게재됐다. GX-19는 SARS-CoV-2 soluble S DNA 백신 후보물질로 체액성 면역과 Th1 면역반응을 일으키도록 디자인했다. 제넥신은 GX-19가 DNA 기반 백신으로 단백질 기반 백신과 비교해 콜드채인을 필요로하지 않아 보급성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다고 설명했다. 이번 논문에서 발표된 핵심 결과는 3가지다. 먼저 마우스에서 3개의 용량으로 나눠 투여
미생물진단 전문 기업 퀀타매트릭스가 코스닥 상장을 재추진한다. 퀀타매트릭스는 12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퀀타매트릭스는 기술특례 방식으로 기업공개를 추진 중이다. 총 공모주식수는 170만7000주로 주당 공모가는 1만9700~2만5500원이다. 이번 공모를 통해 최대 약 435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퀀타매트릭스는 내달 4~5일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0~11일 일반 청약을 받는다. 11월 중순경 상장 예정으로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은 공모가 기준 28
큐리언트가 다제내성결핵 치료제로 개발하는 '텔라세벡(Telacebec)'을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치료제로 남아프리카공화국 식약처(SAHPRA)에 임상2상 시험을 신청했다고 13일 공시했다. 텔라세벡은 류코트리엔(Leukotriene) 생성을 억제하는 'first-in-class' 약물로 다제내성결핵 대상 임상2상을 마친 상태다. 이번 임상은 남아프리카공화국 내 2개 병원에서 진행되며 코로나19 감염 환자 70명에게 텔라세벡을 14일 동안 경구 투여해 약효, 약동학, 안전성 및 바이오마커 변화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회사
아이빔테크놀로지가 암수술 중 환자 환부에서 육안으로는 판별되지 않는 미세 암세포를 감지할 수 있는 첨단 레이저 생체현미경 의료기기 개발에 나선다. 아이빔테크놀로지는 12일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의 지원과제로 선정돼 향후 4년간 총 7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고 밝혔다.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은 K-바이오 의료기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6년간(2020~2025년) 총 1조2000억원 규모의 대형국책사업이다. 주관기관인 아이빔테크놀로지는 생체현미경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KAIST와 분당서울대병원,
대웅제약과 대웅 자회사인 대웅테라퓨틱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니클로사마이드(DWRX2003)’의 국내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충남대병원에서 진행되며, 10월 중 투여를 개시할 예정이다. 대웅제약은 이번 1상에서 니클로사마이드와 위약을 투여해 안전성과 혈중 약물 농도 유지를 확인할 예정이다. 대웅제약은 현재 인도, 필리핀에서도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다. 대웅제약은 임상 1상 결과를 바탕으로 연내 다국가 임상 2/3상에 진입할 계획이며, 2상 결과를 확보하면 즉시 조건부허
디앤디파마텍(D&D Pharmatech)이 퇴행성뇌질환과 암질환을 타깃한 두가지 신약 프로그램의 임상 개발을 본격화한다. 디앤디파마텍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알츠하이머병 대상 'NLY01'의 임상2b상 임상승인신청서(IND)와 PD-L1 면역항암제 타깃 PET 이미징 바이오마커 'PMI06'의 임상1상 IND 신청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디앤디파마텍과 존스홉킨스 의과대학이 공동 개발한 GLP-1 작용제인 ‘NLY 01’은 뇌 신경염증 반응을 억제해 파킨슨병 및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의 신약 후보물질이
셀트리온이 코로나19 항체치료제 후보물질 ‘CT-P59’의 예방 임상시험 3상의 임상시험계획(IND)을 식약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CT-P59의 임상 3상은 코로나19에 감염된 환자와 접점이 있는 밀착접촉자 및 무증상 확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국내 임상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충남대병원, 서울의료원, 길병원 3 곳에서 총 1200명 규모로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임상 3상에서 감염 예방효과 및 초기 바이러스 사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표다. 셀트리온은 향후 글로벌 임상 결과와 코로나1
CAR-T 분야의 대가인 래리곽(Larry Kwak) 교수 등 9명이 신약개발의 새로운 치료 모달리티를 소개하는 자리를 갖는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이중항체와 항체약물 접합체(ADC), 유전자치료제, 항암바이러스 등 다양한 치료 모달리티를 다룰 예정이다. 재미한인제약인협회(Korean American Society in Biotech and Pharmaceuticals, KASBP)가 주최하고 대웅제약, 충청북도, 이수앱지스 등이 공동으로 후원하는 '2020 KASBP 가을 심포지엄'이 오는 29일부터 31일에 걸쳐 '온라인 e심
셀트리온이 알러지성 천식 및 만성 두드러기 치료제인 ‘졸레어(Xolair, omalizumab)’의 바이오시밀러인 ‘CT-P39’의 글로벌 임상 3상에 나선다. 셀트리온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CT-P39’의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아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 3상은 특발성 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환자 600명을 대상으로 한국을 포함해 전세계 7개국, 약 65개 임상시험기관을 통해 진행된다. 셀트리온은 CT-P39와 졸레어의 비교
JW중외제약은 DPP-4 억제제 ‘가드렛(Gaurdlet, anagliptin)을 복용했을 때 혈당감소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할 결과를 ‘2020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학술대회(ICDM 2020)’에서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아나글립틴(anagliptin) 성분이 아닌 DPP-4 억제제로 혈당조절이 불충분했던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게 가드렛을 전환처방한 후 분석한 결과다. DPP-4 억제제는 혈당을 낮춰주는 GLP-1을 분해하는 효소인 DPP-4 효소를 억제해 GLP-1의 작용시간을 연장해 당뇨병을 치료하는 약제다. 발표에 따르면,
트리거, 에이비엘 도입 'ABL001' 中권리 기술이전
대원제약, 엘베이스 NSCLC 신약 라이선스 계약
獨머크, 폐암 'TGF-βxPD-L1' 임상중단 'PD-1 차이없어..'
일진 '오리니아' 루푸스신염신약 내년 1월 美 허가 결정
릴리, 메루스와 16.8억弗 파트너십..”CD3 이중항체개발”
머크-바이엘, 심부전치료제 ‘버큐보’ FDA 승인
보스턴, '웨어러블 심장모니터링' 회사 12.25억弗 인수
필립스, 캡슐 6.35억弗 인수..”의료기기 및 서비스 통합”
Immunobiome: What Is the Strategy for ‘Microbiome-based Anticancer Drug?
ILIAS Biologics Inc. “Challenges the Undruggable”: The “Spontaneous” Exosome- Mounting Technology
바이오니아, 김병현 교수 올리고 연구소장 영입
인터파크인컨버전스, 신약 R&D CTO '이구 박사' 영입
버텍스, JPM서 “중기∙후기단계 약물 사들일 것” 밝혀
[BioS 레터]발전하는 ASO, 글로벌 승인&개발 현황은?
제넥신, 연세대와 ‘결핵 DNA 백신’ 개발
GC녹십자, ‘뇌실투여’ 헌터증후군 치료제 日 승인
보스턴, '웨어러블 심장모니터링' 프리벤티스 12.25억弗 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