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큐리언트는 지난달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현재 결핵 치료제로 글로벌 임상2a상을 진행하고 있는 Q203(Telacebec)의 적응증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는 논문이 발표됐다고 17일 밝혔다.
Q203은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난치성 피부괴사질환인 부룰리 궤양(Buruli Ulcer)를 치료할 가능성을 보였다. 이번 연구는 스위스 바젤대학, 싱가폴 난양대학 등 여러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부룰리 궤양은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Mycobacterium ulcerans)의 감염에 의해서 발생하는 피부괴사 질환이다. 1960년대 우간다의 부룰리에서 많이 발병해 이름이 지어졌다. 주로 아프리카와 호주에서 많이 발생하며 중국, 일본, 남미에서도 발병한다.
현재까지 정확한 감염경로는 모르나 오염된 토양, 물에 의한 감염 뿐만 아니라 동물 및 모기에 의한 감염 등 다양한 원인이 꼽히고 있다. 현재 치료법은 수술을 통해 감염 부위 전체를 제거하거나 WHO가 권장하는 일반 항생제를 복합처방(Rifampicin+Streptomycin, Clarithromycin)한다. 그러나 환자에게 약물을 투여했을 때 귀독성(ototoxicity), 신장독성 (nephrotoxicity) 등 부작용이 빈번하게 발생해 계속해서 투여하기가 어려우며, 항생제 내성 발생시 가능한 치료법이 없다.
이번 논문에서 연구진은 부룰리 궤양을 일으키는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의 에너지 생성을 차단하기 위해 탈라세벡과 얀센의 '베다큘린/BDQ'의 2가지 결핵치료제를 이용했다. Q203은 결핵균의 전달전달계의 시토크롬C(CytochromeC) 구성요소인 QcrB subunit을 타깃하는 새로운 메키니즘으로 작동한다.
연구팀은 다양한 부룰리 궤양 환자에서 분리된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 균주에 Q203과 베다큘린을 처리해 테스트했다. 그 결과 Q203은 베다큘린과 비교해 아프리카에서 분리한 균뿐만 아니라 호주, 일본에서 분리한 균에서도 효능이 더 높았다.
또한 Q203은 부룰리 궤양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도 치료 4주 만에 완치 효과를 보였다. 연구진은 "Q203이 난치성 질환인 부룰리 궤양의 새로운 표준 치료법이 될 수 있다"며 "나아가 마이코박테리움 울세란스와 비슷한 한센병 (leprosy) 원인균인 마이코박테리움 레프레 (Mycobacterium leprae)의 사멸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기대했다.
큐리언트 관계자는 바이오스펙테이터와의 전화 통화에서 "이번 논문 결과를 바탕으로 부룰리 궤양의 치료제로의 적응증 확장을 목표로 질환 전문가들과 협의를 통해 개발전략을 구체화할 계획"이며 "단기적으로는 다제내성 결핵 적응증 외 처방(off-label)을 통해 치료현장에서 사용토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부룰리 궤양은 미국 FDA에서 부여하는 우선심사권(Priority Review Voucher) 부여 대상 질병이기 때문에 향후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할 경우 PRV를 부여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미국 임상정보 사이트인 clinicaltrials.gov에 따르면 큐리언트는 지난 12월에 다제내성 결핵 환자에게 텔라세벡을 투여하는 임상 2a상의 환자모집을 마치고, 후속 모니터링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7월에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임상 승인을 받은지 6개월만에 환자 모집을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