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쓰리빌리언(3billion)은 26일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쓰리빌리언은 지난해 12월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해 진행된 기술성평가에서 한국발명진흥회와 SCI평가정보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았다. 쓰리빌리언은 코스닥 상장 이후, 해외 시장에서의 성장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며, 미국 자회사 설립을 통해 글로벌 희귀질환 시장의 50%를 차지하는 미국시장에서 성장하기 위한 도전을 본격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쓰리빌리언은 인공지능(AI) 유전변이 해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이 기술을 기반으로 현재 60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25일 공시를 통해 215억3640만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 납입이 완료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8월8일 신주 1370만 주가 상장될 예정이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지난 4월 이사회 결의를 거쳐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조달 절차에 들어갔다. 이후 최종 발행가액이 1572원으로 산정된 가운데, 지난 7월 17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구주주 대상 공모 결과 청약률 104.56%를 기록하여 실권주 없이 제반 절차를 마무리했다. 이번 증자를 통해 신규 조달
동아에스티(Dong-A ST)는 25일 별도기준 잠정실적으로 올해 2분기 매출액 1577억원, 영업이익 71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각각 2.3% 증가, 18.9%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79억원으로 전년 대비 63.1% 증가했다. 회사에 따르면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영업환경 악화로 처방의약품 일부 품목 매출이 감소했지만 그로트로핀 성장으로 전년동기 대비 5.3% 증가한 1080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해외사업 부문은 캔박카스(캄보디아) 매출의 기저효과로 전년 대비 7.8% 감소한 377억원을 기록했다. R&D
코넥스트(CONNEXT)는 콜라겐분해효소 후보물질 ‘CNT201’의 듀피트렌구축(Dupuytren’s contracture) 호주 임상1/2상에서 첫 환자투여를 시작했다고 25일 밝혔다. 듀피트렌구축 질환은 손바닥 피부와 힘줄 사이의 근막에 콜라겐에 의한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손가락이 굽은 채 고정되는 질환이다.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근막절제술과 같은 수술 또는 콜라겐분해효소 주사제를 통해 증상을 개선시키고 있다. 이번 임상1/2상은 호주 내 3개 병원에서 듀피트렌구축 환자를 대상으로 콜라겐분해효소 후보물질 CNT201를 4가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s)는 25일 미국 바이오기업 선플라워 테라퓨틱스(Sunflower Therapeutics)에 200만달러(한화 27억8000만원)를 투자하는 조건부 지분인수계약(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SAFE)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AFE는 현재 기업가치 산정이 어려운 초기 스타트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향후 요건을 갖춘 후속 투자가 있을 때 약정된 조건대로 지분 비율을 결정하는 인수방식이다. 후속 투자가 이뤄지면 기업가치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SAFE를 통한
JW생명과학(JW Life Science)의 자회사인 JW바이오사이언스(JW Bioscience)는 25일 진단분석 장비 전문기업 바이오이랩(E-LAB Biological Science & Technology Co., BIOELAB)과 전자동 생화학 분석장비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JW바이오사이언스는 바이오이랩의 전자동 생화학 분석장비를 국내에 독점 공급하는 한편, 자체 R&D 기술력을 통해 개발한 진단시약의 판매 확대에 나선다. 바이오이랩은 생화학 분석장비 및 진단시약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업체로 중
피노바이오(Pinotbio)는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현지시간) 3일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nd ADC Toxicity Summit’에서 자체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 ‘PBX-7’ 시리즈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피노바이오는 이중기전 약물을 활용한 ADC라는 주제로 그동안 진행한 이중 작용기전(MoA) 페이로드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중기전’은 하나의 약물이 두가지 기전으로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약효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피노바이오의 PBX-7 시리즈 페이로드는 기존 캄토테
파멥신(PharmAbcine)은 24일 코스닥시장위원회가 파멥신 주권의 상장폐지 여부의 건을 심의한 결과, 파멥신 주권의 상장폐지를 심의,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상장폐지에 대한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15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파멥신은 이의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의신청이 없는 경우 이의신청 만료일 경과 후 상장폐지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파멥신의 이의신청이 있는 경우, 이의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20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코스닥시장위원회를 개최해 상장폐지 여부 또는 개선기간 부여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창립 이래 최초로, 상반기에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대규모 수주에 기반한 4공장의 원활한 램프업(Ramp-up, 가동률 증가), 바이오시밀러 허가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 우호적인 환율 환경에 따른 결과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4일 연결기준으로 2024년 상반기 매출 2조1038억원, 영업이익 655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32.6%, 영업이익은 47.3% 각각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결기준 2분기 매출은 1조1569억원, 영
