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T 전문기업 큐로셀(Curocell)이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했다. 큐로셀은 국내 회사로는 처음으로 CAR-T 임상개발을 시작한 회사로, 지난 2016년 12월 CAR-T 전문 바이오텍으로 설립됐다. 설립 7년만에 코스닥 상장이라는 성과를 이뤄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코스닥시장 상장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큐로셀의 상장예비심사를 승인했다고 7일 밝혔다. 큐로셀은 앞서 올해 2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에서 두 곳의 평가기관 한국평가데이터와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각각 A, BBB 등급을 받아 기평을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차세대 항암제를 목표로 3세대 ADC 기술을 적용한 이중항체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 개발에 나선다. 에이비엘바이오는 7일 네덜란드 ADC 플랫폼 회사 시나픽스(Synaffix B.V)로부터 ADC 기술을 도입해 최대 3개의 ADC 개발에 활용하는 비독점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시나픽스와의 딜로 토포아이소머라제1(topoisomerase1, TOP1) 저해제인 엑사테칸(extatecan)이 적용된 링커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J&J)이 ‘타그리소’가 장악하고 있는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에서 첫 임상3상 성공을 알리면서, 공고해 보였던 EGFR 변이 폐암 시장에서 균열을 만들어내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해 타그리소로 54억달러를 벌어들였다. 바로 다음주 초 세계폐암학회(WCLC 2023)에서 아스트라제네카가 후발주자 진입 벽을 높이기 위해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대상 타그리소와 화학항암제 병용요법의 임상3상 세부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J&J는 아스트라제네카를 한층 더 압박
HLB 관계사 미국 베리스모 테라퓨틱스(Verismo Therapeutics)는 7일 KIR CAR-T ‘SynKIR-110’에 대한 미국 임상1상에서 첫 환자 투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1상은 SynKIR-110의 안전성,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타깃 항원인 메소텔린(Mesothelin)이 발현된 중증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연구진은 메소텔린 항원 발현 수준을 기준으로 선정한 환자들에게 대해 SynKIR-110을 투여하고 12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또는 암이 다시 진행될 때까지의 기간(disease prog
씨젠(Seagen)과 젠맙(Genmab)이 공동개발한 조직인자(tissue factor, TF)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가 단일 화학요법 대비 자궁경부암 환자의 전체생존기간(OS)을 개선한 긍정적인 임상3상 결과를 보였다. 씨젠과 젠맙의 TF ADC ‘티브닥(Tivdak, tisotumab vedotin-tftv)’은 지난 2021년 9월 자궁경부암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받았다. 이번 임상3상은 티브닥의 확증임상(confirmatory trial)으로써, 씨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최근 미국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가던트헬스(Guardant Health)와 암 진단 제품의 국내 유통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두 회사는 혈액을 이용해 암을 정밀 분석하는 가던트헬스의 액체생검 및 조직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국내 여러 의료기관에 적극적으로 추가 도입을 추진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가던트360(Guardant360)과 가던트 리빌(Guardant Reveal) 등 다양한 액체생검 서비스를 우선 공급한다. 가던트360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머크(MSD)가 첫 경구용 PCSK9 저해제(inhibitor)의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lemia)을 대상으로 대규모 임상3상을 시작한다. 1만7000명이상의 임상참여자를 모집해 6년이상 임상을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경구용 PCSK9 저해제인 ‘MK-1606’에 대한 자신감이 읽히는 공격적인 투자다. 이는 MK-1606이 보인 고콜레스테롤혈증 임상2b상에서의 강력한(robust)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감소효과를 기반으로 이뤄졌으며, 키트루다(Keytruda)의 뒤를 이을 차세대 블럭버스터 약물
마이크로바이오틱스(Microbiotix)는 6일 CTO(Chief Technology Officer)에 오영수 부사장을, CFO(Chief Financial Officer)에 이치영 상무를 각각 영입했다고 밝혔다. 오 부사장은 서울대를 졸업하고 휴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앱티스 수석부사장, 레고켐바이오 수석부사장, LG생명과학 연구위원을 지냈다. 오 부사장은 마이크로바이오틱스에서 박테리오파지 연구를 총괄하는 등 임상개발 업무를 담당한다. 이 상무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삼일회계법인에서 공인회계사, 한국투자증권에서 M&A, IP
