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장종원 기자
국내 벤처캐피털의 지난해 바이오·의료분야 투자액은 4686억원, 비중으로는 전체 산업의 21.8%로 역대 최대 규모였다. 전통의 1위인 ICT분야(18.8%)를 가뿐히 뛰어넘었다. 올해 들어서면서 분위기가 반전됐다. 지난 2월까지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바이오·의료분야 투자 비중은 7.9%(184억원)로 급감했다. 지난해 2월(25.3%, 640억원)과 비교하면 감소폭은 더 컸다.
임정희 인터베스트 전무는 1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코리아 2017' 바이오 투자관련 컨퍼런스에서 이런 상황에 우려했다. 어수선한 정국 상황, 연이은 기술이전 실패에 따른 제약바이오주 위축 등 일시적 영향도 있겠지만 근본적으로는 국내 바이오 투자환경의 구조적 문제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다면 투자 침체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전체 투자액은 크게 늘었지만 바이오생태계의 출발점인 초기 투자는 여전히 부족하다.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바이오분야 3년미만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비중은(12.3)로 전체(31.1%)에 크게 못 미친다.
임 전무는 "바이오 분야가 주목받으면서 전문성이 없는 VC들이 투자를 대거 늘렸는데 이들은 프리 IPO에 집중했다"면서 "바이오 전문VC들 역시 상장사 투자, 해외투자, 후속투자 등으로 리스크를 회피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결국 이런 구조는 벤처캐피털이 주식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게 해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투자를 방해한다.
현재의 기술특례상장제도도 개선이 필요하다. 지난해 16개 기업이 기술특례를 신청해 7개 기업만 승인받았다. 기술력있는 기업들이 상장 기회를 부여받지 못했다. 상장한 업체 대부분은 주가가 공모가를 크게 하회하고 있다.
임 전무는 "주식시장에서 좋은 상품을 싸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모르는 상품을 비싸게 사고 싶어하지 않는다"면서 "기술특례상장 제도의 문호를 개방하고 공모가를 시장현실에 맞게 책정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