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사이언스(Hanmi Science) 창업주 가족인 대주주 4인 송영숙, 임종윤, 임주현, 임종훈은 합심해 상속세 현안을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고 30일 밝혔다. 한미사이언스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취득 및 배당도 적극적으로 검토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Celltrion)은 30일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EYLEA, aflibercept)’ 바이오시밀러 '아이덴젤트(Eydenzelt, CT-P42)’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임상3상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7월 CT-P42의 허가를 신청, 습성 황반변성(wAMD),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등 아일리아가 국내에서 보유한 전체 적응증(Full Label)에 대해 승인받았다. 승인받은 제형은 아이덴젤트주사, 아이덴젤트 프리필드시린지(PFS) 두 종류다. 앞서 셀트리온은 스페인,
암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암정보 등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루닛케어(Lunit CARE)가 안드로이드 앱을 출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 앱은 ‘구글 플레이’ 등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애플 iOS 앱도 연내 출시할 예정이다. 이번 앱 출시를 통해 루닛케어를 이용하는 암 환자와 보호자는 치료와 일상생활을 아우르는 기능과 정보에 보다 편리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물론 기존의 루닛케어 웹 서비스로도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앱을 다운로드한 이용자들은 루닛케어의 모든 암 정보 콘텐츠를 별도의 회
알지노믹스(Rznomics)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진행된 제1차 국가전략기술 확인 심사에서 국가전략기술로 인증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심사에서 국가전략기술 확인 신청을 한 전분야 130개 기관 중 알지노믹스가 유일하게 선정돼, 관련 제도 도입 이후 국가전략기술로 확인된 최초이자 유일한 기관이 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국가전략기술은 정부가 기술주권 확립을 위해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바이오 등 12대 기술분야를 선정했으며 22년 10월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국가전략기술 육성방안’을 발표한데 이어
한국노바티스(Novartis Korea)는 29일 성인 전이성 거세저항성전립선암(mCRPC) 환자를 대상으로 ‘플루빅토주(루테튬(177Lu) 비피보타이드테트라세탄)’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로부터 허가받았다고 밝혔다. 플루빅토주는 이전에 안드로겐 수용체경로 차단(ARPI) 치료와 탁센(taxane) 기반의 화학요법을 받았던 전립선 특이 막항원(PSMA) 양성(+) mCRPC 성인 환자를 적응증으로 한다. 플루빅토는 지난 2022년 해당 적응증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플루빅토주는 방사성동위원소
이뮤노바이옴(ImmunoBiome)은 29일 염증성 장질환(IBD) 및 난치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후보물질 'IMB002'의 국내 임상 1상을 개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1상에서는 내국인과 코카시안(백인) 성인을 대상으로 IMB002의 안전성, 내약성, 장내 미생물 조성 등을 평가한다. 임상1상 종료 후 자가면역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IMB002의 개념입증(PoC) 임상도 진행할 계획이다. IMB002는 이뮤노바이옴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인 'Avatiom(아바티옴)'을
티카로스(TiCaros)는 28일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2024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프로젝트는 AI, 미래모빌리티,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등 10대 신산업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혁신적인 기술과 비전을 가진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과제선정으로 티카로스는 향후 3년간 최대 6억원의 사업화자금과 최대 5억원의 기술개발(R&D) 자금 연계 지원을 비롯해 정책자금, 기술 보증, 수출바우처 등을 우선·우대 지원받게 된다. 티카로스는 독자적인 CAR
에스티팜(ST Pharm)은 차백신연구소(CHA Vaccine Institute)와 'RNA 기반 면역치료제 공동개발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날 에스티팜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김경진 에스티팜 대표, 염정선 차백신연구소 대표를 비롯한 주요 임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두 회사는 mRNA 의약품의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이를 상업화하기 위한 공동개발을 진행한다. 두 회사는 2025년까지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타깃으로 ‘first-in-class’ mRNA 의약품 후보물질을 공동
