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갈리메딕스(Galimedix)는 건강한 피험자 대상 임상1상에서 독성 아밀로이드베타(Aβ) 타깃 경구용 저분자약물 ‘GAL-101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했다고 지난 12일(현지시간) 밝혔다. GAL-101은 잘못 접힌(misfolded) Aβ 단량체를 타깃해 독성 Aβ 올리고머(oligomer)와 프로토피브릴(protofibrils) 등 Aβ 응집체 형성을 저해하는 기전이다. 지난 1월 논문 사전공개 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bioRxiv’)에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GAL-101은 Aβ1-42에 결합한다. Aβ 응집체는 알츠하이
HK이노엔(HK inno.N)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인도에 공식 출시됐다고 17일 밝혔다. 글로벌 제약기업 닥터레디(Dr. Reddy’s Laboratories)가 현지 영업과 마케팅을 맡게 된다. 앞서 HK이노엔은 지난 2022년 닥터레디와 인도와 신흥국 6개국에 케이캡정 완제품 수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케이캡은 인도에서 ‘PCAB(피캡, 50mg)’이라는 이름으로 지난 5월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치료에 대해 허가를 받았다. HK이노엔에 따르면 인도 소화성
에이프릴바이오(APRILBIO)가 지난 2년간의 고민 끝에, 기존 바이오의약품의 반감기를 늘리는 ‘사파(anti-serum albumin Fab-associated, SAFA™)’ 플랫폼을 개선한 신규 플랫폼 전략을 공개했다. SAFA™ 기술은 혈청 단백질인 알부민(albumin)과 결합하는 항체절편(Fab)에 약효성분을 나타내는 물질을 결합시킨 구조로, 알부민의 체내 FcRn 리사이클링(recycling) 메커니즘을 통해 약물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컨셉이다. 차세대 방향은 크게 2가지다. 먼저 ‘REMAP(recombinant
알테오젠(Alteogen)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로부터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와 공동 개발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제품 ‘아일럭스비(Eyluxvi®, 프로젝트명 ALT-L9)’의 시판허가를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아이럭스비는 알테오젠이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에 이어 2번째로 허가 받은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지난 7월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품목허가 긍정의견(positive opinion)을 획득한 후 약 2개월 만에 최종 시판허가가 이뤄졌다. 알테오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Flagship Pioneering)의 릴라 사이언스(Lila Sciences)가 지난 15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2억35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앞서 릴라는 기존 인공지능(AI)을 넘어 과학 슈퍼인텔리전스(scientific superintelligence) AI 구축을 목표로 누바르 아페얀(Noubar Afeyan) 플래그십 창립자 겸 CEO, 제프리 폰 말트잔(Geoffrey von Maltzahn) 플래그십 제네럴 파트너(general partner) 등이 지난 2023년 설립했다. 릴라는 회
퓨쳐켐(FutureChem)은 16일 PSMA 방사성의약품치료제(RPT) 후보물질 ‘177Lu-루도타다이펩(ludotadipep, FC705)’의 전이성 거세저항성전립선암(mCRPC) 국내 임상2상 결과를 다음달 열리는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포스터 발표한다고 밝혔다. ESMO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와 함께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암 학회 중 하나로, 매년 유럽 주요도시에서 개최된다. 올해 ESMO는 다음달 17일부터 21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릴 예정이다. 앞서 퓨쳐켐은 지난해 유럽핵의학회(EANM)에
노바티스(Novartis)의 면역질환에 대한 집착은 계속되고 있으며, 몬테로사테라퓨틱스(Monte Rosa Therapeutics)와 1년도 채 안 돼 분자접착제 분해약물(molecular glue degrader, MGD)을 계약금 1억2000만달러에 사들이는 추가 딜을 체결했다. 최대 57억달러 규모의 딜이다. 몬테로사는 표적단백질분해(TPD) 영역에서 분자접착제에 포커스하고 있는 대표적인 바이오텍으로, 어느덧 주력 분야였던 항암제보다 면역질환에 대한 집중도를 높여가고 있다. 지난해 10월 노바티스와 체결한 첫 번째 딜도 면역
홀로토모그래피 기반 3차원(3D) 이미징 기술기업 토모큐브(Tomocube)는 소형 신제품 ‘HT-X1 mini’를 출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보다 많은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비로, HT 기술의 대중화와 저변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HT-X1 mini는 플래그십 모델 HT-X1과 동급수준의 고해상도 3D 비표지 이미징 성능을 제공하면서, 공간 효율성과 직관적 운용성을 갖춘 소형 설계를 채택했다. 단일샘플을 빠르고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어 연구 현장에서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어비디티 바이오사이언스(Avidity Biosciences)가 TfR 항체-올리고뉴클레오타드 접합체(AOC)로 진행중인 듀센근이영양증(DMD) 오픈라벨 확장(OLE) 임상에서 운동기능 지표를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업데이트했다. 어비디티는 근육에 대한 ASO 약물의 전달을 높이기 위해 트랜스페린 수용체1(TfR1)을 타깃하는 항체에 ASO를 접한한 ‘델파시바트 조타디르센(delpacibart zotadirsen, del-zota)’을 개발중이다. '델조타(del-zota)'는 DMD mRNA의 엑손44(exon 44)를 제외시키는
