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라이릴리(Eli Lilly)도 뒤센근위축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치료제 개발 대열에 뛰어든다. 릴리가 지난 20일(현지시간) 프리시전 바이오사이언스(Precision Biosciences)의 유전자편집(Genome Editing) 플랫폼 ‘ARCUS®’에 대한 독점적인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먼저 뒤센근위축증 타깃 인비보(In Vivo)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맞추며 이후 추가로 2개의 유전자치료제 개발도 진행한다. 단 이후 진행할 2개의 유전자 타깃에 대해서는 공개
리제네론(Regeneron)이 일라이 릴리(Eli Lilly)에 이어 두번째로 코로나19(COVID-19) 항체치료제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Emergency Use Authorization, EUA)을 받았다. 리제네론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코로나19 항체치료제 ‘REGEN-COV2’가 FDA의 긴급사용허가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레너드 S. 슐라이퍼(Leonard S. Schleifer) 리제네론 대표는 “긴급사용승인 초기에는 REGEN-COV2 물량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정부는 REGEN-COV2를 가장
화이자(Pfizer)가 중국의 리안바이오(LianBio)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시스톤(CStone pharmaceuticals)과의 딜에 연이은 중국 바이오텍과의 파트너십 체결로 중국내 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입지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화이자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리안바이오와 전략적 협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는 임상개발, 허가 및 상업화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환자들에게 최고의 치료제를 제공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Konstantin Poukalov 리안바이오의 회장은 “제약산업
길리어드(Gilead)의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치료제 후보물질 ‘레나카파비어(lenacapavir)’가 임상에 참여한 88%의 다약제내성(multi-drug resistance) 환자들에서 바이러스 감소효과를 보였다. 길리어드는 지난 18일(현지시간) HIV 캡시드 저해제인 레나카파비어 임상 2/3상 결과 1차 종결점을 만족시켰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경구용 레나카파비어에 대한 2주간의 임상 결과다. 길리어드는 피하주사용 레나카파비어에 대한 장기 활성 임상결과는 다가올 컨퍼런스에서 발표할
로슈(Roche)가 네덜란드 바이오텍 리드파마(Lead Pharma)와 파트너십을 맺으며 면역 관련 파이프라인을 강화한다. 로슈는 지난해 면역 및 염증성 질환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만 3개의 딜을 성사시켰다. 로슈는 지난 16일(현지시간) 다양한 면역 관련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경구용 저분자 화합물(oral small molecule)을 개발하기 위해 리드와 파트너십 맺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로슈는 리드에 선급금 1000만유로를 지급하고, 2억5000만유로의 연구, 개발, 허가, 판매 마일스톤 및 로열티를 지급한다. 총 계
화이자/바이오엔텍(Pfizer/BioNtech)이 코로나19 백신 3상 최종효능분석(final efficacy analysis)에서 95%의 예방효율(vaccinate efficacy rate)을 확인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에서도 94% 이상의 예방효율을 나타냈다. 화이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요구하는 2개월 안전성 기준치도 충족시켜 '수일 내(within days)' 긴급사용승인(EUA)을 신청할 계획이다. 화이자는 18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임상 3상에서 ‘BNT162b2’가 95%의 예방효율
브레인스톰 셀 테라퓨틱스(BrainStorm Cell Therapeutics)의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신약 '뉴로운(NurOwn)'이 임상3상에서 실패했다. 뉴로운은 환자의 골수세포를 이용한 자가유래(Autologous) 중간엽 줄기세포(MSC) 기반의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하지만 브레인스톰은 일부 긍정적인 결과를 기반해 뉴로운의 허가를 위한 연구는 지속할 예정이다. 줄기세포 기반 신경퇴행성질환 세포치료제 개발 기업브레인스톰은 지난 17일(현지시간) 루게릭병 대상 뉴로운의 임상3
사노피의 한랭응집소증(Cold Agglutinin Disease, CAD) 치료제 후보물질 ‘수팀리맙(sutimlimab)’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이 연기됐다. 수팀리맙은 첫 CAD 치료제로 기대되는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사노피는 지난 14일(현지시간) FDA가 수팀리맙의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Biologics License Application, BLA)에 대해 최종보완요구(Complete Response Letter, CRL)을 보냈다고 발표했다. 사노피는 FDA가 CRL을 통해 위탁생산시설(third-party
모더나(Moderna)가 16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임상 3상 중간분석에서 94.5%의 예방효율(vaccine efficacy)을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지정한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DSMB)의 첫 중간분석 (interim analysis)에 따른 결과다. 모더나는 향후 수주 내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긴급사용승인(EUA)을 신청할 계획이다.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mRNA-1273’은 2~8℃에서 최대 30일간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영하 20℃에서는 최대 6개월까지 보관이 가
