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서일 기자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pembrolizumab)'는 면역항암제다. 면역항암제는 몸속 면역시스템이 암을 없애는 기능을 이용하는 개념의 치료제다. 표적항암제가 특정한 암의 특별한 성질을 타깃해 암을 공격하는 메커니즘이라면, 면역항암제는 우리 몸속에 존재하는 면역시스템이 암을 공격하는 메커니즘을 활용하므로 여러 종류의 암 치료에 처방할 수 있다. 머크(Merck & Co.)의 키트루다는 2022년 기준으로 거의 모든 암에 처방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키트루다를 ‘기적의 항암신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책은 키트루다 앞에 붙었던 ‘기적의’라는 수식어를 떼어냈다. 대신 ‘과학의’ 또는 ‘전략의’라는 수식어를 붙였다. 『키트루다 스토리-머크Merck & Co.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는 한 편의 영화처럼 펼쳐지는 드라마틱한 성공과 실패의 신약개발 스토리라기 보다는 오늘 출근하면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은, 어느 바이오테크 연구실이나 제약기업 전략기획실 책상에 쌓여있을 법한, 복잡하고 지루한 회의들을 기록해놓은 회의록에 가깝다. 평생에 한 번 만나기도 어려운 극적인 상황이 이어지며 풀려가는 극적인 스토리가 아닌, 임상시험 데이터를 매일 검토하고 부족한 예산을 어떻게 집행해야 할지에 대해 늘 고민하고 결정해야 하는 연구 스토리이자 전략기획 스토리다. 키트루다 개발과정의 연구노트와 회의록이 궁금한 독자라면 안성맞춤의 책이다.
최초가 아니었다
대부분의 신약이 ‘최초’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지만, 키트루다는 최초의 면역항암제가 아니다. 최초의 면역항암제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ristol Myers Squibb, 이하 BMS)의 여보이(Yervoy®, 성분명: Ipilimumab)와 옵디보(Opdivo®, 성분명: nivolumab)이다. 머크의 키트루다는 BMS의 여보이나 옵디보에 비해 몇년정도 뒤늦게 시작한 프로젝트였다. ‘불과 몇년차이’라고 가볍게 넘길 수 있겠지만, 새로운 기술과 특허가 매일 쏟아지는 신약 연구에서 몇년은 돌이킬 수 없는 차이를 만들어내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실제로 BMS가 면역항암제를 세상에 내놓을 즈음, 머크는 인수합병 과정에서 우연히 얻게된 면역항암제의 아이디어와 기술을 다른 기업에 팔아버리려고 라이선스아웃(L/O) 목록에 올려놓기까지 했다. 2021년 기준, R&D 비용으로만 1년에 20조원 가까이 투자하는 머크 같은 전세계적인 빅파마도 면역항암제의 개념과 가치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몇년의 시간을 잃어버린 머크는, 면역항암제 신약개발 경쟁에서 크게 뒤처지는 것이 당연해 보였다.
그런데 2022년을 기준으로 보면 머크의 키트루다는 BMS의 여보이와 옵디보를 제치고 가장 많이 처방되고, 가장 많은 돈을 벌어들이는 면역항암제가 되었다. 올해 키트루다는 한해 매출 200억달러 이상 팔리는 약으로, 한동안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려온 애브비의 '휴미라(Humira®, 성분명 adalimumab)'을 제치고 글로벌 매출 의약품 1위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이 책은 부제에 달린 질문처럼 ‘머크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라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궁금증에 대한 답을 독자와 함께 찾아가는 과정이다.
아직 끝나지 않았다
이 책에는 키트루다 개발과 관련된 40여개의 그래프와 표, 개념의 이해를 돕는 일러스트가 담겨 있다. 26개의 키트루다 임상시험 데이터와 12개 옵디보 임상시험 데이터, 면역항암제 뿐만 아니라 주요 약물 55개도 다룬다. 이들은 모두 신약개발 과정을 증명하는 임상시험 데이터, 신약개발 의지를 보여주는 마일스톤 데이터, 연구실에 있던 후보물질을 환자가 있는 병원으로 가져와 신약으로 처방할 수 있도록 허가해주는 규제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내용들이다. 더불어 2022년 현재 키트루다를 비롯한 면역항암제로 진행되고 있는 주요 임상시험, 새로운 개념의 항암신약 메커니즘에 대한 소개와 현황분석, 삼중음성유방암(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TNBC)처럼 마땅한 치료제를 찾지 못하고 있는 영역에서의 면역항암제 적용 가능성 등 신약개발이 일어나고 있는 2022년 현재의 현장 스케치가 담겨 있다.
