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LB가 중국 항서제약(Hengrui Pharmaceuticals)과 공동개발 중인 TKI 약물 ‘리보세라닙(rivoseranib)’이 위식도접합부(G/GEJ) 선암종의 수술전후요법(perioperative) 임상3상에서 화학요법 대비 병리학적완전관해(pathological CR, pCR)를 유의미하게 개선한 첫 중간분석(interim analysis) 결과를 보였다. 이는 리보세라닙과 PD-1 항체 ‘캄렐리주맙(camrelizumab)’, 화학요법을 병용한 결과다. 이번 임상3상(NCT04208347) 결과는 오는 21일(현지시
브릿지바이오 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된 암 연구 관련 국제 학술 회의 ‘2023 AACR-NCI-EORTC’에서 회사의 자체 발굴 임상과제 및 비임상 과제 등 2건의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AACR-NCI-EORTC는 미국암학회(AACR),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 암 연구 및 치료기구(EORTC)가 공동으로 주관해 미국과 유럽에서 매년 순회 개최되는 국제학회다. 브릿지바이오는 고형암을 타깃해 개발하는 TEAD 저해제 ‘BBT-443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16일 미국골대사학회(The American Society for Bone and Mineral Research, ASBMR 2023) 연례 학술대회를 통해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 ‘SB16(denosumab)’의 임상1상, 3상 결과를 최초로 공개했다고 발표했다. ASBMR 2023는 13~16일까지 캐나다 벤쿠버에서 진행된다. 우선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건강한 성인 남성 168명을 대상으로 SB16에 대한 임상 1상을 진행했으며, 이를통해 SB16과 오리지널 의약품 간 약동학(phar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2023 유럽종양학회(ESMO 2023)에서 AI 바이오마커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해 항암제 치료 효과 예측 유효성 등을 입증하는 9건의 연구 결과를 발표한다고 16일 밝혔다. 루닛은 이번 학회에서 진행성 담도암(BTC), 두경부 편평세포암(HNSCC), 비소세포폐암(NSCLC) 등 여러 암종에 대해 AI 바이오마커를 적용, 치료 반응 예측력을 높이고 임상적 가치를 재확인했다. 주요 연구 중 하나로, 루닛은 진행
앱클론(AbClon)이 오는 12월 9일부터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리는 미국 혈액학회(ASH 2023)에 참가해 CD19 CAR-T ‘AT101’와 신규 타깃인 CD30 CAR-T에 대해 미국 펜실페니아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발표한다고 13일 밝혔다. 앱클론은 신규 타깃 CD30 CAR-T 연구결과를 구두로 발표할 예정이며, AT101의 업데이트된 임상1상 후속 결과는 포스터를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앱클론은 지난 6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에서 AT101의 임상1상 결과를 발표했으며, 지난달 대한 조혈모세포이식학회(ICBMT)
티움바이오(Tiumbio)는 주요 파이프라인 임상개발 및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185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13일 공시했다. 이번 CB발행에는 차병원그룹의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우리벤처파트너스를 포함해 한국투자증권, DS자산운용 등 유수의 기관투자자가 참여했다. 이번 자금조달로 티움바이오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약 300억원으로 늘어나 안정적 임상개발을 지속할 수 있게 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티움바이오는 이번 조달자금을 키트루다(Keytruda)와 병용투여 임상을 진행중인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TU22
에필바이오사이언스(EFIL Bioscience)는 최근 미국 프래더-윌리 연구재단(Foundation for Prader-Willi Research, FPWR)이 콜로라도주 덴버시에서 개최한 국제 학술심포지움에서 프래더-윌리 증후군 환자의 과식증 치료제 후보물질 ‘EC-001’의 비임상 데이터를 첫 공개했다고 13일 밝혔다. 프래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PWS)은 15번 염색체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유전성 희귀질환으로 과도한 식욕, 고도비만, 작은 키, 근육긴장 저하, 성선기능 저하증, 지
이수앱지스(ISU ABXIS)는 13일 이사회를 열고 총 6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와 3자배정 유상증자를 발행하기로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CB로는 500억원, 유상증자로는 100억원을 조달한다. 공시에 따르면 이수앱지스는 주주배정후 공모방식으로 CB를 발행해 500억원을 조달한다.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각각 3%, 5%다. 전환가액은 7000원, 시가하락에 따른 최저 조정가액은 4900원이다. 기존주주의 청약기간은 12월 14~15일, 일반청약은 12월 19~20일이며 납입일은 12월22일이다. 전환청구기간은 2024년