영진약품(Yungjin Pharm)은 스웨덴 앱리바(Abliva AB)에 기술이전한 원발성 미토콘드리아 이상질환(PMD) 치료제 후보물질 ‘KL1333’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패스트트랙(Fast Track) 지정을 받았다고 6일 밝혔다. 영진약품은 지난 2017년 앱리바(사명변경前 NeuroVive Pharmaceutical)에 NAD+ 조절제(modulator) KL1333의 한국, 일본을 제외한 전세계 지역에 대한 권리를 계약금 300만달러를 포함 총 5700만달러 규모에 라이선스아웃(L/O)했다. 영진약품은 현재
로슈(Roche)의 ALK 저해제 ‘알레센자(Alecensa, alectinib)’가 초기 ALK 양성(+)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3상에서 재발률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현재 후기 ALK+ 전이성 비소세포폐암(metastatic non-small cell lung cancer, mNSCLC)에 대한 1차치료제로 시판중인 알레센자가 이번 임상 결과로 적응증 확대에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로슈에 따르면 초기 NSCLC 환자의 절
유한양행(Yuhan)은 사이러스테라퓨틱스(Cyrus Therapeutics)와 저분자화합물 기반 표적항암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MOU 체결에 따라 사이러스테라퓨틱스의 저분자화합물 표적치료제와 분해약물(degrader) 개발 기술을 활용해 항암제 신약개발 기초연구, 신약 후보물질의 공동개발, 기술이전 및 상용화 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다.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는 “저분자화합물 항암치료제 개발에 역량이 높은 사이러스와의 협력을 통해서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항암신약 개발이 진행되어, 향후 제2의
젠큐릭스(Gencurix)는 6일 딥바이오(DeepBio)와 인공지능(AI) 전립선암 진단 검사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젠큐릭스와 딥바이오는 AI 전립선암 진단검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비즈니스모델 공동개발을 시작으로 AI 암진단 서비스 사업에 본격 착수할 예정이다. 딥바이오는 지난 2020년 AI 전립선암 진단 소프트웨어 ‘DeepDx-Prostate’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받고 사업화 추진 중이다. DeepDx-Prostate는 전립선암 유무와 암 조직 포함 확률을 제공하고, DeepDx
일동제약은 6일 GLP-1 수용체 작용제(glucagon-like peptide-1 receptor agonist)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에 대한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일동제약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ID110521156에 대한 내약성, 안전성, 약동학적 특성 등을 평가할 예정이다. 일동제약은 임상개발 등 상용화 작업의 진행상황에 따라 향후 제2형당뇨병, 비만 등을 적응증으로 하는 경구용 약물로 개발할 계획이다. ID110521156은 GLP-1 수용체 작용제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로 개발하는 α-synxIGF1R 이중항체 ‘ABL301’의 임상1상 고용량 투여를 위한 비임상 독성실험에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ABL301은 지난해초 사노피(Sanofi)에 라이선스아웃(L/O)한 약물로 임상1상까지 에이비엘바이오가 주도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비임상 실험에서 원숭이와 설치류에 기존 실험에서 투여했던 용량대비 최대 4배의 고용량을 투여한 결과, 독성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ABL301은 파킨슨병에서 두드러지는 병리 단백질인
신약개발 바이오텍 스파크바이오파마(Spark Biopharma)는 HK이노엔(HK inno.N)과 표준치료제 스타틴 계열에 불응하는 환자를 타깃한 신규 이상지질혈증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에서 스파크바이오파마는 자체 보유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인 pDOS(Privileged substructure-based Diversity Oriented Synthesis) 화합물 라이브러리로부터 도출한 유효물질(hit) 화합물을 기반으로 약효 최적화를 위해 합성연구, 세포 활성 평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ENPP1 저해제 ‘TXN10128’의 국내 임상1상에서 첫 환자 투약을 개시했다고 6일 밝혔다. 티씨노바이오에 따르면 글로벌에서 2번째로 ENPP1 저해제가 임상단계로 진입한 사례이다. 이번 임상1상은 기존 치료제에 재발하거나 불응한 진행성 고형암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TXN10128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력학적 특성(PK/PD), 예비 항종양활성 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된다. 임상기관은 서울아산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총 3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리제네론, ‘고용량 아일리아’ 투약간격↑ “FDA 거절”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포트래이, 공간생물학·AI융합기술 11건 “AACR 발표”
삼성바이오, 1Q 매출 1조2983억 "전년比 37%↑"
다안바이오, GC셀에 고형암 ‘CAR-T/NK 항체’ L/O
퍼스트바이오, 'HPK1 저해제' 메커니즘 "AACR 발표"
SK바사, 모더나 'mRNA 제조' 특허소송서 "승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