LG화학(LG Chem)이 올해 1월 리듬파마슈티컬스(Rhythm Pharmaceuticals)에 계약금 1억달러를 포함해 총 3억500만달러 규모에 라이선스아웃(L/O)한 MC4 수용체(melanocortin-4 receptor, MC4R) 작용제(agonist) ‘LB54640’의 임상2상이 시작됐다. 리듬은 희귀비만 치료제 개발사로 첫 MC4R 작용제 ‘임시브리(IMCIVREE, setmelanoatide)’를 출시한 회사이며, 1일1회 피하투여(SC)하는 제형이다. 임상1상에서 LB54640은 기존 약물에서 보고되는 피부색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Curiox Biosystems)는 23일 2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CB 발행 대상자는 IMM 인베스트먼트, 쿼드자산운용, 루하프라이빗에쿼티, 아이비케이캐피탈, 제이비우리캐피탈, 키움증권, 산은캐피탈, 엘에스증권, KB증권 등 기관투자자 10곳에게 발행된다. 이번에 발행된 CB의 표면이자율과 만기이자율은 각각 0.0%이며 전환가액은 4만2700원이다. 시가하락에 따른 최저 전환가액은 2만9890원이다. 납입일은 7월26일, 만기일은 2029년 7월26일이다. 전환 청구기간
생체현미경 전문기업 아이빔테크놀로지(IVIM Technology)는 최종 공모가를 1만원으로 확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앞서 아이빔이 설정한 희망 공모가밴드 7300~8500원을 초과한 가격이다. 아이빔은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했다. 상장주관사 삼성증권에 따르면, 이번 수요예측에서 국내외 기관들은 약 16억9000만주를 신청해 경쟁률 1011.5대 1을 기록했다. 또 공모가밴드 상단 이상(가격 미제시 포함)의 가격으로 신청된 건수가 전체의 99.9%로 집계됐다. 아이빔의 총 공모주식수는 2
목암생명과학연구소(MOGAM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는 23일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에서 ‘AI 솔루션 개발’ 연구를 주관하는 5개 기관 중 하나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복지부와 과기부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5년간 348억원을 투입해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산업계와 의료계, 연구기관 등이 보유한 신약개발 데이터를 연합학습 기반 AI 모델을 활용해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기간을 단축하는 사업이다. 목암연구소는 광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자체 개발한 골다공증 치료제 ‘라본디(라록시펜/콜레칼시페롤)’의 임상4상 연구결과가 미국골대사학회(ASBMR)의 오픈 엑세스 저널인 JBMR Plus(IF 3.4) 최신호에 게재됐다고 23일 밝혔다. 라본디은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와 비타민D를 결합한 복합제이며, 회사측에 따르면 최초로 SERM 계열의 라록시펜염산염(raloxifene HCl)에 비타민D의 콜레칼시페롤농축분말(cholecalc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23일 카자흐스탄의 의료서비스 사업자인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Open Healthcare Kazakhstan, OHKZ)과 AI심전도 검사 솔루션 ‘모비케어(mobiCARE™)’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급계약으로 카자흐스탄은 몽골, 홍콩, 태국, 베트남에 이어 5번째 진출 국가가 됐다. 씨어스는 CIS(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지역의 사업화 우선협상권을 OHKZ에 부여해 카자흐스탄에서의 모비케어 서비스 모델을 주변 국가로 빠
셀트리온(Celltron)은 23일 인천 송도에 위치한 제3공장이 상업생산 가동 전 최종 밸리데이션(Validation)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밸리데이션은 의약품 상업 생산 이전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단계로, 의약품 제조공정 개발부터 생산 단계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제품이 미리 설정된 기준에 적합하게 제조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검증해 문서화하는 작업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2021년 9월부터 2023년 11월까지 27개월간 270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자해 연면적 2만2300㎡(6760평), 지상 5층 규모의 제3공장을 신규 준공했
BMS도, ‘옵디보+여보이’ 대장암 1차 “美 FDA 승인”
에이비엘 "GSK 공격적, 3개월만에 딜..Aβ·타우 제외"
에이비엘-유한, 'EGFRx4-1BB' 비임상 "AACR 발표"
서정진 회장, 셀트리온 주식 500억 규모 장내매입키로
'세포·유전자’ CDMO 앰플리파이, 출범 4년만에 “폐업”
페링, 방광암 첫 유전자치료제 “첫해 7천만€ 벌어"
노바티스, 美 제조·R&D에 5년간 "230억弗 투자"
솔루, 시리즈A 4100만弗..GSK ‘CyTAC’ 플랫폼 임상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CSO) 영입
디티앤씨 휴사이언스, 조권 대표 선임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거래소, 오스코텍 자회사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유한양행, ‘비판텐 연고’와 ‘카네스텐’ 판매 호조
HLB제넥스, 뉴로토브 지분 74.73% 확보 "자회사 편입"
에스티팜, 글로벌 ‘CRISPR 학회’ 참가..기술 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