인벤티지랩(Inventage Lab)은 13일 당뇨 및 비만치료제로 개발중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1개월 장기지속형 주사제 후보물질 ‘IVL3021’의 전임상 결과를 세계 비만체중관리학회(WOC 2023)에서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인벤티지랩은 IVL3021을 주사한 후 약물동태(PK)를 관찰해 1개월간 안정적인 혈중 약물방출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WOC 2023(World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Congress 2023)은 오는 16~18일 미국 보스턴에서 개
스파크바이오파마(Spark Biopharma)는 섬유화 치료제 후보물질 ‘SBP-401’이 지난 6월 2023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임상1상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돼 국가신약개발재단(KDDF)과 최종 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스파크바이오파마는 향후 2년간 임상1상 진행을 위한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SBP-401은 특발성 폐섬유화증(IPF) 치료제 개발과제로 타깃분자(비공개)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염증 반응과 폐섬유아세포의 섬유화를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의 약물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스파크바이오는
GC녹십자(GC Biopharma)는 미국 이메타스 테라퓨틱스(Immetas Therapeutics)와 자가면역질환 관련 mRNA 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두 회사는 선천성 면역, 만성 염증조절을 위한 이메타스의 플랫폼 기술에 GC녹십자의 mRNA 치료제 및 지질나노입자(lipid nano article, LNP) 전달 플랫폼을 활용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의 구체적인 계약규모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메타스는 선천 면역시스템(innate immune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가 12일 유럽 피부과학회(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EADV) 연례 학술대회를 통해 스텔라라(Stelara) 바이오시밀러 'SB17(ustekinumab)’의 임상3상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발표했다. EADV는 11~14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된다. SB17의 오리지널 의약품 스텔라라는 얀센(Janssen)의 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 등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인터루킨(IL)-12, 23의 활성을 억제한다. 삼
난치성 질환에 대한 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엘피스셀테라퓨틱스(Elphis Cell Therapeutics)는 4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A에는 대교인베스트먼트, BSK인베스트먼트, 패스파인더에이치, LK기술투자, 더터닝포인트가 참여했다. 엘피스셀테라퓨틱스는 복합줄기세포를 이용한 혈관질환치료제 후보물질 ‘EL-100’을 개발중이다. EL-100은 혈관을 재생하는 혈관내피전구세포(EPC)와 중간엽줄기세포(MSC)를 혼합해 만든 복합줄기세포로, 혈관 및 혈관을 싸는 조직과 주변 조직을 재생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와 대웅제약(Daewoong Pharma)이 뉴론(NurrOn Pharmaceuticals)과 파킨슨병 치료제로 공동개발하는 Nurr1 활성화약물(Nurr1 activator) ‘HL192(뉴론 코드명 ATH-399A)’의 임상 1상 첫 환자 투약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뉴론은 김광수 하버드대의대 교수와 김덕중 대표가 신경퇴행성 질환 신약개발을 목표로 공동설립한 미국 보스턴 소재의 회사로 HL192를 포함해 파킨슨병을 근복적으로 치료하기 위한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한올바이오와 대
셀트리온(Celltrion)은 12일 유럽 피부과학회(EADV Congress 2023)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Stelara, ustekinumab)' 바이오시밀러 'CT-P43'의 판상형건선 글로벌 임상3상 52주 결과를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이번 학회에서 판상형 건선 환자 50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에서 오리지널의약품과 비교해 CT-P43의 유효성, 안전성, 면역원성에서 유사성을 확인한 결과를 포스터를 통해 공개했다. EADV(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큐리언트(Qurient)는 싸이토젠(CytoGen)과 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동반진단 공동개발을 추진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큐리언트가 항암제로 임상개발하고 있는 AXL/MER/CSF1R 삼중저해제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 CDK7 저해제 ‘Q901’과 관련해 특정 암종 및 환자를 대상으로 싸이토젠의 혈액내 순환종양세포(CTC) 분석기술을 적용한다.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동반진단 개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특히 Q901의 작용 메커니즘이 전사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파노로스, PD-L1xVEGFR1 융합단백질 "AACR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