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정지윤 기자
백신 전문기업 유바이오로직스(Eu Biologics)는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사업’에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국책과제는 ‘국산 mRNA 플랫폼 기술 기반 코로나 변이주 및 신·변종 감염병 대응 백신개발 비임상 연구’를 주제로 하며, 국산 mRNA 백신의 임상1상 시험계획서(IND) 승인 획득을 목표로 한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이번 과제의 총괄기관으로서 mRNA 백신 개발의 전 주기를 주도하며, 백신 후보물질 개발, 생산공정 구축, 비임상 시험 등 전 분야에서 전문역량을 갖춘 기관들과 협력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협력 컨소시엄에는 유바이오로직스를 중심으로 ▲SML바이오팜(SML Biopharm) ▲인벤티지랩(Inventage Lab)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울대 등이 참여한다. SML바이오팜은 백신 후보물질 개발 및 mRNA-LNP 플랫폼을 제공하고, 인벤티지랩은 mRNA-LNP 생산공정 개발을 맡으며, 생명연과 서울대는 비임상 효력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유바이오로직스는 그동안 단백질 기반 서브유닛(protein subunit) 백신개발에 강점을 보여왔으며, 이번 과제를 통해 mRNA 백신 플랫폼 기술도 확보해 백신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이번 정부과제 선정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mRNA 백신이라는 글로벌 차세대 플랫폼을 선점하고 국가의 백신주권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전기가 될 것”이라며 “현재 개발중인 단백질 서브유닛 백신의 경우 선진시장 공략을 목표로 하는 프리미엄 백신들로 RSV백신과 대상포진 백신은 올해말 전후로 임상2상에 진입하게 될 예정이며, 기존 단백질 서브유닛 기술과의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감염병 대응 체계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전날 유바이오로직스를 비롯한 총 4곳의 사업단을 선정해 발표했다. 해당 사업은 올해부터 오는 2028년까지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국산 mRNA 백신 허가를 목표로 비임상부터 임상3상까지 총 사업비 5052억원을 지원하는 연구사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