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전자편집 신약개발 바이오텍 진코어(GenKOre)가 자체 초소형 유전자가위(hypercompact CRISPR) 기술인 ‘TaRGET’ 기반의 안과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바이러스벡터 유전자전달 전문기업인 레비티(Revvity)와 전략적 협력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진코어의 TaRGET(CRISPR-Cas12f) 기술은 1.7kb 크기의 초소형 Cas 뉴클레아제(Cas nucleases)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 Cas9 4.1kb보다 절반 이하로 크기가 작아 AAV에 더 효율적으로 가이드RNA(gRNA)를 포함한 유
미국 머크(MSD)가 21가 폐렴구균 접합백신(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V116’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받았다. V116은 ‘캡백시브(CAPVAXIVE)’란 제품명으로 시판될 예정이다. 캡백시브는 기존 폐렴구균 백신에는 포함되지 않은 8개의 혈청형(15A, 15C, 16F, 23A, 23B, 24F, 31, 35B)을 가지고 있어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PD)의 84%를 커버할 수 있다는
데이원 바이오파마슈티컬스(Day One BioPharmaceuticals)가 중국 맙케어 테라퓨틱스(Mabcare Therapeutics)로부터 PTK7(protein-tyrosine kinase 7) 항체-약물접합체(ADC)의 중화권 지역을 제외한 글로벌 권리를 12억700만달러에 사들였다. PTK7 ADC 후보물질 ‘DAY-301’은 올해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고형암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은 상태로 데이원은 올해 4분기에서 내년 1분기사이에 첫 환자 투약을 계획하고 있다. 데이원은 18일(현지시간)
에이프릴바이오(April Bio)는 20일 미국 이보뮨(Evommne)에 자가염증질환 치료제로 개발중인 IL-18 결합단백질(BP) 후보물질 ‘APB-R3’의 전세계 권리를 4억7500만달러(한화 6558억원) 규모로 라이선스아웃(L/O) 했다고 공시했다. 계약에 따라 에이프릴은 이보뮨으로부터 계약금 1500만달러(한화 207억원)에 더해 개발 단계별 마일스톤 8250만달러(한화 1139억원), 상업화 단계별 마일스톤으로 3억7750만달러(한화 5212억원)을 받게 된다. 상업화 이후 순매출에 따른 판매 로열티는 별도다. 이보뮨은
국내 바이오기업 CEO들이 올해 인력채용 계획과 관련, 현상유지하겠다는 답변이 절반에 가까웠다. 지난해보다 10%포인트 가량 늘어난 수치다. 채용을 확대할 것이라는 응답 30.1%를 포함하면, 채용을 축소하지 않겠다는 답이 80.8%에 달했다. 채용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응답은 작년 30%에서 올해는 20% 밑으로 떨어졌다. 바이오업계의 인력규모 감축 움직임이 어느정도 일단락되는 분위기로 읽힌다. 여기에는 2년 넘는기간 동안 바이오업계의 투자환경이 어려워지면서 채용을 줄이고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인력을 유지해온 결과로도 해석된다. 이같
유한양행(Yuhan)은 20일 오전 서울 대방동 본사 대연수실에서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제98주년 기념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지난 1926년 유일한 박사에 의해 설립된 후, 국내 대표 제약기업으로 성장해 왔다. 유한양행은 창립 이래 ‘가장 좋은 상품을 만들어 국가와 동포에게 도움을 주자’라는 창업자 유일한 박사의 정신을 계승하며, 우수한 의약품 생산과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해 왔다. 이번 창립기념식에서는 장기근속자 표창식을 갖고, 30년, 20년, 10년의 근속사원 142명 등 장기근속자들에게 상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2030 글로벌 톱티어(Top-Tier) 바이오 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조직문화 혁신에 나선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일 조직문화 선포식을 열고, 일에 대한 사명감을 바탕으로 '존중·소통·변화'를 실천하여 글로벌한 조직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데 노사가 한 뜻으로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1년 설립 이래 사업 확장을 통한 성장에 집중해온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글로벌 CDMO 비즈니스 경쟁이 더욱 심화되는 가운데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고유의 조직문화 정립이
동아에스티(Dong-A ST)가 비만치료제로 개발하는 GLP-1/GCG 이중작용제(dual agonist) ‘DA-1726’의 전임상 결과를 업데이트했다. 동물모델에서 DA-1726과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의 GLP-1/GCG 이중작용제 ‘서보듀타이드(survodutide, BI 456906)’와 비교했을 때 DA-1726이 지질량과 혈당을 더욱 감소시킨 결과다. DA-1726은 올해초 비만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고, 지난 4월 첫 환자투약을 시작한 상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AKT 저해제 ‘트루캡(Truqap, capivasertib)’이 삼중음성유방암(TNBC)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인 전체생존기간(OS) 개선에 실패했다. 