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21일, 미국국립보건원(NIH)은 CRISPR-Cas9 기술을 이용한 차세대 세포치료제(CAR-T)의 임상을 승인했다. CRISPR 기술이 인간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승인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분자생물학계의 혁신기술인 ‘크리스퍼(CRISPR)’ 3세대 유전자가위 기술이 새로운 치료시장의 문을 두드리게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3세대 유전자가위기술인 ‘크리스퍼(CRISPR)’는 세균의 면역체계로부터 발견된 것으로 원하는 DNA를 자르고 새로운 DNA를 삽입할 수 있는 유전자 편집기술이다. 기존의 1세대
‘아이진’은 안과질환 및 노화 전문 생명공학 업체다. 지난해 ‘기술특례 상장’을 통해 코스닥에 상장했다. 시가총액은 2400억원 수준. 회사가 밝히고 있는 파이프라인은 당뇨망막증 치료제, 욕창 치료제, 자궁경부암 백신, 면역보조제 등 크게 4가지다. 개발 제품의 파이프라인은 다양하지만, 실제로 이들은 같은 물질의 다른 적용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EGT022’라는 생체유래물질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대표적인 파이프라인 하나를 분석해보면 아이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서는 당뇨성 망막병증으로 유럽에서 임상2a상을 진행중
최근 2~3년간 정보통신(IT), 자동차, 철강 등 기존 전통 주력산업의 성장 저하 및 경쟁력이 약화되는데 반해 국내 헬스케어 업종은 글로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주식시장 내 시가총액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1995년 3월 처음 애널리스트를 시작할 때만해도 ‘바이오’라는 용어는 생소했고, 제약업종이라는 용어만이 주식시장에서 익숙했다. 그때 당시 제약업종의 시가총액은 1%가 채 안되어 제약업종만 담당해서는 소위 ‘밥벌이’를 할 수 없는 시절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화장품과 음식료를 같이 맡게 되었는데 지금은 이
의약품 시장에서 한동안 잊혀지는가 했던 리베이트가 또 이슈다. 한 다국적제약사의 리베이트 의혹 불똥이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의 압수 수색으로 튀었다. 국내 중소제약사들을 중심으로 리베이트 사건이 간헐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제약업계에서는 한미약품 등의 신약 성과로 모처럼 훈풍이 불었던 국내 제약산업의 위상이 흔들리지 않을까 걱정하는 눈치다. 한 제약사 최고경영자(CEO)는 “과거 숱하게 리베이트로 곤욕을 치렀던 대형제약사들이 연루되지 않아 그나마 다행이다. 상당수 업체들은 클린 영업을 하고 있다”고 했다. 과거보다 많이 깨끗해진
[문송이 임상노트]는 제약 바이오 산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비전공자들에게 보다 쉽게 이슈가 되는 임상이나 업계의 현안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글의 첫 주제를 무엇으로 할까 하는 것은 꽤 어려운 숙제였다. 처음에 이야기를 시작하는 방법에 따라 풀어나갈 수 있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가장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화제는 무엇인가 생각하니 의외로 문제는 간단했다. 한미다. 복제약과 공격적인 영업으로 유명세를 떨쳤던 회사가 일순간 혁신의 아이콘이 되었고 세계적인 제약회사들에 제품의 판권을 넘길 만큼 놀
팬젠은 PanGen CHO-TECHTM 라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세포주 개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이와 같은 기술로 타사 또는 타연구기관에 생산용 세포주 생산시스템을 구축해주거나 대리생산해주는 등으로 매출을 올리고 있다. 시가총액은 1600억원 수준. High Tech를 기반으로 한 사업은 맞지만, 사실 이것만으로는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기에는 밋밋하다. 시장에서 팬젠에 주목하는 이유는 바이오시밀러 때문이다. 팬젠의 파이프라인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EPO(Erythropoietin), Factor VIII, G-
사람들은 바이오가 버블이라고 한다. 제대로 된 기업은 별로 없고 태반이 사기꾼이라고도 말한다. 그럴 수 있다. 맞는 말이기도 하다. 제약회사에 대한 시각도 여기서 별반 다를 게 없다. 그런데 이런 토양 위에서 우리는 바이오/제약 전문매체를 하겠다고 나섰다. 아무래도 미친 게 틀림이 없다. 물론 우리도 실제로 ‘이 모델이 될까?’ 걱정도 했고, 설립과정에 우여곡절도 있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바이오’라는 흐름과 방향, 타이밍에 있어서 확신을 갖게 되었다. 앞으로 바이오를 빼놓고는 그 무엇도 말할 수 없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파노로스, PD-L1xVEGFR1 융합단백질 "AACR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