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그룹(Hanmi Group)이 새로운 50년을 향한 힘찬 비상을 다짐하며 새해 첫 업무를 시작했다. 송영숙 한미그룹 회장은 2일 오전 사내 업무망을 통해 그룹사 전 임직원에게 보낸 신년사에서 새해 인사와 함께 “한미 역사의 새로운 첫 페이지가 열리는 2024년 새해를 맞아 한미그룹에 내재된 ‘저력’을 보여주자”고 강조했다. 송 회장은 또 작년에 일군 혁신 성과들을 언급한 뒤, 새해에는 ‘힘차게 도약하는 한미, 함께 하는 미래’로 정한 경영 슬로건을 힘있게 추진해 나가자고 독려했다. 송 회장은 ▲6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1위 달
유한양행(Yuhan)은 2일 2023년 시무식을 갖고 갑진년 새해 새로운 각오를 다졌다. 유한양행은 기업비전인 ‘Great & Global’ 달성을 위해 2024년 경영지표를 ‘Passion, Proactive, Perseverance’로 정했다. 유한의 핵심 덕목인 ‘Progress, Integrity’ 정신을 바탕으로 뜨거운 열정(Passion)으로 끊임없이 도전하고, 선제적 준비(Proactive)를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행동하며, 불굴의 의지(Perserverance)로 ‘Global Top 50 제약사’의 목표를 달성하자는
동아에스티(Dong-A ST)의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는 GLP-1/GCG 이중작용제인 ‘DA-1726’의 비만 적응증에 대한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DA-1726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을 평가하기 위해 2개 파트로 나누었으며, 비만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 이중 눈가림, 위약 대조, 평행 비교 방식으로 진행한다. 파트1에서 4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DA-1726 또는 위약 단회 투여
알지노믹스(Rznomics)는 리보핵산 치환효소(RNA trans-splicing ribozyme)를 적용한 항암제 후보물질인 ‘RZ-001’이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에 대한 1차 표준치료제와의 병용요법으로 식약처로부터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일 밝혔다. RZ-001은 알지노믹스가 보유한 리보핵산 치환효소 플랫폼 기술을 적용해 개발중인 항암제로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벡터로 리보핵산 치환효소를 전달함으로써 암세포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텔로머라아제(hTERT) RNA를 표적함과
한국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Korea)의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가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로 보험 급여가 확대된다. 보건복지부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에 따라 타그리소는 1월 1일부터 EGFR 엑손19 결손(Ex19del) 또는 엑손21(L858R) 치환 변이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1차 치료제로 급여가 적용된다. 2019년 1월 1차 치료제로 급여확대를 신청한 후 60개월 만의 성과이다. 타그리소는 최초의 3세대 EGFR TKI 약물로,
이동훈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 사장이 2일 2024년 갑진년(甲辰年)을 맞아 임직원 200여명과 함께 영화관에서 신년회를 개최해 지난해 성과를 치하하고 새해 포부를 밝혔다. 이동훈 사장은 “2023년은 구성원 모두가 숨가쁘게 달려온 덕분에,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SK Life Science Labs)의 성공적인 인수, 세노바메이트의 가속 성장과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새로운 파이낸셜 스토리를 발표와 ESG 경영 등 각 영역에서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며 임직원의 노고와 성과를 치하했다. 이 사장은 “C
표적단백질 분해(TPD) 신약개발 바이오텍 유빅스테라퓨틱스(Ubix Therapeutics)는 2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B세포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투여 BTK 분해약물(degrader) ‘UBX-303-1’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일 밝혔다. 유빅스에 따르면 국내에서 개발된 TPD 약물이 글로벌 임상시험에 들어간 첫 사례이다. 유빅스는 이번 미국 IND 승인을 시작으로, 올해 상반기 국내와 유럽에서도 IND 승인절차를 진행해 임상시험 국가를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이번 임상1상은 재발성 또는
보령(Boryung)은 2일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발령일자는 올해 1월 1일로 명단은 다음과 같다. ◆상무 △박중호(전략기획본부장) △임태헌(전략지원본부장) △박장희(안산품질그룹장) ◆상무 △정창훈(OTC마케팅본부장)
