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은 지난 9일(현지시간) 세계폐암학회(WCLC 2024)에서 HER2 TKI(tyrosine kinase inhibitor) ‘존거티닙(zongertinib)’의 HER2 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1b상 결과를 업데이트했다. 이번 WCLC 발표 현장에서는 바이엘(Bayer)도 HER2 TKI ‘BAY 2927088’로 진행한 비소세포폐암 임상1/2상 결과를 나란히 발표하면서, 두 연구결과가 직접비교되며 이목을 끌었다.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2~4
AI 신약개발 기업 슈퍼루미날 메디슨(Superluminal Medicines)이 시리즈A로 1억2000만달러를 유치했다. 특히 이번 투자에는 글로벌 IT 기업 엔비디아(NVIDA)의 벤처부문인 엔벤처스(Nventures)와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참여했다. 특히 엔비디아는 지난해 진행된 슈퍼루미날의 3300만달러 규모 시드투자에 직접 참여하는 등 AI 신약개발 분야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슈퍼루미날은 지난 2022년 설립된 미국 바이오텍으로 AI 신약개발 분야에서 선두그룹으로 평가받는 슈뢰딩거(Schrödin
GSK가 IL-5 항체의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임상3상에서 증상악화를 위약군 대비 줄이며 1차종결점을 충족시킨 결과를 내놨다. 이는 GSK의 IL-5 항체 ‘누칼라(Nucala, mepolizumab)’가 지난 201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COPD 치료제로 승인이 거절된 후 6년만의 성과다. 당시 누칼라는 호산구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효능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것을 이유로 최종보완요청서(CRL)을 받고 2019년부터 추가임상을 진행해왔다. COPD
턴스 파마슈티컬(Terns Pharmaceuticals)의 경구용 GLP-1 작용제 후보물질이 투여 28일만에 최대용량에서 체중을 4.9% 낮춘 비만 임상1상 결과를 보였다. 턴스는 GLP-1 작용제 후보물질 ‘TERN-601’이 목표용량까지 2주내에 빠르게 증량이 가능하면서 부작용으로 인한 투여용량 감소 또는 임상중단 사례가 없어 안전성 측면에서 경쟁 경구용 비만치료제와 비교해 장점을 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결과를 기반으로 턴스는 내년중에 TERN-601의 비만 임상2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턴스는 지난 9일(현지시간)
일라이릴리(Eli Lilly)는 지난 5일(현지시간) 제네틱립(Genetic Leap)과 4억900만달 규모의 RNA 타깃 발굴 딜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릴리는 계약금을 지급했으나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으며, 4억900만달러의 마일스톤에는 전임상, 임상, 상업화 마일스톤 등을 포함한다. 매출에 따른 로열티는 별도로 지급한다. 계약에 따라 제네틱립은 AI 플랫폼을 활용해 릴리가 선택한 표적에 대한 ASO와 같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약물을 개발할 계획이다. 질환분야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에 앞선 RNA 발굴 딜로, 릴리는 지난달 하야테
보어 바이오(Vor Bio)가 급성골수성백혈병(AML)에 대한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cell) 이식요법 후보물질 ‘트렘셀(trem-cel)’의 임상1상에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를 내놨다. 트렘셀은 기증자(donor)의 조혈모세포에서 T세포를 제거해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위험을 낮추고, CRISPR 유전자편집 기술로 AML 마커인 CD33을 제거해 CD33 타깃 항암제로부터 보호되도록 설계된 동종유래(allogeneic) 약물이다. 특히 보어의 트렘셀 이식후 치료제로 CD33 항체-약물접합체(ADC)인 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폐암 환자에서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의 치료반응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전략을 공개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병리학(pathology)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암세포의 TROP2 마커를 측정함으로써, 회사의 TROP2 ADC인 ‘다토포타맙 데룩스테칸(datopotamab deruxtecan, Dato-DXd)’에 더 높은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환자를 선별하는 방법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현재 비편평(non-squamous) 비소세포폐암(NSCL
오르소바이오(OrsoBio)는 지난 6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67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시리즈A로 6000만 달러를 유치한지 10개월만에 다음 라운드 투자를 완료했다. 오르소는 비만, 제2형 당뇨병, 고중성지방혈증 등을 포함한 대사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로, 지난 2020년 길리어드(Gilead), 시오노기(Shionogi), 페넥스 파마슈티컬(Phenex Pharmaceuticals), 아스텔라스(Astellas) 등에서 에셋을 도입하며 설립했다. 특히 이번 투자는 비만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3가지
