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납티스바이오(AnaptysBio)가 IL-36항체 후보물질의 전신농포건선(generalized pustular psoriasis, GPP) 임상3상에서 피부병변을 유의미하게 개선하며 1차종결점을 충족시킨 결과를 내놨다. 아납티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IL-36 항체 ‘임시돌시맙(imsidolimab)의 데이터를 논의하고 내년 3분기까지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BLA)를 제출할 계획이다. 만약 임시돌리맙이 승인받게 되면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의 IL-36R 항체 ‘스페비고(Spevigo, spes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전문기업 옙바이오(YepBio)는 11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의 ‘딥테크 팁스(TIPS)’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딥테크 팁스는 중기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선정하여 정부가 3년간 최대 15억원의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옙바이오는 ‘파킨슨병(PD) 발병 공통 유발인자, PARIS 억제제를 통한 혁신 파킨슨신약 개발’ 과제로 딥테크 팁스에 선정되어 지난달 27일 협약 체결을 완료했다. 옙바이오는 이번 딥테크 팁스 연구개발 지원금을 활용해
리제네론(Regeneron Pharmaceuticals)과 인텔리아(Intellia Therapeutics)가 CRISPR/Cas 기반 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간 외부 표적으로까지 확장했다. 체내 주입된 유전자치료제 대부분은 간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유전자치료제의 효능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표적세포 및 조직으로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리제네론과 인텔리아가 지난 2016년에 처음으로 체결했던 in vivo CRISPR/Cas 기반 유전자치료제 공동개발 파트너십 역시 처음에는 주로 간 조직 표적을 대상으로
코오롱생명과학(KOLON Life Science)은 11일 연구개발 중인 항암 바이러스 후보물질 ‘KLS-3021’과 관련해,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대한 특허가 캐나다와 싱가포르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이번 캐나다 및 싱가포르 특허등록 결정이 한국, 일본, 호주에 이은 것으로, 의약품 시장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캐나다를 비롯해 글로벌 사업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LS-3021’은 코오롱생명과학이 개발중인 고형암 치료제로, 유전자편집을 통해 암세포 선택성을 높인
닥터노아바이오텍(Dr. Noah Biotech)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발굴한 루게릭병(ALS) 치료제 후보물질 ‘NDC-011’이 지난 9월2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 ODD) 지정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미국 FDA의 ODD 지정과 더불어, 닥터노아는 NDC-011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지난 2일 국제학술지 뉴로테라퓨틱스(Neurotherapeutics, IF: 5.7)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NDC-011은 닥터노아바이오텍이 AI를 이용한 신약재창출
파노로스 바이오사이언스(Panolos Bioscience)가 임상1상을 진행중인 리드파이프라인 ‘PB101’ 단독 및 PD-L1 항체와 병용요법에서 항암효과를 확인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내놨다. 이번 연구는 파노로스와 김찬·전홍재 차의과대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은 PB101이 신생혈관 형성을 억제하고 암세포에 대한 T세포 침윤(infiltration)을 향상시켜 종양성장을 억제한 결과를 확인했다. 또 PB101을 투여한 간암 및 대장암 동물모델은 PD-L1 항체와 시너지효과를 나타냈으며 종양 재발모델(rechall
일본 쿄와기린(Kyowa Kirin)이 영국 오차드 테라퓨틱스(Ochard Therapeutics)를 3억8740만달러에 인수했다. 조건부가격청구권(contingent value right, CVR) 달성에 따른 비용을 합치면 총 4억7760만달러 규모다. 이번 인수로 쿄와기린은 승인을 앞둔 이염성 백질이영양증(metachromatic leukodystrophy, MLD)에 대한 유전자치료제 ‘OTL-200(atidarsagene autotemcel)’을 확보했다. 쿄와기린은 미충족의료수요(unmet needs)가 높은 환자들을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는 10일 이오플로우의 주권매매거래를 정지한다고 공시했다. 정지일시는 11일부터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심사대상 여부에 대한 확정일까지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기업의 주된 영업의 정지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해 심사를 진행하게 되며 같은 기간 이오플로우의 주권매매거래는 정지된다. 이날 이오플로우는 이사회를 거쳐 EOPump(Actuator)를 제외한 이오패치 제품의 생산, 마케팅 및 판매 활동에 대해 일시적으로 영업을 정지한다고 공시했다. 영업정지 금액은 2
