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R&D기업 엔테로바이옴(Enterobiome)은 종근당바이오(ChongKunDang Bio)와 차세대 프로바이오틱스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 EB-FPDK9’의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계약을 통해 엔테로바이옴과 종근당바이오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물질 피칼리박테리움 프로스니치(Faecalibacterium prausnitzii) EB-FPDK9 균주로 원료의약품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연구비용은 양사가 공동으로 부담하며 구체적인 계약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회사측
지피씨알 테라퓨틱스(GPCR Therapeutics)는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와 CXCR4와 LPA1 저해제 병용투여 치료법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계약을 통해 지피씨알은 브릿지바이오로부터 계약금 20억원을 수령하고, 이와 관련하여 추후 발생하는 모든 사업화 수익의 50%를 배분받게 된다. 지피씨알은 CXCR4 저해제와 LPA1 저해제 병용요법의 특발성폐섬유증(IPF) 치료에 대한 특허를 브릿지바이오에 이전하며, 브릿지바이오와 협력해 해당 병용요법을 공동 개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미국 내 2000곳 이상 의료기관에 AI 솔루션을 공급하는 다국적 기업 볼파라 헬스 테크놀로지(Volpara Health Technologies)를 1억 9307만 달러(한화 약 2525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인수는 루닛이 창립 이래 처음으로 해외 유망 의료AI 기업을 인수하는 것으로, 루닛은 이번 인수를 통해 세계 최대 의료시장인 미국에서 매출을 본격적으로 올리는 동시에 미국내 자체 AI 솔루션 판매망을 확보하게 됐다. 루닛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볼
씨젠(Seagen), BMS에 이어 미국 머크(MSD)도 ‘TPD-ADC’ 신약개발 대열에 합류했다. TPD-ADC는 표적단백질분해약물(TPD)을 페이로드로 활용한 항체-약물 접합체(ADC)로, 항체-분해약물접합체, ‘DAC(Degrader-Antibody Conjugates)’라고도 한다. 파트너사는 C4테라퓨틱스(C4 Therapeutics, C4T)로, 이번 머크와의 빅딜 소식에 C4T의 주가는 전날보다 98.31% 급등했다. C4T는 누릭스(Nurix), 펩티드림(PeptiDream), 앰피스타(Amphista Therap
아이진(Eyegene)은 13일 이사회를 열고 15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발행대상자는 한국비엠아이로 유상증자 완료 후 아이진의 최대주주는 유원일 대표에서 한국비엠아이(변경후 지분율 21.5%)로 바뀐다. 유상증자 전 유원일 대표는 128만7946주(6.0%)를 보유한 최대주주였다. 아이진은 555만1444주를 주당 2702원에 발행할 예정이다. 아이진의 주가는 이날 코스닥 시장에서 3070원으로 마감했다. 납입일은 오는 12월 21일, 신주 상장예정일은 내년 1월 12일이다. 아이진은 내년초 최대
HLB그룹은 13일 2024년 정기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승진 인사] ◆상무→부사장 △ HLB 김도연 △ HLB인베스트먼트 김범수 ◆ 이사→상무보 △ HLB파나진 박기웅 △프레시코 박종근 △프레시코 하창우 △ 지트리파마슈티컬 이상원 ◆ 이사대우→이사 △ HLB그룹 임병주 △바다중공업 유정근 △HLB생명과학 최승호 △ HLB생명과학R&D 최성필
테라시드바이오사이언스(TheraSid Bioscience)는 13일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DYRK1B 저해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2023년 3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기반 확충 연구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테라시드바이오는 향후 2년간 DYRK1B 저해제의 선도물질 도출을 위한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테라시드바이오가 개발하고 있는 DRYK1B 저해제는 경구용 저분자화합물로 간세포와 지방세포에 작용해 AKT/FOXO1A의 인산화(phophorylation)를 낮추고 지방세
에임드바이오(AimedBio)는 FGFR3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AMB302’가 국가신약개발사업(KDDF) 과제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에임드바이오는 향후 2년간 AMB302의 비임상단계 개발을 위한 지원을 받게 된다. 에임드바이오는 방광암과 교모세포종을 적응증으로 AMB302를 개발하고 있다. 에임드바이오는 이번 KDDF 과제를 통해 AMB302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제 책임자인 민병귀 에임드바이오 연구소장은 “AMB302가 전임상 실험에서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가 올 한해를 마무리하는 시점에서 지난 2년동안 선정한 347개 과제 가운데 우수과제 10개를 선정해 공개했다. KDDF는 지난 12일 서울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2023 국가신약개발사업 우수과제 선정 발표회에서 지난 2021년부터 2023년 2차까지 진행된 과제를 대상으로 우수한 10대 과제를 선정해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사업단은 ▲하이 퍼포먼스(High Performance) ▲테크놀로지 브레이크스루(Technology Breakthrough) ▲뉴 인사이트(New Insight) 등 3개 영역에서
