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는 최근 글로벌 제약회사와 국제적 연구기관에서 연구개발 경력을 보유한 2명의 신약개발 전문가를 영입했다고 1일 밝혔다. 김영화 박사는 지난 10년간 글로벌제약사인 영국 아스트라제네카에서 항암제 개발 임상분야 디렉터로 근무하다 지난달 퍼스트바이오에 최고임상개발책임자(Chief Development Officer, CDO)로 합류했다. 김 CDO는 미국 코넬대학 메디칼스쿨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의약 전문가로, 아스트라제네카 이전에 글로벌 제약사인 화이자, 머크에서 연구개발과 사
셀리드(Cellid)는 1일 옥창민 상무를 사업·마케팅실장으로, 김유경 이사를 GMP 생산본부장으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옥창민 상무는 한국MSD, 종근당에서 글로벌 비즈니스를 담당하며 포트폴리오 개발 및 전략 수립,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십 구축 등의 업무를 진행했다. GMP 생산본부를 이끄는 김유경 이사는 식약처, 한미약품에서 생산총괄, 바이오의약품 국내외 허가 및 등록 등의 경험을 쌓았다. 회사는 두 전문가의 영입이 향후 셀리드의 글로벌 비즈니스와 안정적인 대량생산 시스템 구축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셀리
큐라클은 1일 주주총회를 거쳐 유재현 대표이사를 선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유재현 큐라클 신임 대표이사는 서울대 제약학과 졸업 후 1998년 한국얀센에 입사했다. 그 후 22년간 전략마케팅, 사업부 총괄 임원 등의 직책을 맡았으며 다양한 질환영역에 대한 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미국 존슨앤존슨 본사 제약그룹에서는 글로벌 전략마케팅,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략마케팅, 중국 얀센 마케팅 임원 등을 역임하며 다양한 국가에서 제품개발부터 사업화까지의 경험을 쌓았다. 큐라클 관계자는 “글로벌 신약개발 회사로의 성장을 가속화하기
압타머 플랫폼 기반 신약개발 및 진단기기 개발 바이오텍 압타머사이언스(Aptamer Sciences)가 임상개발 전문가인 최정은 박사를 전무로 영입했다고 1일 밝혔다. 최정은 박사는 이화여대 약학학사 출신으로 동대학원 약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보령제약, JW중외제약, 카이노스메드 등에서 임상개발 총괄 및 품목허가 업무를 담당했다. 압타머사이언스 관계자는 "신약 개발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글로벌 연구동향을 잘 파악하고 있어, 당사의 파이프라인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적임자로 생각한다”며 “임상개발 전문가의 영입으로
바이오오케스트라는 24일 모더나(Moderna), 아이오니스(Ionis) 스핀오프 악시아(Akcea) 출신 임상개발 전문가 루이스 오데아(Louis St.L. O'Dea) 박사 최고의학책임자(Chief Medical Officer, CMO)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바이오오케스트라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조직에서 높게 발현하는 miRNA-485-3p를 타깃하는 ASO를 합성, 전달체(BDDS™)를 통해 뇌로 전달하는 컨셉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다. 또한 miRNA-485-3p 마커를 이용해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 등 진단
일반 체세포를 심혈관 ‘조직’으로 직접 전환해 심장재생 치료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됐다. 그동안 재생능력이 없는 심장치료를 위해서는 이식수술 외 방법이 없던 상황에서, 새로운 접근법의 심장재생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보여준다. 윤영섭 연세대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교수팀과 미국 에모리대(Emory University) 연구팀은 일반 체세포의 하나인 섬유아세포를 직접전환 방법을 통해 주요 심장세포들과 세포외 기질을 보유한 ‘직접전환 심장유사조직(reprogrammed cardiovascular tissue, rCVT)’을 만들어
의료 AI기업 루닛(Lunit)이 정남이 아산나눔재단 상임이사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고 13일 밝혔다. 루닛은 지난 10일 제9기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정 이사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임기는 지난 10일부터 총 3년이다. 정 상임이사는 앞으로 루닛에서 환경과 사회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다하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확립하는 ESG(Environment·Social·Governance) 경영을 위한 중장기 목표를 설정하고 기본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는 한편, ESG 경영 활동 성과를 점검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백승욱 루닛 이사회 의장
전 세계가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전례없는 어려움을 겪고있는 동안, 사회 각 분야는 모두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로 접어들었다. 그동안 번거로워 적용하지 않았던 온라인 회의・강의가 대세가 되었고, 배달하지 않던 모든 식당이 배달을 시작하게 되었다. 사람 간의 접촉이 없어지고 마스크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필수품이 되었다. 이러한 사회 전분야의 변화는 실험동물분야에도 어김없이 찾아왔다. 실험동물의 관리, 운송, 폐기물처리 그리고 동물실험 과정에 대한 관리 등에서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이 요구됐고, 실험동물관리자가 코로