뇌질환 영상 인공지능(AI) 솔루션 전문기업 뉴로핏(Neurophet)이 2일 건국대병원과 뇌질환 영상진단 공동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를 통해 뉴로핏과 건국대병원은 뇌질환 영상 기반 진단기술 연구를 활성화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관련 기술 연구개발과 국내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상호협력 체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시판된 바이오젠(Biogen)의 ‘레켐비(Leqembi)’ 등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 관련 뇌 영상분석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중점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뉴로핏은 인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2024년 추구해야 할 가치로 '4E(Excellence)'를 선정하고, 고객만족·운영효율성·품질·임직원 역량을 강화할 것을 임직원들에게 강조했다고 2일 밝혔다. 존림 대표는 새해를 맞아 임직원들에게 ‘CEO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를 통해 지난해 우수한 성과를 함께 만든 임직원들의 노고에 감사함을 전하고, 올해 우선적으로 주안점을 둬야할 사항에 대해 설명했다. 존림 대표는 “2023년 엔데믹으로 인한 글로벌 제약·바이오 시장 성장세 둔화 및 경기 침체 상황에도 불구 우리 회사는
치열했던 한 해가 지나고, 드디어 2024년 새해가 밝았다. 지난해는 생존을 위한 해였다. 지난해를 시작하며 바이오·제약 업계는 이미 몇십년간 유례가 없었던 혹한기를 1년넘게 견뎌내고 있는 상황에서 내심 반등을 기대했지만, 도리어 최저점이 어디인가를 끊임없이 시험해야 하는 인내심이 요구되는 한해였다. 바이오텍의 원천인 R&D 자금이 메마르면서 구조조정을 넘어 잇따른 글로벌 바이오텍의 파산 소식이 전해졌으며, 지난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접수된 바이오텍 파산 건만 30건에 이르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바이오젠(Bioge
셀트리온(Celltrion)은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골다공증 치료제 ‘프롤리아(Prolia, denosumab)’와 ‘엑스지바(Xgeva, denosumab)’ 바이오시밀러 ‘CT-P41’의 품목허가신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CT-P41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를 바탕으로 골다공증, 골소실, 다발성 골수종, 고형암 골 전이로 인한 골격계 합병증 예방, 골거대세포종 등 오리지널 제품인 프롤리아와 엑스지바가 국내에서 보유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해 품목허가를 신청했다. 셀트리온은 유럽 4개국 총 477명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2023년 한해동안 글로벌 권위를 갖춘 국제학회에서 한미약품이 독자 개발한 후보물질의 다양한 연구결과 40건을 구두 또는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는 가장 많은 발표 건수라고 회사측은 의미를 부여했다. 이들 연구들은 항암과 비만대사, 희귀질환 등 주력 분야에서 한미가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들의 연구결과였다. 발표된 40건 중 한미약품이 25건을 직접 발표했고, 15건은 한미와 협업중인 미국 머크(MSD), 앱토즈(Aptose) 등 파트너사 주도로 공
인공지능 기반 희귀질환 유전자 진단기업 쓰리빌리언(3billion)은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해 진행된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고 29일 밝혔다. 쓰리빌리언은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기술평가 기관인 한국발명진흥회와 SCI평가정보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았다.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유전변이 해석 기술에 대한 35개의 특허, 70편이 넘는 기술 및 임상 검증 논문, 글로벌 인공지능 경진대회 우승 등 그동안 쌓아온 기술력을 인정받았고, 이같은 기술을 기반으로 한 희귀질환 진단 검사사업도 올해 가파른 성장을 이뤄낸 점이 기술사업성에 대해서도 좋은
사이토키네틱스(Cytokinetics)가 미오신 저해제(myosin inhibitor) ‘아피캄텐(aficamten)’의 폐쇄성 비후성심근병증(oHCM) 임상3상에서 운동능력을 유의미하게 개선한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내놨다. 이번 아피캄텐의 임상결과가 발표된 후 사이토키네틱스의 주가는 전날보다 83.57% 급등했다. 시가총액은 81억8300만달러(한화 10조5495억원)를 기록했다. 사이토키네틱스는 올해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심부전 치료제 후보물질 ‘오메캄티브(omecamtiv)’를 승인거절 받았다. 이어 4월에
셀트리온(Celltrion)은 2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셀트리온헬스케어와의 합병을 완료하고 통합 셀트리온으로 새롭게 출범한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날 이사회를 개최해 제조개발사업부 총괄로 기우성 부회장(現 셀트리온 대표), 글로벌판매사업부 총괄 김형기 부회장(前 셀트리온헬스케어 대표), 경영사업부 총괄 서진석 의장(現 셀트리온 이사회 의장) 3인 각자대표 체제로 변경하는 선임 안건도 함께 의결했다. 변경전에는 기우성 부회장 단독대표 체제였다. 셀트리온그룹은 핵심인물 3인의 각자대표 체제를 구축함으로서 새로 출범한 셀트리온의 신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