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넥스세라(NexThera)는 아이진(Eyegene)과 한국 비엠아이(BMI KOREA)로부터 30억원 규모의 전략적 투자(SI)를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넥스세라는 지난해 12월 브릿지투자로 55억원을 유치했으며, 이전 시드투자와 시리즈A(70억원)까지 합쳐 지금까지 총 163억원의 누적 투자금을 유치하게 됐다. 넥스세라는 점안형 습성 황반변성(wet AMD; neovascular AMD) 치료제 ‘NT-101’을 개발하고 있는 부산 소재 바이오텍이다. NT-101은 혈관생성억제인자 PDEF의 펩타이드와 보조성분인 아텔로콜라겐(
비욘드디엑스(BeyondDx)는 25일 폐암 조기진단 제품 ‘Forecheck LC’를 체외진단의료기기 3등급 수출용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조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Forecheck LC는 회사의 핵심 기술인 ‘다중통합분석솔루션’을 적용해 혈액내 SAA, CEA, OPN 등 3가지의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측정함으로써 폐암을 조기진단하는 기술이다. 혈액 채취후 바이오마커 측정과 분석결과 도출까지 약 150분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저선량 전산화단층촬영(CT) 등 표준진단 대비 특이도(specificity)를 향상시켰다
프로티움사이언스(Protium Science)는 26일 비엑스플랜트(BXPlant)와 CDMO(위탁개발 및 생산) 및 CDRO(위탁개발 및 임상시험)을 통합하는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전문 기술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CDMO 및 CDRO 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의약품, 임상 개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프로티움사이언스는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분석(Contract Development and Analysis Organization, CDAO) 기업으로, 코스닥
아울바이오(AULBIO)는 26일 경동제약에 전립선암·성조숙증 치료제 후보물질 ‘AUL010(leuprorelin)’의 국내 판권을 라이선스아웃(L/O)하는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AUL010은 아울바이오가 개발한 류프로렐린(leuprorelin) 성분의 1개월 장기지속형 전립선암, 성조숙증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이번 계약을 통해 아울바이오는 미세구체 기반 약물전달 기술인 엑스티나(Extenna™)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AUL010의 상업용 제품의 생산과 공급을 담당한다. 경동제약은 AUL010의 임상, 인허가, 제품 판매를 담
비만을 넘어 다양한 대사질환을 타깃으로 활발히 투자하고 있는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가 이번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기반 심장질환 신약개발 바이오텍 카디오 파마슈티컬(Cardior Pharmaceuticals)과 임상단계 파이프라인을 11억달러에 인수했다. 노보노는 지난 2월 미국 네오모프(Neomorph)와 심장대사질환, 희귀질환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신규 분자접착제(molecular glue) 개발을 위해 14억6000만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했다. 그로부터 한달만에 이번 인수딜이 연이어 체결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그동안 조짐을 보였던 항암제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에 대한 기준을 높이며 제동을 걸기 시작했다. 첫 케이스로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이 림프종 이중항체에 대해 ‘확증임상(confirmatory trial) 진행현황’을 이슈로 가속승인을 거절당했다. 리제네론은 지난 25일(현지시간) FDA로부터 림프종 치료제로 개발하는 CD20xCD3 이중항체 ‘오드로넥스타맙(odronextamab)’의 허가신청에 대한 최종보완요구서(CRL)를 수령받았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26일 사노피(Sanofi) 한국법인과 백신 5종에 대한 국내 유통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유통계약을 체결한 백신은 소아용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혼합백신 3종(테트락심®, 펜탁심®, 헥사심TM)과 성인용 Tdap 혼합백신 ‘아다셀® 프리필드시린지’, 그리고 수막구균백신 ‘메낙트라®’ 등 5종이다. 이들 백신의 국내 시장규모는 지난해 기준 259억원이다. 이번 계약은 올해말까지 유효하고 두 회사간 합의에 따라 기간이 연장된다. 계약기간 동안 SK바이오사이언스는 사노피의 백신에 대한 국내 유
