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장종원 기자
국내 신약개발 및 재생의료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 오는 2021년부터 10년간 2조8000억원을 투입하는 대형사업계획이 확정됐다.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에 이은 국가신약개발사업, 신규사업인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는 국가신약개발사업,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 등 2개 범정부 사업이 국가재정법에 따른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두 사업은 지난해 5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을 토대로 마련됐다.
먼저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기초연구부터 비임상, 임상, 제조·생산까지 신약개발에 필요한 단계별 과정을 전주기에 걸쳐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1년부터 10년간 총 2조1758억원 규모(국비 1조4747억원)의 사업 추진 타당성이 인정됐는데 이는 보건복지부 연구개발사업 중 역대 최대규모다. 기존의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사업에 비해 규모가 2배 이상 늘었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①신약기반확충연구(3600억원), ②신약R&D 생태계 구축연구(9344억원), ③신약 임상개발(7315억원), ④신약 R&D 사업화지원(1499억원)으로 구성된다.
또한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의 관련 선행사업들을 통합해 부처별 칸막이 없이 하나의 사업으로 지원한다. 이를 통해 앞으로 10년간 연 매출 1조원 이상의 블록버스터급 국산 신약개발을 목표로 하여 우리 제약산업의 경쟁력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범부처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은 재생의료 분야 핵심 기초·원천기술부터 치료제·치료기술 임상단계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2021년부터 10년간 총 5955억원 규모(국비 5423억 원)의 사업 추진 타당성이 인정됐다.
우리나라가 강점이 있는 줄기세포치료제의 기술경쟁력은 지속 강화하면서, 유전자치료제, 조직공학제재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핵심기술에도 전략적 투자를 강화한다.
특히 국내 산업 성숙도가 아직 부족한 '첨단재생의료·첨단바이오의약품'을 특화 지원함으로써, 향후 10년간 재생의료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①재생의료 원천기술 개발(1967억원) ②재생의료 연계기술 개발(2793억원), ③재생의료 치료제·치료기술 개발(837억원) ④사업 지원(358억원)으로 구성됐다.
당초 예비타당성 사업계획에 포함됐던 첨단재생바이오법상 임상연구 제도 지원은 수요예측, 사업 운영상 차이 등을 고려해 별도 사업으로 추진이 적절하다는 분석 결과에 따라, 내년 예산에 별도 사업으로 편성·추진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부터 사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가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