J&J(Johnson & Johnson)가 진행한 EGFR 변이 폐암 1차치료제 세팅에서, 유한양행이 기술이전한 ‘레이저티닙(lazertinib)’과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오시머티닙)’ 단독투여의 효능은 유사한 것으로 도출됐다. 이는 두 3세대 EGFR TKI를 직접비교한 첫 전향적 임상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요 효능 결과로 무진행생존기간(PFS) 지표에서 두 약물은 유사한 이점을 보였으며(HR 0.98), 전체생존기간(OS) 데이터는 차이가 없었다(HR 1.00). J&J는 EGFRxMET 이중항체 ‘아미반타맙(a
트래비어(Trevere Therapeutics)의 IgA 신증(Immunoglobulin A nephropathy, IgAN) 치료제 필스파리(Filspari, sparsentan)’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정식승인(full approved) 받았다.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인 필스파리는 IgAN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엔도텔린A 수용체(endothelin A, ETAR)과 안지오텐신 수용체(angiotensin II subtype 1, AT1R)를 타깃하는 이중길항제(dual antagonist)이다. 필스파리는 지난해 2월
J&J(Johnson & Johnson)가 임상 현장에서 EGFR 변이 폐암 표준치료제인 ‘타그리소’와 경쟁할 중요 포인트가 될, 전체생존기간(OS) 두 번째 중간분석에서 긍정적인 추세가 계속되는 데이터를 업데이트했다. J&J는 8일(현지시간) 세계폐암학회(WCLC 2024)에서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치료제 세팅에서 EGFRxMET 이중항체 ‘아미반타맙(amivantamab)’과 ‘레이저티닙(lazertinib)’ 병용투여와 타그리소 단독을 비교한 MARIPOSA 임상3상에서, 추적기간 중간값 31.1개월 시점에서 병용투
노바티스(Novartis)가 보이저 테라퓨틱스(Voyager Therapeutics)의 혈뇌장벽(BBB) 투과 AAV 캡시드에 대한 라이선스 옵션을 추가로 행사하며, 계약금 1500만달러를 포함해 총 3억2000만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했다. 지난해 3월 2개의 비공개 중추신경계(CNS) 타깃에 대한 캡시드 라이선스 옵션을 행사한 뒤 1개 타깃에 대한 라이선스를 추가로 사들인 것이다. 두 회사는 지난 2022년 3월 총 16억5000만달러 규모로 이번 라이선스 옵션딜을 체결했으며, 노바티스는 총 5개의 타깃중 3개 타깃에 대한 캡시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주1회 인슐린이 제2형 당뇨병(T2D) 임상3상에서 기존 매일1회 투여하는 인슐린 대비 당화혈색소(HbA1c) 감소효과에 비열등성(non-inferior)을 보였다. 릴리는 지난 5일(현지시간) 주1회 인슐린 ‘에프시토라 알파(efsitora alfa)’를 일1회 투여 인슐린과 비교분석한 2건의 임상3상(QWINT-1, QWINT-3) 탑라인 결과를 밝혔다. 먼저 릴리는 기저(basal) 인슐린을 사용하지 않는 제2형 당뇨병 환자 796명을 대상으로 에프시토라와 일1회 투여하는 인슐린글라진(insu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베터파마(Vetter Pharma International GmbH)는 5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랑크바일(Rankweil) 생산시설에서 액체 및 동결건조 바이알의 100번째 무균(aseptic) 임상배치(batch) 생산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오스트리아 소재 생산시설은 임상용 의약품의 생산과 품질관리를 지원하고 있으며, 지난 2021년 시작후 인상적인 발전속도를 보여주고 있다고 회사측은 평가했다. 클라우스 포이스너(Claus Feussner) 베터파마 수석부사장(Senior Vice Presi
노바티스(Novartis)가 2억달러를 투입해 방사성의약품 제조시설 2곳을 증설한다. 노바티스는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에서 2개의 새로운 방사성리간드치료제(radioligand therapy, RLT) 제조시설을 건설하며 공급망 역량을 확장한다고 밝혔다. 노바티스는 기존 인디애나폴리스(Indianapolis)에 있던 제조시설을 확장해 자체적인 방사성동위원소(isotope) 생산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칼즈배드(Carlsbad)에 새로운 RLT 제조시설을 건설해 약물의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칼즈배드 신설을 통해 노바티스
일라이릴리(Eli Lilly)의 비만 시장을 장악하겠다는 의지가 계속되고 있다. 릴리는 비만약 ‘젭바운드(Zepbound, tirzepatide)’ 등의 인크레틴(incretin) 약물을 이을 후속 에셋을 찾기 위해 하야테라퓨틱스(Haya Therapeutics)와 비만분야에서 lncRNA(long non-coding RNA) 타깃 발굴을 위한 10억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했다. 릴리의 새로운 비만 타깃 발굴 파트너십 체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릴리는 지난해말 파우나 바이오(Fauna Bio)와 AI플랫폼을 활용한 오믹스(omi
머크 “마침내 손에” ‘키트루다 SC' vs IV 3상 “성공”
오름, 'GSPT1 DAC' 1상 "SAE 발생..환자모집 중단"
유한양행, 에이프릴바이오 지분 9.84% "전량 매각"
진에딧, 시리즈B 3500만弗..“전달기술 ‘면역’ 본격확장”
대웅제약, 경구용 'GLP-1/GIP' 후보물질 "국내 특허출원"
한미약품, ‘GLP-1’ 비만 3상 모집완료..내년 ‘UCN2’ 1상
GSK, ‘IBAT 저해제’ PBC 소양증 3상 결국 “성공”
릴리, "경쟁치열" Lp(a) 저해제 '경구용' 2상 "성공"
‘DAC 잇단 딜’ 오름테라퓨틱, 앞으로 “3가지 과제는?”
유바이오, '新플랫폼 PoC 기반' 프리미엄백신 "본격화"
임종훈 대표, 한미사이언스 105만주 블록딜 매각
진에딧, '모더나 출신' 모라 CSO 영입.."면역학 확장"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프로젠, 유한양행 면역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지아이셀, 튀르키예 TCT와 ‘동종 NK’ L/O MOU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 추가 매입
프로티나, JW중외 ‘STAT3 저해제’ 임상솔루션 계약
종근당홀딩스, CKD '트러스트 파트너스 데이'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