앱클론(AbClon)은 13일 이사회를 열고 CD19 CAR-T 치료제 후보물질 ‘AT101’의 임상2상을 자금조달을 위해 총 3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제3자배정 전환우선주 발행)를 실시하기로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발행조건은 총 27만6492주, 발행가액 1만850원이다. 1년간 보호예수 되며 기관투자가 5개사가 참여했다. 자금규모가 크지 않아 참여 기관 및 협의는 최소화해 진행했다고 회사는 밝혔다. 앱클론은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AT101의 임상2상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임상1상은 4개 병원을 통해 진행했으며, 이번 임상2상
화이자(Pfizer)의 경구용 겸상적혈구증(sickle cell disease, SCD) 후보물질이 임상2/3상에서 환자 헤모글로빈 수치, 혈관폐쇄위기(vaso-occlusive crisis, VOC) 개선 등 긍정적인 효능을 보였다. 지난해 8월 화이자는 GBT(Global Blood Therapeutics)를 54억달러에 인수하며 GBT의 경구용 겸상적혈구 치료제 ‘옥스브리타(Oxbryta, voxelotor)’와 임상단계 후보물질 ‘GBT601(GBT021601)을 확보했다. 옥스브리타는 지난 2019년 11월 미국 식품의약
아피메드(Affimed)의 CD16AxEGFR 선천면역세포 인게이저(engager)가 임상1/2a상에서 저조한 효능 결과에 따라 폐암을 제외한 고형암에 대한 환자 모집을 중단했다. 아피메드는 EGFR을 발현하는 고형암을 대상으로 CD16AxEGFR 인게이저 ‘AFM24’와 로슈(Roche)의 PD-L1 항체 ‘티쎈트릭(Tecentriq, atezolizumab)’을 병용투여해, 선천(innate)과 후천성(adaptive) 면역반응 모두를 활성화시키는 컨셉으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AFM24는 NK세포와 대식세포에서 발현하는 C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13일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STAT3 표적항암제 ‘JW2286’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1상은 60여명의 건강한 성인 한국인과 코카시안을 대상으로 JW2286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며 서울대병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JW2286은 STAT3을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경구용 약물이다. JW중외제약은 삼중음성유방암(TNBC), 위암, 직결장암(CRC) 등을 적응증으로 JW2286을 개발중이다. JW중외제
염증성장질환(IBD) 신약개발 바이오텍 스파이어 테라퓨틱스(Spyre Therapeutics)가 지난 7일(현지시간) PIPE(Private Placement Financing, 상장지분사모투자)를 통해 총 1억80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벤록 헬스케어(Venrock Healthcare Capital Partners), 퍼셉티브 어드바이저스(Perceptive Advisors), RTW 인베스트먼트(RTW Investments), 코모란트 에셋(Cormorant Asset Management), 복서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는 최고재무관리자(CFO) 겸 경영기획본부장으로 임기태 상무를 신규 영입했다고 13일 밝혔다. 임기태 CFO는 동국대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코스닥상장법인 뉴보텍에서 경영기획실 이사로 재직했다. 이후 한컴라이프케어와 프로티아(구 프로테옴텍)에서 CFO로 역임했다. 임 CFO는 벤처기업부터 글로벌 중견기업을 아우르는 조직 경험과 코스닥 상장 성과들을 바탕으로, 티씨노바이오의 기술 개발 및 사업화 목표에 따른 전략적 자원관리와 효율적 조직관리, 회계재무 등 경영관리 전반
로슈(Roche)의 동종유래(allogeneic) BCMA CAR-T가 다발성골수종(MM) 임상1상의 초기 결과에서 고용량 림프구제거요법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체반응률(ORR) 82%의 데이터가 확인됐다. 그러나 저용량의 림프구제거요법을 받은 그룹의 경우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며, 사전 림프구제거요법 용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로슈와의 개발 파트너사인 포세이다 테라퓨틱스(Poseida Therapeutics)는 이번 임상결과를 통해 적절한(adequate) 용량의 림프구제거요법을 찾아가고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라고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