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슬레(Nestlé)가 결국 땅콩알러지 치료제 ‘팔포지아(Palforzia)’를 포기하고 스위스 소재 스탈러진스 그리어(Stallergenes Greer)에 매각한다. 지난 2020년 네슬레가 팔포지아를 보유한 에이뮨 테라퓨틱스(Aimmune Therapeutics)를 26억달러 규모에 인수한지 3년만이다. 이번 팔포지아 매각결정은 지난해 11월 네슬레가 팔포지아에 대한 전략적 검토를 진행하겠다는 발표 이후 내려졌다. 당시 네슬레는 팔포지아의 상업화 실패를 인정하며 2023년 상반기까지 검토를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었다. 결국
휴온스그룹의 의료기기 전문기업 휴온스메디텍(Huons Meditech)은 11일 엠아이텍의 체외충격파쇄석기 사업분야를 35억7800만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체외충격파 쇄석기는 마그네틱 방식으로 발생하는 충격파를 체내에 전달해 요로, 신장 등의 결석을 파쇄하는 의료기기다. 이번 인수계약으로 휴온스메디텍은 엠아이텍이 보유한 영업관련 자산, 부채, 각종 계약상 지위, 영업권 기타 권리, 의무 등을 포함한 쇄석기사업 분야 일체를 확보했다. 엠아이텍은 사업영역 포트폴리오 재편에 따라 매각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휴온스메디
티움바이오(Tiumbio)는 ALK5(TGF-βR1)/VEGFR2 이중저해제인 ‘TU2218’의 임상1a상 결과를 오는 10월 및 11월에 각각 개최되는 유럽 종양학회(ESMO 2023)와 미국 면역항암학회(SITC 2023)에서 발표한다고 11일 밝혔다. TU2218은 형질전환성장인자(TGF-β)및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신호전달경로를 동시에 저해하는 경구용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티움바이오가 이번 발표예정인 임상1a상(NCT05204862)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TU2218의 단독투여를 평가한 임상이다. 임상1
코로나19 팬데믹은 지난 몇년간 안정적인 혈액공급을 불안정하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로 나타났다. 지난 2020년 한 해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고 나서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의 보유 혈액량은 적정단계인 5일분에서 주의단계인 3일분 이하까지 반복적으로 감소했다. 당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재난문자, 헌혈 캠페인 등을 통해 헌혈을 장려하며 단기적으로 보유 혈액량을 증가시켰지만 한계가 있었다. 헌혈을 통한 혈액수급 방식은 환경적 요인, 특히 팬데믹과 같은 전염질환에 영향을 받는다. 팬데믹의 발생시점도 미리 예측하기 어려워 또 다른 팬데믹에
아이도시아(Idorsia)가 J&J 제약부문 얀센(Janssen Pharmaceutical)으로부터 승인을 앞둔 저항성 고혈압(resistant hypertenstion) 약물의 글로벌 권리를 반환받는다. 아이도시아는 지난 2017년 J&J가 300억달러에 인수한 스위스 악텔리온(Actelion)으로부터 분사해 설립됐으며, 악텔리온의 핵심인력이 아이도시아 설립에 참여했다. 얀센은 같은해 아이도시아로부터 2억3000만달러에 아프로시텐탄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인수했다. 아이도시아는 지난해 이중 엔도텔린 수용체길항제(endo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지난 8일 서울 삼성동 소재 건물 및 토지를 650억원에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회사는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 방안을 검토한 후, 오는 2025년 상반기 내 본사 이전을 완료할 계획이다. 에이비엘은 취득자금 마련과 관련, “부동산 취득을 위한 유상증자는 없을 것”이라며 “현재 지출하는 임대료를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으로 전환하더라도 추가적인 현금 유출이 없으며, 향후 자산증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그동안 공간 부족으로 일부 조직들이 분산 근무하면서 소통과 업무의
씨젠(seagen)이 질병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표적단백질 분해약물(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을 항체-약물접합체(ADC)의 페이로드 대신 활용한 신규 모달리티 항체-분해약물접합체, ‘DAC(Degrader-Antibody Conjugates)’ 기반 신약개발에 나섰다. 파트너사는 이전부터 빅파마와 다수의 TPD 파트너십을 체결했던 누릭스(Nurix Therapeutics)다. 누릭스는 지난 2019년 길리어드(Gilead Sciences), 지난 2020년 1월 사노피와 TPD 신약개발 파트
Lunit (KRX:328130.KQ), a leading provider of AI-powered solutions for cancer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is spearheading a transformative change in breast cancer screening, bolstered by groundbreaking findings from a prospective study led by Dr. Fredrik Strand at the Karolinska Institutet, Sweden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5만5000명을 대상으로 한 리얼월드(real-world) 유방암 검진 세팅에서 인공지능(AI)이 의사를 대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냈다. 유럽 가이드라인은 유방암 검진시 영상의학과 전문의 2명이 이중판독(double reading)을 하도록 제시하는데, 이때 AI가 전문의 1명을 대체할 경우 암을 더 많이 발견했다. 특히 루닛의 AI가 단독 판독할 경우 환자가 병원을 방문해 재검사를 하는 리콜률(recall rate)이 현저히 낮았다. 유방촬영술(mammography)은 1980