이 책이 키트루다 앞에 붙는 ‘기적의 신약’이라는 수식어를 뺐던 이유 가운데는, 암과의 싸움에서 키트루다가 맹활약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우리는 실제 현실에서 매일매일 암에게 지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는 키트루다를 성공시켜낸 머크가 보여주는 태도와도 비슷하다. 머크는 임상현장에서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는 키트루다의 효능을, 경쟁사인 BMS의 면역항암제들과 비교하는 임상시험을 과감하게 진행하기도 했다. 만약 비교 임상시험에서 경쟁사 약물보다 열등한 효능 데이터가 나온다면, 머크 스스로 키트루다의 명성과 매출에 악영향을 끼치는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말이다. 머크의 이같은 행동은 ‘여전히 키트루다는 완벽한 치료제가 아닐 수 있으며’, ‘신약개발은 환자에게 더 나은 삶을 주기 위함’이라는 머크의 신약개발 태도와 접근방식을 읽어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키트루다 스토리-머크Merck & Co.는 어떻게 면역항암제를 성공시켰나』는 신약개발이라는 험난한 길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의 수많은 바이오테크와 제약기업들에게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쓰여졌다. 멋진 성공 스토리를 깔끔하게 완성하고 보기좋게 전달하기보다는, 키트루다를 매개로 해 매일매일 연구실과 임상시험 현장에서 벌어지는 세세한 모습 하나하나를 빠뜨리지 않고 분주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했다. 키트루다를 비롯한 그 어떤 항암신약도 아직 완성된 것은 아니며, 머크조차도 면역항암제의 가치를 모르던 때가 있었던 만큼, 미래가 선명하지는 않지만 꿋꿋하게 과학의 길을 걸어가고 있는 한국의 신약개발 바이오테크와 제약기업에게도 여전히 희망이 있다는 점을 이 책은 강조한다.
면역이라는 과학, 항암제라는 시장.. 그리고 키트루다라는 성공
이 책은 7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장. 머크와 BMS’에서는 가장 중요한 암인 폐암을 중심으로, 암 치료에서 키트루다가 재구성해낸 암 치료의 프레임을 소개한다. 폐암 치료현장의 기본 프레임 속에서 키트루다가 자리를 잡게 된 3개의 임상시험이 주인공이다. ‘2장. 펨브롤리주맙과 이필리무맙’에서는 면역항암제 개발을 둘러싼 머크와 BMS의 차이를 읽어낸다. 가능성을 먼저 알아차린 BMS와 뒤늦게 출발선에 선 머크의 면역항암제 초기 개발사를 살펴본다.
‘3장. 5%와 50%’에서는 서로 다른 바이오마커 전략을 선택한 머크와 BMS의 행보, 이 차이가 만들어 낸 엇갈린 결과를 보여준다. 이어지는 ‘4장. PD-L1과 TMB’에서도 바이오마커 전략을 비롯한, 신약개발 연구 전반에 걸친 입장과 태도의 차이가 결과적으로 어떤 차이를 불어왔는지 추적한다.
‘5장. TNBC’는 여전히 뚜렷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TNBC 치료제 개발 영역에서 키트루다로 방법을 찾아가는 머크의 현황을 조망한다. ‘6장. 신장암’에서는 BMS가 신장암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앞서게 된 이유를 찾아보고, 키트루다가 어떤 임상시험과 전략으로 신장암 치료제 개발에 뛰어들고 있는지 살핀다.
마지막으로 ‘7장. 키트루다를 가능하게 만든 것들’에서는 2022년의 키트루다가 가능했던 조건들을 따져본다. 과학과 전략을 대하는 태도, 임상현장에 대한 이해, 신약개발의 프레임, 규제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이 모든 것을 압도하는 머크에서 키트루다를 가능하게 만든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김성민 지음 / 140×215mm / 292쪽 / 무선제본 / 2022.10.14. / 값 33,000원 / ISBN 979-11-91768-04-6 034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