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스코텍(Oscotec)은 11일 자회사 제노스코(Genosco)와 개발한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레이저티닙(국내명 렉라자, 미국명 라즈클루즈)’의 병용요법 상업화에 따라 마일스톤 2400만달러를 수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레이저티닙 병용요법의 미국 상업화 개시에 따라 유한양행은 J&J(존슨앤존슨)로부터 단계별 마일스톤 6000만달러(약 804억원)을 수령할 예정이고, 이 가운데 40%인 2400만달러(약 320억원)를 오스코텍과 제노스코에 50:50 비율로 분배하게 된다. 오스코텍과 제노스코는 지난 2015년 전임상 단계에서 레이
유한양행(Yuhan)은 J&J(Johnson & Johnson)의 자회사 얀센 바이오테크(Janssen Biotech)에 기술수출한 3세대 EGFR TKI 레이저티닙(Lazertinib)의 단계별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기술료 6000만달러(약 804억원)를 수령할 예정이라고 11일 공시했다. 해당 마일스톤은 레이저티닙과 J&J의 EGFRxMET 이중항체 ‘아미반타맙(Amivantamab)’ 병용요법의 상업화 개시에 따른 단계별 마일스톤이다. 계약에 따라 마일스톤은 60일이내 수령하게 된다. 이는 유한양행의 2023년 연결기준 전년
피노바이오(Pinotbio)는 11일 향후 자사의 차세대 항체-약물접합체(ADC) 플랫폼 개발 방향으로 ‘이중 페이로드(Dual payload) ADC’를 선언하고, 연구결과를 최초 공개했다고 밝혔다. 정두영 피노바이오 대표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ADC & 방사성의약품 & 바이오텍 파트너링 서밋(ADC & Radiopharmaceuticals Pharma & Biotech Partnering Summit)에, 조현용 연구본부장(전무)은 중국 우시시에서 열린 ‘제3회 글로벌 XDC 혁신 컨퍼런스(The 3rd Global XDC
젠큐릭스(Gencurix)는 오는 13일부터 17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2024 유럽종양학회(ESMO 2024)에서 간암 조기진단을 위한 신규 분자유전학적 검사법인 ‘HEPA eDX’의 유효성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11일 밝혔다. HEPA eDX는 간암 환자의 혈액 속에 존재하는 ctDNA(circulating tumor DNA)에서 메틸화된 바이오마커를 이용해 간암을 진단하는 디지털 PCR 기반 유전자 검사다. HEPA eDX는 1만례 이상의 조직, 혈액 검체에서 암 특이적 메틸화 패턴을 분석해 간암 진단에 적합한
딥바이오(Deep Bio)는 11일 자사의 전립선암 분석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인 ‘딥디엑스 프로스테이트(DeepDx Prostate)’를 로슈 진단(Roche Diagnostics)의 ‘네비파이(navify®)’ 디지털병리 플랫폼에 통합한다고 밝혔다. 딥바이오는 로슈 플랫폼에 딥디엑스 프로스테이트를 통합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공급망을 확대하는 동시에, AI를 활용한 새로운 인사이트와 데이터를 도출해 더 나은 치료결정을 통해 진단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회사에 따르면 딥디엑스 프로스테이트 알고리즘은 전립선암 분석에
HK이노엔(HK inno.N)이 한국화이자제약과 신규 코로나19 백신 ‘코미나티제이엔원주(단회용)(브레토바메란)(사스코로나바이러스-2 mRNA 백신)’의 국내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HK이노엔은 이달부터 한국화이자제약의 신규 코로나19 백신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인 고위험군(65세 이상 어르신, 면역저하자)을 제외한 일반인 대상인 민간공급 제품에 대한 국내 유통을 담당한다. 양사는 긴밀한 유통협력을 통해 신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코미나티제이엔원주’는
셀트리온(Celltrion)은 11일 ‘램시마SC’가 오세아니아 주요국인 호주에서 올해 1분기 기준 20%(IQVIA)의 점유율을 최초로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21년 출시 첫해 1%에 불과했던 점유율이 매년 성장세를 지속하며 실질적인 처방성과로 이어진 성과라고 셀트리온은 해석했다. 램시마SC는 글로벌 전역에서 20년 이상 사용되며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된 인플릭시맙(infliximab) 제제를 SC제형으로 개발한 제품이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지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호주 내에서 의료시설과 인력부족 문제가 대두되
HLB는 10일 뉴로토브(NeuroTobe)의 주식 54만9809주를 160억원에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이를 통해 HLB는 뉴로토브의 지분 73.02%를 보유하게 된다. 뉴로토브는 김대수 카이스트(KAIST) 교수가 지난 2021년 설립한 바이오텍으로 파킨슨병(PD), 근긴장이상증(dystonia) 등 난치성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뉴로토브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신경질환에 관여하는 T-Type2 칼슘 채널인 CaV3.1를 타깃하는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후보물질 ‘NT3’를 파킨슨병 치료제로 약물재
에스티팜(ST Pharm)은 10일 탄키라제(TNKS)1/2 저해제인 ‘바스로파립(basroparib, STP1002)’의 고형암 임상1상 결과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1상은 바스로파립의 첫(first-in-human) 임상시험으로, 대장암, 비소세포폐암(NSCLC), 위암, 신장암, 간암 등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내 3개 기관에서 진행했다(NCT04505839). 임상은 지난 2020년 7월 시작해 지난해 3월 완료했다. 에스티팜은 지난 6일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부터 이번 임상시험 결과보고서(clin