빔 테라퓨틱스(Beam Therapeutics)가 염기편집(base editing) 기반 동종유래(allogeneic) CAR-T 치료제의 초기 임상에 진입한다. 빔의 동종유래 CAR-T 후보물질 ‘BEAM-201’는 자체 다중 염기편집(Multiplex editing) 기술을 기반으로 환자로부터 공여받은 T세포의 유전자 4종을 동시에 침묵(silencing)시켜, 기존 CAR-T의 숙주 거부반응(host rejection), CAR-T 동족살해(fratricide), 면억억제(immunosuppression) 등의 한계를 극복하
페이지는 7일(현지시간)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암 진단 및 치료를 혁신하기 위한 세계 최대규모의 이미지 기반 AI 모델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세계적으로 AI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IT기업 MS가 의료 AI의 진단영역으로 진입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MS와 페이지가 개발하는 새로운 AI 모델은 감지하기 어렵고 복합성을 가지는 암세포를 포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기대한다. 페이지는 MS의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이용해 AI모델을 대규모로 학습시키고 향후 MS의 클라우드
샤페론(Chaperone)은 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후보물질 ‘누겔(NuGel)’의 임상2상(NCT06024499) 임상시험계획(IND)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샤페론은 이번 다국가 임상 2상에서 경증 또는 중등도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 210명을 대상으로 약동학, 안전성, 내약성, 유효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대상환자는 이중눈가림 방식으로 위약과 누겔을 8주간 바르게 된다. 샤페론은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 대한 위약 대비 누겔의 중증도 지수(EASI 점수) 개선 효과 확인을 목표
오토텍바이오(AUTOTAC Bio)는 최근 식약처(MFDS)로부터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인 'ATB2005'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ATB2005는 권용태 서울대 의대 교수가 알츠하이머병 원인으로 알려진 변성 타우(tau) 단백질의 타깃 분해제로 개발한 후보물질로, 표적단백질분해기술(targeted protein degradation, TPD) 플랫폼 ‘AUTOTAC’에 기반하고 있다. AUTOTAC은 2가지 파트로 구성된다. p62에 결합하는 ATL(autophagy-targeting li
HK이노엔(HK inno.N)은 지난 6일 동아에스티(Dong-A ST)와 비소세포폐암(NSCLC)을 적응증으로한 ‘EGFR 분해제’ 공동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HK이노엔이 개발중인 EGFR L858R 변이 저해제에 동아에스티의 표적단백질분해(TPD) 기반기술을 접목해 EGFR 변이 NSCLC를 타깃하는 EGFR 분해제를 개발하는 목표다. 두 회사는 이번 MOU를 통해 EGFR L858R 변이를 타깃하는 차세대 EGFR 분해제 후보물질을 도출할 계획이다. 두 회사가 개발할 계획인 EGFR 분해제의 작용기
BMS가 제나스 바이오파마(Zenas BioPharma)로부터 후기 임상단계의 자가면역질환 항체 후보물질의 일본,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 호주 지역에 대한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계약금 5000만달러에 사들였다. 여기에 더해 BMS는 제나스에 지분투자를 진행한다. 제나스는 현재 승인된 약물이 없는 자가면역질환인 IgG4-RD에 대해 피하투여(SC) 방식의 ‘오벡셀리맙(Obexelimab)’ 임상3상(NCT05662241)을 진행 중이다. 제나스는 지난 2021년 젠코(Xencor)로부터 4억8000만달러에 오벡셀리맙의 전
하우만 아슈라피안(Houman Ashrafian) SV헬스 인베스터스(SV Health Investors) 과학고문이 오는 11일부터 사노피(Sanofi)의 R&D 헤드(Head of R&D)로 업무를 시작한다. 지난 2월, 5년동안 사노피의 R&D를 이끌어왔던 존 리드(John Reed) 박사가 존슨앤존슨(J&J) 제약부문 R&D 헤드로 자리를 옮긴 이후 6개월만이다. 현재 사노피의 R&D 부문은 디트마르 베르거(Dietmar Berger)가 임시책임자(ad-interim)를 맡아 리드하고 있다. 사노피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리제네론, ‘고용량 아일리아’ 투약간격↑ “FDA 거절”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포트래이, 공간생물학·AI융합기술 11건 “AACR 발표”
삼성바이오, 1Q 매출 1조2983억 "전년比 37%↑"
다안바이오, GC셀에 고형암 ‘CAR-T/NK 항체’ L/O
퍼스트바이오, 'HPK1 저해제' 메커니즘 "AACR 발표"
SK바사, 모더나 'mRNA 제조' 특허소송서 "승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