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테라퓨틱스(Arum Therapeutics)가 시리즈A로 8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로써 아름테라퓨틱스는 지금까지 약 100억원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이번 라운드는 데일리파트너스가 리드해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SBI인베스트먼트, 아주IB투자, KDB산은캐피탈이 참여했다. 데일리파트너스는 지난해 4월 pre-A시리즈 투자를 한 바 있다. 이번 투자 유치로 아름테라퓨틱스는 선도 파이프라인 개발에 속도를 낸다. 아름테라퓨틱스는 BRAF, EGFR, HER2 등 종양유발 유전자(oncogene)을 표적한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가 삼성서울병원과 항암면역(immuno-oncology, IO) 치료법의 공동연구개발 상호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와이바이오로직스와 삼성서울병원 협약의 주요 내용은 2가지다. 첫째, 와이바이오로직스가 진행하는 PD-1 항체 ‘YBL-006’의 임상 개발 적응증과 바이오마커를 찾고 임상 프로토콜을 디자인하는 등의 임상 전략을 수립하는데 협력한다. 와이바이로직스는 지난해 YBL-006의 국내, 호주 임상1상을 승인받은 바 있다. 박영우 와이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알테오젠(Alteogen)이 아일리아(Eylea) 바이오시밀러에 적용할 수 있는 프리필드(Pre-filled) 주사제형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16일 밝혔다. 알테오젠에 따르면 프리필드 주사제형에는 플라스틱 프리필드 시린지와 사후멸균법이 적용된다. 또한 소량 충전이 가능한 충전방식으로 경제성을 강화했다는 설명이다. 아일리아는 0.05mL의 주사제를 안구의 수정체에 직접 투여하는 의약품이다. 기존 일반적인 아일리아 주사제에는 유리관 프리필드 시린지가 사용되며 충전량의 약 70%를 투여전에 제거하는 과충전 방식이다. 알테오젠은 현재
넥셀(NEXEL)이 175억원 규모의 시리즈B와 pre-IPO 브릿지 투자유치를 마쳤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시리즈B로 97억원의 투자 유치 이후 2년만에 후속 투자다. 이번 투자 유치에는 기존 투자사인 유티씨인베스트먼트, 메디치인베스트먼트, 플래티넘기술투자, 코메스인베스트먼트의 후속 투자와 함께 신규 투자자로 NH투자증권, KDB산업은행캐피탈, 프랜드투자파트너스, 이베스트투자증권, 에스엘인베스트먼트, BSK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넥셀은 이번에 유치한 투자금으로 현재 개발 중인 항섬유화 기전의 간질환/심근경색 신약 후보물질
종근당은 1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중증 코로나19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나파벨탄(나파모스타트)’ 임상 3상을 승인받았다고 발표했다. 종근당은 지난 3월 러시아에서 진행한 나파벨탄 임상 2상 결과를 바탕으로 식약처에 조건부허가를 신청했으나 식약처의 전문가 자문회의에서 대규모 임상 3상을 통한 유효성 입증을 권고받았다. 종근당은 식약처의 심사의견을 수용하고 신청한 조건부허가를 16일 자진취하했다고 공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 3상은 중증의 고위험군 환자 약 600명을 대상으로 서울대병원을 포함해 10여곳 이상 기관에서
애스톤사이언스(Aston Science)는 암백신으로 개발하는 DNA 기반 'AST-301'의 임상1상 최종 결과를 오는 6월 4일~8일 미국임상종양학회(ASCO) 2021년 연례학술대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HER2 양성 진행성 유방암 66명을 대상으로 AST-301의 안전성과 최적의 면역학적 용량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1상 연구의 10년 장기 생존율 추적관찰 결과까지 포함됐다(NCT00436254). 임상1상 연구는 시애틀 소재의 워싱턴대(Univerity of Washinton, Seattle, U
휴온스글로벌(Huons Global)이 16일 러시아 국부펀드와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V(Sputnik V)’의 생산을 위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휴온스글로벌은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휴메딕스, 보란파마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번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컨소시엄은 백신 생산에 대한 기술 이전을 받아오는 8월 시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또 휴온스글로벌은 각 사의 역량을 동원해 월 1억 도즈 이상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할 계획이다.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란센(Lancet)’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엠디뮨(MDimune)은 15일 독일 단백질 엔지니어링 기업 나비고 프로테인(Navigo Proteins)과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엠디뮨과 나비고는 나비고의 어필린 분자(Affilin® Molecule) 기술을 인체 유래 세포유래 소포체(Cell-derived Vesicles, CDV)에 결합할 계획이다. 나비고는 세포외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 EVs) 일종인 CDV가 특정 종양 조직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독일 할레(Hall