난치성 신경질환 신약개발 전문기업 아스트로젠은 3일 신임 연구소장에 안기찬 박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안 연구소장은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 및 개발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안 연구소장은 부산대 생물학과를 졸업한 후 캐나다 앨버타대(University of Alberta)에서 신경화학(Neurochemistry) 석사학위와 신경생물학(Neurobiology)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텍사스대(University of Texas at Austin)에서 신경생리∙신경행동(Neurophysiology & Behavioral Neuro
항체기반 신약개발 바이오텍인 에이피트바이오(APITBIO)가 강원대학교 교수 출신인 홍효정, 김세호 부사장을 영입했다고 2일 밝혔다. 에이피트바이오는 이번 영입을 통해 항암제 항체 후보물질 개발뿐만 아니라, B형간염 치료제의 미충족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의 항체치료제 개발을 시작으로 감염병 치료제 개발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윤선주 에이피트바이오 대표는 “두 신임 부사장은 앞으로 에이피트바이오의 연구개발 최고위원으로서 연구개발 방향 수립 및 전반적인 진행상황을 점검하는 등 성공적인 혁신 항체신약개발을 위한 컨트롤타워로서
GC녹십자는 2일 배백식 경영전략실장을 영입했다고 밝혔다. 배 신임 실장은 카이스트(KAIST)에서 토목공학 학사 및 경영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콜롬비아대(Columbia University)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이후 2006년 보스톤 컨설팅그룹(Boston Consulting Group)에서 프로젝트 리더(Project Leader)로 근무했고, 2014년 두산그룹에 입사해 두산, 두산중공업 등에서 전략기획 업무를 담당한 바 있다. 배 실장은 앞으로 GC녹십자의 중장기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수립 및 운영 등
부신백질이영양증(Adrenoleukodystrophy, ALD)을 유전자 교정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조성래 세브란스병원 재활의학과 교수와 배상수 한양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은 ALD 환자 유래 세포와 동물모델에서 유전자가위를 통해 변이 유전자를 교정하는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몰레큘러 테라피(Molecular Therapy) 최신호에 게재됐다(DOI: 10.1016/j.ymthe.2021.05.022). ALD는 지방산 운반을 담당하는 ABCD1의 유전자 변이로 신경계와 부신피
보령제약은 30일 이사회를 열어 장두현 경영총괄 부사장을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사장으로 승진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 보령제약은 기존 안재현, 이삼수 각자 대표체제에서 장두현 단독 대표체제로 변경된다. 앞으로 안재현, 이삼수 사장은 사내이사이자 최고 경영위원회 의장을 맡게 된다. 회사측은 "이번 이사회를 통한 대표이사 변경은 중장기 경영전략과 22년도 경영계획을 책임 있게 수행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전문기업 고바이오랩(KoBioLabs)이 신임 연구소장(Chief Technology officer, CTO)으로 강윤경 박사를 영입했다고 17일 밝혔다. 남태욱 전 연구소장은 향후 고바이오랩 과학고문으로 기초 연구 및 개발 과정에 힘을 보탤 계획이다. 강윤경 신임 연구소장은 서울대 분자생물학과를 졸업하고 Rockefeller University에서 생화학 박사를 취득했다. 또한 Baylor의과대 전임 강사 및 University of Florida 교수로 재직하면서 분자세포생물학 및 기능유전체학 등 생물학
하태기 상상인증권 리서치센터 상무는 바이오산업 투자 전략에 대해 “아직까지는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안전하다”며 “좋은 플랫폼 기술을 가진 기업이 나오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하 상무는 바이오기업에 투자할 때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으로 신약개발 및 R&D 비중, 해외진출 등 3가지를 꼽았다. 그는 또 바이오산업이 발달하면서 새로운 이머징 인더스트리가 생기게 되는데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바이오소재, 대체육 등에도 관심을 가질만하다고 소개했다. 하 상무는 12일 바이오아이코어사업단 유튜브 채널에 출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면역치료제연구센터 조이숙 박사팀이 인간 체세포를 다른 세포로 다시 프로그래밍(direct reprogramming)하는 기술로 제작한 ‘직접분화 NK세포(directly reprogrammed Natural killer cell, drNK)’가 항암 면역치료제에 적용될 가능성을 보였다. 직접분화 리프로그래밍이란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거치지 않고, 다능성 전사인자(pluripotency transcription factor)와 최적화된 리프로그래밍 배지(medium)를 통해 세포의 운명을 바꾸는
로버트 칼리프 前국장 "우리가 알던 FDA는 끝났다"
[인사]한미그룹, 임원 승진 인사
"'알파폴드' 허사비스" 아이소모픽, '첫' 6억弗 펀딩
'CAR-M' 카리스마, 인력 95% 감원..“회사매각 추진”
알테오젠헬스케어, 고진국 대표이사 선임
로슈, 사렙타 ‘엘레비디스’ DMD 유럽 임상 “일시 중단”
사노피, ‘항트롬빈 저해’ siRNA 전체 혈우병 “첫 승인”
獨머크, 中 ‘CSF-1R’ 글로벌권리 "8500만弗 옵션행사"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디티앤씨 휴사이언스, 조권 대표 선임
보령, 전문의약품 총괄 부사장에 박윤식 COO 임명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셀트리온, '휴미라 시밀러' 교차투여 3상 "논문 게재"
JD바이오, ‘HTR2A 저해제’ MASH 2상 “美 IND 신청”
DA인포메이션, "DI 강화" 제약바이오 IT서비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