앨라일람 파마슈티컬(Alnylam Pharmaceuticals)의 TTR RNAi 약물인 ‘온파트로(Onpattro, patisiran)’가 끝내 심근병증 적응증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거절을 당했다. 지난달 온파트로의 심근병증 적응증 승인 여부를 두고 열린 FDA 자문위원회에서 9:3 찬성으로 우호적인 의견을 받았음에도 불구 결국 승인이 거절된 것이다. FDA가 자문위원회의 긍정적인 의견을 뒤집으며 승인을 거절해 업계에 충격을 줬으나, 한편으론 그럴만한 결과로도 받아들여지는 모습이다. FDA는 자문위원회가 열
앱티스(AbTis)는 6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글로벌 블록버스터 항체-약물접합체(ADC) 항암제 구성요소 개발’ 과제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과제는 ADC 구성요소인 항체, 링커, 페이로드 개발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통해 글로벌 블록버스터 잠재력을 가진 ADC 선도물질 도출을 목표로 한다. 앱티스는 이번 과제 중 ADC 링커 개발 주관기업으로 선정됐다. 과제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ADC 과제는 KDDF 사업단이 추진하는 ‘ADCaptain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올해 신설됐으며, 이번 ADC 과제를 통
아이진(Eyegene)은 10일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mRNA 다가백신 후보물질 이지-코브투(EG-COVII)’의 호주 임상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호주 임상시험윤리위원회(EC/IRB)에 제출했다고 공시했다. 회사에 따르면 이지코브투는 코로나19 야생형(WT, 우한종) 타깃 백신 후보물질 '이지-코비드(EG-COVID)'와 오미크론 변이형 타깃 백신 후보물질 '이지-코바로(EG-COVARo)'를 결합한 mRNA 다가(2가) 백신 후보물질이다. 이번 호주 임상1/2a상은 코로나19 부스터샷 접종여부와 접종횟수와 관계없이
치료제가 제한적인 희귀 신장질환 IgA신증(IgA nephropathy, IgAN)에서 보체시스템을 타깃하는 약물이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까? 노바티스(Novartis)의 경구용 보체인자B(complement factor B, CFB) 저해제 ‘입타코판(Iptacopan)’이 희귀 신장질환 임상3상에서 환자의 단백뇨 증상을 감소시킨 결과를 도출했다. 입타코판이 이미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PNH)에서 첫 경구용 보체 저해제로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 절차를 밟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 적응증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가 퇴행성뇌질환인 파킨슨병(PD) 치료제로 c-Abl 저해제를 개발하기 위한 전략으로, 뇌에서 이를 발현하는 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양전자방출단층촬영 추적자(PET tracer) ‘FB610’에 대한 연구 내용을 의약화학분야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메디스널케미스트리(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에 게재했다고 10일 밝혔다. FB610은 c-Abl을 영상화하기 위해 이에 대한 선택성을 가진 화합물에 방사성을 띄는 플루오린(fluorine-18
메디치바이오(MediciBio)는 희귀 안과질환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후보물질단계 개발부문’ 과제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메디치바이오는 이전 삼진제약 중앙연구소장과 종근당 DDS연구소 책임자 등을 맡은 기민효 대표가 지난 2021년 설립한 회사이다. 메디치바이오는 신규 이온화지질(ionizable lipid) 기반 반복투여가 가능한 지질나노입자(LNP)를 통해 유전자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텍이다. 이번 과제 선정에 따라 메디치바이오는 향후 2년간 희귀 안과질환인 아벨리노각막이영양증(
에이비온(Abion)이 10일 국가신약개발재단(KDDF)에서 주관하는 ‘2023년 제3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임상개발 신규 지원 과제’에 최종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에이비온은 2년간 총 70억원을 지원받으며, ‘ABN401’의 후속 임상2b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또는 기술이전을 목표로 한다. 에이비온의 ABN401은 c-MET 돌연변이를 타깃하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로 현재 한국과 미국, 대만에서 글로벌 임상2상을 진행 중이다. 에이비온은 임상1상에서 ABN401의 안전성을 확인했으며, 현재 c-ME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전문기업 히츠(HITS)가 디지털 약물설계 플랫폼 ‘하이퍼랩(Hyper Lab)’을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 히츠는 지난 2020년 KAIST 화학과 김우연 교수와 임재창 박사가 공동창업한 교원창업 기업으로, 물리화학과 딥러닝을 융합한 생성형(generative) AI 기반 약물설계 기술을 개발해 왔다. 지난 2010년대 후반부터 생성형 AI 기술을 약물발굴에 적용해 신규 화합물을 도출하는 노력이 이어져왔고, 앞서가는 회사로 인실리코 메디슨(Insilico Medicine)이 이를 적용해 발굴한 약물(타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리제네론, ‘고용량 아일리아’ 투약간격↑ “FDA 거절”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퍼스트바이오, 'HPK1 저해제' 메커니즘 "AACR 발표"
SK바사, 모더나 'mRNA 제조' 특허소송서 "승소"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