바이오마커 기반 신약개발 기업 메드팩토(Medpacto)가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와 BAG2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항체치료제 ‘MA-B2’의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메드팩토는 이번 계약을 통해 삼성바이오로직스로부터 세포주 개발, 공정 개발, 임상시료 생산 및 임상시험계획(IND) 제출 지원 등 MA-B2의 위탁개발생산 전 과정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예정이다. MA-B2는 ‘백토서팁(Vactosertib)’의 후속 파이프라인으로 BAG2 단백질을 표적하는 항체치료제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실제 유방암 검진 환경에서 AI의 성능을 검증하는 새로운 연구에 참가한다고 15일 밝혔다. 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연구소(Karolinska Institutet)와 공동 진행하는 이번 연구는 유럽에서 진행하는 첫 전향적 연구라는 설명이다. 지금까지 AI 암 진단 회사의 임상연구는 대부분 후향적 연구였던 반면, 이번 연구는 실제 병원에 찾아오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연구는 스웨덴 10대 병원 중 하나인 스톡홀름 카피오 세인트 거란(Capio Saint
휴온스글로벌은 15일 자회사 휴온스바이오파마가 미국 아쿠아빗홀딩스(AQUAVIT HOLDINGS)와 ‘휴톡스(국내명: 리즈톡스)’에 대한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시판은 2024년이 목표다. 발표에 따르면 계약규모는 로열티, 마일스톤을 포함해 10년간 총 4000억원 수준. 구체적인 계약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아쿠아빗이 현지 임상 및 허가, 마케팅, 영업은 담당하고 휴온스바이오파마는 국내 생산한 휴톡스 완제품을 공급한다. 연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허가신청서(IND)를 제출해 2023년까지 현지 임상을 마
파로스아이바이오(Pharos iBio)가 약물재창출(drug repositioning) 방식으로 기존에 차세대 FLT3 저해제로 개발하던 약물을, 새로운 기전인 CHK2 저해제로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파로스아이바이오는 난소암과 유방암으로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4월 10일부터 15일, 이어 내달 17일부터 21일까지 두 차례에 걸쳐 온라인으로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1에서 'PHI-101'의 암 세포주에서 효능을 확인한 데이터를 발표했다
GC녹십자웰빙은 지난 9일 ‘태반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태반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태반추출물 유래 miRNA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대한 국제특허(PCT) 3건을 출원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출원한 특허는 태반 유래 물질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시험관 내(in vitro)’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와 태반가수분해물 라이넥에 존재하는 엑소좀의 차세대 염기서열분석(NGS) 데이터를 통해서 얻어진 마이크로 RNA(miRNA) 분석결과를 포함한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RNA
휴젤(Hugel)이 중국 상하이에 해외법인 ‘휴젤 상하이 에스테틱(Hugel Shanghai Aesthetics)’을 설립했다고 15일 밝혔다. 휴젤에 따르면 휴젤 상하이 에스테틱의 법인장으로 지승욱 법인장이 선임됐다. 지 법인장은 중국 의사 출신으로 종근당과 CJ헬스케어에서 중국 사업 및 글로벌 라이선스아웃을 주도한 경력이 있다. 지승욱 법인장은 “글로벌 빅마켓 중 하나인 중국 비즈니스는 글로벌 톡신 시장 제패의 포석이 될 것”이라면서 “중국 법인을 통한 현지화 전략에 박차를 가해 3년 내 현지 시장점유율 30%를 달성할 것”이
쓰리빌리언이 15일 AI 유전진단 기술을 이용한 2건의 연구결과를 ACMG 임상유전학회(2021 ACMG Annual Clinical Genetics Meeting)에서 발표한다고 밝혔다. ACMG2021은 글로벌 최대규모의 임상유전학회로 13~16일간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쓰리빌리언은 ‘AI 유전진단 기술의 임상성 유용성과 진단 속도 향상 증명’과 ‘영아 심근병증 환자 진단에서의 임상적 유용성 증명’에 대한 두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먼저 AI 유전진단 기술의 임상적 유용성 입증 연구에서는 총 263명의 난청 환자를 대상으로
아이진은 14일 대상포진 예방백신 후보물질 ‘EG-HZ’의 호주 임상 1상 탑라인(Top-line Report) 결과를 발표했다. EG-HZ의 안전성과 항체형성을 확인한 결과다. 특히 GSK의 ‘싱그릭스(Shingrix)’와 비교해 유사한 효과를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싱그릭스는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한 유일한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이다. 아이진의 EG-HZ는 자체 개발한 항원 전달 시스템인 양이온성 리포좀 기반의 면역증강제 시스템 CIA09가 적용된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Recombinant Zoster Vaccin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노보노, ‘경구 GLP-1’ 비만3상 2년만에 “美 허가신청”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서밋, 'PD-1xVEGF' 폐암 中3상 "PD-1 또 이겨"
로슈, 美생산·R&D에 500억弗 투자.."비만 등 新시설"
HK이노엔, '케이캡' 美3상 "1·2차 종결점 모두 도달"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롯데바이오로직스, 아시아 기업과 "ADC 생산계약"
셀트리온, '짐펜트라' 3상 102주 연장연구 "논문 게재"
루닛, 日NCCE와 'AI' 엔허투 효능 등 “ASCO 12건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