트루캡은 지난해 11월 AKT관련 변이를 가진 HR+HER2- 유방암 적응증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으며 첫 AKT 저해제로 시장에 나온 약물이다. 트루캡은 출시 이후 올해 1분기에 5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리며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으나, 이번 임상실패로 인해 회사의 적응증 확대 전략에 차질을 빚게 됐다. TNBC는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리드프로그램인 4-1BBxPD-L1 이중항체 ‘ABL503(ragistomig)’가 PD-1 약물 불응성을 극복하고, PD-(L)1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투여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박수형 KAIST 의과학대 교수 연구팀이 미국암학회(AACR)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임상암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CCR)에 ABL503 비임상 연구에 대한 논문을 게재했다고 20일 밝혔다. 전승혁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한대훈 세브란스병원 교수, 박준식 순천향대
로슈(Roche)가 아시디안 테라퓨틱스(Ascidian Therapeutics)와 신경질환에 대한 mRNA 엑손 편집 치료제 개발을 위해 18억달러 규모로 딜을 체결했다. 아시디안은 질병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를 가진 RNA 엑손을 정상 엑손으로 편집하는 기전의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단백질을 만들도록 해 질병을 치료하는 접근이다. 이는 기존 CRISPR 기반 유전자편집 약물과 비교해 안전성이 우수하고, 크기가 작아 약물전달이 용이하며, 수kb 크기의 큰 유전자도 타깃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고 회사측
셀트리온(Celltion)은 20일 프랑스 최대 규모의 의약품 조달기관 ‘유니하(UniHA, 주요 대학병원 연합 구매단체)’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Remsima, infliximab)'를 비롯해 항암제 ‘허쥬마(Herzuma, trastuzumab)’와 ‘베그젤마(Vegzelam, bevacizuma)’의 수주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유니하는 프랑스 의료산업 전반에서 큰 영향력을 지닌 대형 기관으로 인플릭시맙 시장의 30%, 베바시주맙 27%, 트라스투주맙 시장에서는 13%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이번 입찰 결과에 따라
인간유도만능줄기세포(hiPSC) 유래 오가노이드 기업 넥셀(NEXEL)은 20일 미국 존스홉킨스대 미세생리시스템 연구센터(Johns Hopkins Center for Microphysiological Systems)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난 4월 산업통상자원부 지원으로 설립된 6개의 글로벌산업기술협력센터(Global Industry Technology Cooperation Center, GITCC) 중 신약개발,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바이오분야 운영기관인 존스홉킨스대와 혁신적인 생명공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는 면역항암제로 개발하고 있는 HPK1 저해제 ’FB849‘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에서 주관하는 '2024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임상개발 신규 지원 과제'에 최종 선정돼 사업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과제 목표는 FB849 단독요법 임상1상을 통해 표준요법에 내성이 생긴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예비 유효성을 평가해 임상2상 권장용량(RP2D)를 선정하는 것이다. 동시에 PD-1 ’키트루다(
사노피(Sanofi)가 벨하라 테라퓨틱스(Belharra Therapeutics)와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해 계약금과 단기마일스톤 4000만달러를 포함, 총 7억4000만달러 규모의 파트너십 딜을 체결했다. 벨하라는 비공유결합(non-covalent) 기반의 화학단백질체학(chemoproteomics) 플랫폼에 기반해 저분자화합물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로, 지난해 1월 로슈(Roche)와도 계약금 8000만달러를 포함 총 20억8000만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한 바 있다. 벨하라는 크리스토퍼 파커(Christopher G. Pa
중국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가 ‘인터루킨-2α-편향(IL-2α-bias)’ 사이토카인과 PD-1 항체 융합단백질 후보물질의 고형암 1상 결과를 내놨다. 면역항암 치료를 받은 비소세포폐암(NSCLC)과 흑색종(melanoma) 환자군에서 전체반응률(ORR) 27~100%의 항암효과가 나타났다. 해당 후보물질은 이노벤트만의 독자적인 접근법이다. IL-2α-bias은 IL-2 수용체(IL-2R)βγ에 대한 결합력을 약화시킴으로써 IL-2Rα에 대한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높인 IL-2 사이토카인이다. 이와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파노로스, PD-L1xVEGFR1 융합단백질 "AACR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