삼진제약(Samjin Pharmaceuticals)은 10일 자체 생산 완제의약품으로 FXa(Factor Xa) 억제제인 경구용 항응고제(NOAC) ‘엘사반정(2.5/5mg, Elxaban Tab.)’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엘사반정은 심방세동 환자의 혈류속도 저하로 인해 발생되는 혈전생성을 억제, 이로 인한 뇌졸중과 전신색전증에서의 위험을 낮춰주는 기전이다. 리얼월드 데이터에 따르면 엘사반정의 성분 ‘아픽사반(Apixaban)’은 기존의 항응고제인 와파린(wafarin) 대비 효능은 동등 이상, 출혈발생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
지씨셀(GC Cell)은 10일 인도네시아 줄기세포치료제 기업 비파마(PT Bifarma Adiluhung)와 160억원 규모로 ‘이뮨셀엘씨주(Immuncell-LC)’에 대한 기술이전 및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전의 총 계약규모는 약 160억원으로, 계획대로 내년 런칭될 경우 지씨셀은 내년부터 매출액 연동 두자리수 로열티를 수령하게 된다. 계약금 등 세부사항은 양사 합의하에 비공개로 진행됐다. 이뮨셀엘씨는 지난 2007년 간세포암(HCC) 수술후요법(adjuvant)을 적응증으로 국내에서 승인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는 10일 성장호르몬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대웅제약은 임상에서 소마트로핀(somatropin) 성분의 성장호르몬 약물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대웅제약의 피하주사(SC) 성장호르몬 약물인 ‘케어프로핀카트리지’을 비교해 안전성과 약동·약력학적 특성을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웅제약은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SC 제형 약물과 동등한 수준의 약물흡수율 확인을 통해 상업화 가능성을 살펴볼 계획이다. 회사에 따르면 성장
이엔셀(ENCell)은 9일 홍콩 루시 바이오텍(Lucy Biotech)에 중간엽 줄기세포 후보물질 ‘ENS001’의 아시아 6개국 권리를 1950만달러(한화 259억원) 규모로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엔셀은 루시로부터 계약금 150만달러(한화 20억원)에 더해 마일스톤으로 1800만달러(239억원)를 받게 된다. 상업화 이후 로열티는 별도다. 루시는 이엔셀이 개발중인 중간엽 줄기세포 후보물질 ENS001의 홍콩, 대만, 마카오,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등 아시아 6개국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 루시는
Lunit, today announced its collaboration with Roche to integrate Lunit SCOPE PD-L1 22C3 TPS into Roche's navify® Digital Pathology platform. This marks the first deployment of Lunit's AI technology with Roche, supporting pathologists and scientists with enhanced tools for cancer research as part of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지난 2022년 4월 샤페론(Shaperon)과 체결한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제 후보물질 ‘BBT-209에 대한 기술도입 계약해지를 결정했다고 10일 공시했다. BBT-209는 GPCR19 작용제(agonist)이다. 이번 계약해지에 따라 샤페론은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로부터 수령한 선급금 20억원의 반환 의무가 없으며, 브릿지바이오는 샤페론에게 추가 중도 및 경상 기술료 지급 의무가 없다. 브릿지바이오는 공시를 통해 “이번 계약 해지의 사유는 연구개발 역량 집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글로벌 생명공학기업 로슈(Roche)의 진단사업부인 로슈진단(Roche Diagnostics)의 '네비파이 디지털 병리(Navify Digital Pathology)' 플랫폼에 AI 병리분석 솔루션 '루닛 스코프 PD-L1'을 통합한다고 10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로슈가 디지털 병리분석 협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루닛의 AI 솔루션을 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네비파이는 병리학자의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한 종합 플랫폼으로, 조직 슬라이드 디지털화부터 AI 기반 분석까지 병리학
로버트 칼리프 前국장 "우리가 알던 FDA는 끝났다"
[인사]한미그룹, 임원 승진 인사
"'알파폴드' 허사비스" 아이소모픽, '첫' 6억弗 펀딩
'CAR-M' 카리스마, 인력 95% 감원..“회사매각 추진”
알테오젠헬스케어, 고진국 대표이사 선임
로슈, 사렙타 ‘엘레비디스’ DMD 유럽 임상 “일시 중단”
사노피, ‘항트롬빈 저해’ siRNA 전체 혈우병 “첫 승인”
獨머크, 中 ‘CSF-1R’ 글로벌권리 "8500만弗 옵션행사"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디티앤씨 휴사이언스, 조권 대표 선임
보령, 전문의약품 총괄 부사장에 박윤식 COO 임명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셀트리온, '휴미라 시밀러' 교차투여 3상 "논문 게재"
JD바이오, ‘HTR2A 저해제’ MASH 2상 “美 IND 신청”
DA인포메이션, "DI 강화" 제약바이오 IT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