동아에스티(Dong-A ST)는 16일 사이러스 테라퓨틱스(Cyrus Therapeutics)와 면역 및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르면 사이러스가 독자적으로 구축한 분자접착제 분해약물(molecular glue degrader) 라이브러리와 분자접착제 스크리닝 시스템을 활용해 면역 및 염증질환 타깃 후보물질을 발굴한다. 이후 발굴된 후보물질은 동아에스티의 전임상 및 임상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공동연구를 추진하게 된다. 김병문 사이러스 대표는 “면역 및 염증질환 분야는 환자별 반응차이가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15일부터 17일까지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제15차 APEC 보건과 경제 고위급 회의(APEC High-Level Meeting on Health and the Economy, 이하 APEC HLMHE)’ 및 연계행사인 ‘세계바이오써밋 2025(World Bio Summit 2025, 이하 WBS 2025)’에서 한국 기업을 대표해 주요 세션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올해 HLMHE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와 보건복지부가 공동 주최한 국제 보건정상회의로 ‘지속가능한
LB파마슈티컬(LB Pharmaceuticals)이 미국 나스닥(Nasdaq) 시장에 기업공개(IPO)를 통해 2억8500만달러를 조달하는데 성공했다. 이번 IPO는 지난 2월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사 아드바크 테라퓨틱스(Aardvark Therapeutics)의 IPO 이후 7개월 만에 이뤄진 2500만달러가 넘는 규모의 바이오텍 나스닥 상장이다. 이에 따라 한동안 침체됐던 바이오텍 IPO 분위기가 풀리는게 아니냐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몇몇 바이오텍은 IPO를 시도하다가 상장을 철회하고 다른 방법을 통한 자금조달에 나서기도 했
차바이오텍(CHA Biotech)의 미국 자회사인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Matica Biotechnology)는 美 나스닥 상장 바이오기업과 상업화 프로젝트 CDMO 계약을 했다고 16일 밝혔다. 마티카는 양사간 합의에 따라 계약금, 프로젝트 상세정보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계약에 따라 고객사는 마티카바이오에서 생산한 바이럴 벡터(Viral Vector)를 이용해 유전자 변형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게 된다. 이번 계약으로 마티카는 기술이전, 공정규모 확대, 분석시험, GMP 상업 생산을 비롯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바이오의약품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cenobamate, 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신규 적응증 확장을 위해 진행한 청소년 및 성인 대상 전신발작 뇌전증(generalized seizure) 임상3상에서 긍정적인 탑라인(top-line) 결과를 확보했다고 16일 밝혔다. 세노바메이트는 현재 성인 부분발작(partial-onset seizure) 환자를 대상으로 승인돼 처방되고 있으며, 이번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일차 전신 강직-간대발작(primary generali
노화 및 대사질환 인공지능(AI) 기업 프로메디우스(Promedius)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스케일업 팁스(SCALEUP TIPS)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스케일업 팁스는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민간 주도로 발굴해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 지원 프로그램이다. 프로메디우스는 우리벤처파트너스의 추천을 받아 이번 과제에 선정됐으며, 3년간 11억4000만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는다. 프로메디우스는 이번 과제를 통해 서울아산병원과 함께 ‘흉부 X-ray 파운데이션 모델(FM) 기반 노화 대사질환 예측·모니터링 AI
뉴로핏(Neurophet)은 16일 뇌 영상 검출 및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 ‘뉴로핏 아쿠아 AD 플러스(Neurophet AQUA AD Plus)’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혁신의료기기 및 한국보건의료원의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뉴로핏에 따르면 해당 제품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처방 종합분석 솔루션인 ‘뉴로핏 아쿠아 AD(Neurophet AQUA AD)’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뉴로핏 아쿠아 AD가 MRI 및 PET 영상을 통합한 정량 분석 중심이었다면, 뉴로핏 아쿠아 AD 플러스는 뇌 MRI를 AI로 분석해 뇌 미세출혈이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에이비엘 美자회사 '네옥' 공식출범..이중항체 ADC 공개
머크, '사활' TROP2 ADC "블랙스톤서 7억弗 조달"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프로티나, 'AI항체' 270억 국책과제.."2027년 10개 목표"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암젠 "희망 불씨", 'FGFR2b' 병용 3상 "효능부족" 중단
사렙타, DMD '가속승인' 엑손스키핑 ASO "3상 실패"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GC녹십자, ‘혈우병 관절병증 예측AI’ 개발 착수
캅스바이오, 큐베스트와 '신약개발' 전주기 협력 MOU
루닛, 볼파라와 '하나의 Lunit' 브랜드로 "대통합"
삼양그룹, 삼양 이노베이션 'R&D 페어 2025’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