미국 머크(MSD)가 '키트루다(Keytruda®)'의 3중음성 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적응증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번 승인은 키트루다의 유방암 분야에서 첫 승인이다. 머크는 지난 13일(현지시간) 키트루다의 새 적응증에 대해 미국 FDA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승인받은 적응증은 절제가 불가능한 재발성 혹은 전이성 3중음성 유방암에 대한 화학요법 병용 치료제로, PD-L1 바이오마커가 나타난 CPS(Combined Positive Score)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시드테라퓨틱스(Seed Thepapeutic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질병 유발 단백질을 분해하는 합성신약(New Chemical Entities, NCEs) 개발에 나선다. 릴리는 지난 13일(현지시간) ‘TPD(Targeted Protein Degradation)’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 시드와 신약 개발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릴리는 시드에 1000만달러의 선급금을 현금으로 지불하고 시드의 주식에 1000만달러를 투자한다. 또한 전임상, 임상, 허가 및 상업화 마일스
4D파마(4D Pharma)가 개발중인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신약 'MRx0518'과 '키트루다' 병용투여 임상1상에서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이 25%를 보였다.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기업 4D파마는 지난 9일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열린 면역항암학회(SITC 2020, Society for Immunotherapy of Cancer 2020)에서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 불응성(Refractory) 고형암 대상 MRx0
UCB는 두 개의 AAV(Adeno-Associated Virus) 기반 유전자 치료제 회사 핸들(Handl therapeutics), 라서타(Lacerta)와 딜을 맺으며 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대한 의지를 나타냈다. 벨기에 제약회사 UCB는 지난 12일(현지시간) 핸들의 인수 소식과 더불어 라서타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두 회사는 모두 AAV기반의 유전자 치료제 개발 회사다. 각 딜에 대한 계약 규모는 밝히지 않았다. 이번 UCB가 인수한 핸들은2019년 벨기에의 루뱅(Leuven)에 설립된 회사다. 핸들은 AAV 캡
ADC 기반 신약개발 기업 실버백 테라퓨틱스(Silverback Therapeutics)가 1억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실버백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나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Sec Filings)를 제출했다. 이번 나스닥 상장을 통해 실버백은 HER2 과발현 암 대상 ADC(Antibody-drug Conjugate) 치료후보물질 ‘SBT6050’의 임상개발에 속도를 내며 현재 비임상 단계에 있는 프로그램의 임상 연구에도 쓰일 예정이다. 실버백의 리드프로그램은 총 3가지 ▲HER2 양성 암 타깃 'SBT6
치료제가 없는 비알코올성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에서 HSD17B13 유전자를 타깃으로 신약을 개발하는 신생 회사가 나왔다. 이니팜(IniPharm)은 지난 11일(현지시간)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유발 유전자를 타깃하는 치료후보물질의 임상 개발을 위해 시리즈A로 35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금은 이니팜의 리드프로그램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후보물질의 임상 개발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번 투자유치와 더불어 브라이언 다니엘스(Brian Daniels) 5AM 벤처스(5
진스크립트(GenScript Biotech Corporation)의 코로나19(COVID-19) 항체 진단키트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긴급사용허가(Emergency Use Authorization, EUA)를 승인받았다. 진스크립트는 지난 6일 코로나19 항체 진단키트 ‘cPass™ SARS-CoV-2 Neutralization Antibody kit’가 FDA로부터 긴급사용허가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cPass™는 코로나19 감염에서 회복중이거나 백신을 접종한 환자의 혈청 속 중화항체를 측정할 수 있다. cPass™는 싱가포
JPM서 본 '바이오엔텍-모더나'..'Next mRNA' 어디로?
삼성바이오로직스, 로슈와 최대 4억弗 "CMO 계약"
유한양행, EGFR 폐암 '레이저티닙' "식약처 허가"
식약처 자문단, 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 “조건부허가 권고”
에이비엘, 사이언스 'B7-H3×4-1BB' 이중항체 "논문 발표"
페이지, 시리즈C 1억弗.."AI 진단 개발·마케팅에 투자"
에이비엘, 사이언스에 'B7-H3×4-1BB' 이중항체 "논문"
식약처 자문단, 셀트리온 코로나 항체 “조건부허가 권고”
Immunobiome: What Is the Strategy for ‘Microbiome-based Anticancer Drug?
ILIAS Biologics Inc. “Challenges the Undruggable”: The “Spontaneous” Exosome- Mounting Technology
바이오니아, 김병현 교수 올리고 연구소장 영입
인터파크인컨버전스, 신약 R&D CTO '이구 박사' 영입
[BioS 레터]발전하는 ASO, 글로벌 승인&개발 현황은?
Yuhan wins approval as MFDS clear T790M EGFR TKI drug 'Lazertinib'
유한양행, '레이저티닙' EGFR 폐암 "식약처 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