브렛 모니아(Brett P. Monia)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Ionis Pharmaceutical) 대표는 “그동안 파트너십을 통해 많은 경험을 쌓았다. 다음 차례(next wave)는 신경질환분야에서 혁신적인 ASO(antisense oligonucleotide) 의약품을 자체개발해 성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모니아 대표는 지난 22일 판교에서 열린 에스티팜(ST Pharm) 주최 제1회 RISC(RNA Innovation Symposium Corea) 2024 심포지엄에서 “그동안 축적한 기술적, 임상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한미사이언스(한미그룹)는 26일 고(故) 임성기 회장의 장·차남인 임종윤∙종훈 형제가 한미사이언스를 상대로 제기한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한 법원(수원지방법원 제31민사부)의 결정에 대해 “매우 환영한다”며 “이로써 한미그룹이 글로벌 빅 파마로 도약할 수 있는 길이 활짝 열리게 됐다”고 밝혔다. 한미그룹은 “‘R&D 명가’, ‘신약개발 명가’라는 한미그룹의 정체성을 지키면서 글로벌 빅파마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OCI그룹과의 통합 외에는 현실적 대안이 없는 절박한 상황에 대해 재판부가 깊이 고심하고 공감해서 나온 결정이라고 본
송영숙 한미그룹 회장은 그룹의 미래가 결정될 오는 28일 한미사이언스 주주총회 앞두고, 고(故) 임성기 회장의 유산인 한미그룹을 한국을 대표하는 제약기업으로 흔들림없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주주들의 지지를 호소하는 '결단과 소회'라는 입장문을 냈다고 한미약품측이 26일 밝혔다. 다음은 송 회장의 입장문 전문이다. 한미그룹 송영숙 회장의 결단과 소회 2020년 8월 남편 임성기 회장이 세상을 떠난 후, 50년 전 남편과 함께 다짐했던 ‘제약강국의 꿈’을 이어가기 위해 나는 오랜 시간 깊이 고민해 왔다. 그가 떠난 뒤 남겨진 막대
바운드리스 바이오(Boundless Bio)가 8800만달러 규모의 나스닥(Nasdqq) 시장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지난해 5월 독일 바이엘(Bayer)이 공동리드한 1억달러 규모의 시리즈C를 유치한 이후 본격 상장에 나선 것이다. 바운드리스는 ecDNA를 통해 유전자가 증폭된(amplification) 암을 타깃하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유전자가 증폭된 암종의 경우,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암에 비해 환자의 생존율이 낮고 치료효과가 낮은 등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ecDNA(extrachromo
수많은 의료AI(인공지능) 의료기기나 소프트웨어가 개발돼 실제로 국내 의료시장에 진출해 매출을 올리는데는 높은 장벽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의료AI 회사들의 국내 매출이 이외로 미미한 수준에 그치는 이유다. 이와 달리 뷰노(VUNO)는 의료AI 회사로는 드물게 지난해 국내에서 125억원에 달하는 높은 매출을 올렸다. 국내 의료AI 기업중 국내시장 매출 1위 기록이다. 이같은 실적이 가능했던 이유는 뷰노의 AI제품이 '새로운 의료행위'로 인정받아 신의료기술평가 대상이 됐고, 지난 2022년 5월 국내 의료AI 기기로는 최초로 '선진입
동아에스티(Dong-A ST)는 지난 25일 서울시 중구 신당동 유유제약(Yuyu Pharma) 본사에서 유유제약과 말초순환 개선제 ‘타나민정(Tanamin)’ 공동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계약식에는 동아에스티 김민영 사장과 유유제약 유원상 사장 등 관계자가 참석했다. 계약에 따라 양사는 타나민정의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을 함께 진행한다. 종합병원 대상 영업은 동아에스티와 유유제약이 함께 담당하고, 병·의원 대상 영업은 동아에스티가 전담하게 된다. 약국 대상 영업은 유유제약이 담당한다. 타나민정은 독일 슈바베그룹(Sc
에자이(Eisai)와 바이오젠(Biogen)이 공동개발한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기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켐비(Leqembi, lecanemab)’의 유럽 시판허가가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혔다. 레켐비의 시판허가 심사가 에자이와 무관한 법적 소송의 여파로 연기됐기 때문이다. 에자이는 지난 22일 ‘레켐비(Leqembi, lecanemab)’의 유럽 내 시판허가 신청에 대한 구두 발표(Oral Explanation)가 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에 의해 지난 19일에 예정되어 있었으나, EMA의 절차상의 이유(
신라젠(SillaJen)은 26일 연구개발 강화를 위해 글로벌 의학 및 임상 전문가로 글로벌 제약사 출신 이수진 의학책임자와 글로벌 임상수탁기관(CRO) 기업의 한국 대표를 역임한 신수산나 상무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수진 신임 의학책임자는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이화여대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화이자(Pfizer),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노바티스(Novartis) 등 다국적 제약사에서 다양한 실무경험을 보유했다. 최근에는 사노피(Sanofi)에서 면역질환 의학부 헤드(Medical Head of Immunology)
엑셀러린(Acelyrin)이 피하투여(SC) 방식의 IGF1R 항체 후보물질 ‘로니구타맙(lonigutamab)’의 갑상선안병증(TED) 임상1/2상에서 증상을 개선한 개념입증(PoC) 결과를 내놨다. 액셀러린은 이번 결과를 기반으로 올해 하반기 로니구타맙의 임상2b/3상을 시작할 계획으로, TED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암젠(Amgen)의 TED 치료제 ‘테페자(Tepezza, teprotumumab)’와 피하투여(SC) 제형 시장에서 개발경쟁을 하게 될 전망이다. 암젠은 지난달 테페자 SC제형의 임상3상을 시작했다. 정맥주사(I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