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가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로 개발하는 오토택신(autotaxin, ATX) 저해제 'BBT-877'의 임상2상에서 효능을 확인하는데 실패했다.
브릿지바이오는 임상2상 탑라인 결과 1차 종결점으로 설정한 24주차 강제 폐활량(forced vital apacity, FVC) 변화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14일 공시했다.
BBT-877 임상2상은 IPF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의 유효성,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 미국, 호주, 폴란드, 이스라엘 등 5개국에서 진행되었으며, 총 129명의 환자가 참여했다.
이번 결과에 따르면 1차 종결점인 약물투여전 대비 24주 시점의 FVC(in mL) 변화량은 BBT-877군에서 -75.7, 위약군(placebo)에서 -50.2로, BBT-877 투여군에서 수치적으로 악화됐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p=0.385).
브릿지바이오는 최종 임상시험 결과보고서(CSR)를 수령한 후 하위그룹 분석(subgroup analysis), 바이오마커 결과 및 고해상도 CT 영상 분석 등을 통해 이번 결과를 포함한 개별 환자들의 데이터를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임상 개발 및 사업전략을 재수립할 예정이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 조직이 점차 딱딱해지며 폐 기능이 저하되는 희귀질환으로, 생존기간이 3~5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