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한국연구재단은 김용성 아주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세포내부의 암유발 라스(Ras) 돌연변이 단백질을 직접 표적해서 종양의 성장을 막는 치료용 항체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30년 동안 과학자들이 약물개발에 번번이 실패를 맛본 난공불락 표적인 'RAS 변이'. 때문에 약물로 저해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이를 공략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의 치료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국내 연구팀이 이를 겨냥할 수 있는 'first-in-class' 가능성의 지닌 항체 치료제를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라스 돌연변이는 가장 널리 알려진 종양유발인자로 약 30% 종양에서 발견된다. 췌장암에서 약 95%, 대장암에서 약 52%, 비소세포폐암에서는 약 30%가 발현한다고 알려져 있다. RAS는 원래 세포분열, 성장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변이가 생기면서 문제가 시작되는 것이다. 변이로 인해 신호전달과정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면서 종양세포가 증식∙성장하는 원동력이 된다. 암을 유발하는 '분자스위치'로 비유되기도 한다.
RAS는 단백질이 갖는 특성상 약물표적이 불가능에 가깝다고 평가받으며, 세포막 안쪽에 위치해 항체로도 접근하지 못하는 타깃이다. 그런데 김 교수 연구팀은 라스 돌연변이단백질을 표적하면서 동시에 세포질로 침투가 가능한 항체를 개발해, RAS 변이를 잡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한 것....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