항체 신약개발 플랫폼 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와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두 기업은 ADC의 공동연구 및 개발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바이오제약 시장에서 입지를 확고히 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신규 타깃 2종에 대한 ADC 공동연구 및 개발 ▲pH-감응항체 기반의 ADC 공동연구 및 개발 ▲이중항체 기반 ADC 공동연구 및 개발 ▲단일 또는 이중항체 기
큐리언트(Qurient)가 항암제 후보물질로 개발하는 CDK7 저해제 ‘Q901’의 임상1상 중간 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4)에서 발표한다고 28일 밝혔다. Q901은 CDK7 공유결합 저해제이며, 정맥투여로 주입한다. 암세포에서 전사인자를 조절하는 CDK7를 저해하면, DNA 손상을 수리하는 반응(DNA damage response, DDR)이 저해되고, 결과적으로 유전체 불안정성(genomic instability)을 높이는 기전이다. 또한 Q901은 T-루프(T-loop) 인산화를 저해해 세포주기 관문분자를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은 27일 GC녹십자(GC Biopharma)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파브리병 치료제 후보물질 ‘LA-GLA(코드명 : HM15421, GC1134A)’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 ODD)으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희귀의약품 지정은 희귀·난치성 질병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의 치료제 개발 및 허가가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희귀의약품에 지정되면 신약허가 심사비용 면제, 세금 감면과, 동일계열 제품 중
리보핵산(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 바이오텍 알지노믹스(Rznomics)가 '초격차 스타트업(DIPS: Deep tech Incubator Project for Startup) 1000+’ 프로젝트에 신규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알지노믹스는 향후 3년간 최대 6억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받고, 정책자금, 보증, 수출 등의 연계 지원과 산업별 특성에 맞는 특화 지원도 받을 수 있게 된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주도 아래 지난해부터 2027년까지 바이오·헬스케어, 시스템반도체,
HK이노엔(HK inno.N)이 건선 치료제로 개발하는 경구용 알로스테릭(allosteric) TYK2 저해제 ‘IN-121803’를 첫 공개했다. HK이노엔은 지난 15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2024 미국피부연구학회 학술대회(2024 Society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Annual Meeting, SID 2024)에서 IN-121803의 연구결과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SID는 전세계1600여명의 피부·자가면역질환 전문가, 업계 종사자가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은 27일 면역항암제 ‘GI-102’의 피하주사(SC) 제형 개발 및 화학항암제/면역항암제 병용이 추가된 임상1/2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 변경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회사는 변경된 IND에 따른 본격적인 GI-102의 미국 임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미국 현지에선 메이요 클리닉, 클리블랜드 클리닉, 메모리얼 슬론-케터링 암센터 등과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GI-102는 CD80과 변이형 IL-2의 융합단백질(CD80-IL2) 약물이다. 회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가 세포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 신약 개발사 턴바이오테크놀로지(Turn Biotechnologies)와 독점적 기술도입(L/I) 계약을 체결하며 mRNA로의 치료 영역을 확대한다. 한올바이오파마는 27일 턴바이오와 안과와 귀 질환에서 노화 후성유전학 리프로그래밍(Epigenetic Reprogramming of Aging, ERA™) 플랫폼에 대한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지난 2022년 턴바이오의 시리즈A에 참여하며 지속적으로 협업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전시회 '2024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BIO USA 2024)'에 참가한다고 27일 밝혔다.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은 미국 바이오협회(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 BIO) 주관으로 미국내 바이오클러스터가 있는 주요 도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행사로, 전세계 바이오제약 업계 관계자가 모여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교류의 장이다. 올해는 미국 샌디에고에서 '타임 포 사이
프로젠, 220억 투자유치.."유한·JW중외 30억씩 참여"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레켐비' 끝내 "첫 AD 치료제" 유럽 돌파..릴리 앞질러
와이바이오, ‘pH-감응항체 ADC’ 연구 "AACR 발표"
펩트론, ‘CNP 유사체’ 연골무형성증 1상 “자진취하”
글리코마인, 시리즈C 1.15억弗..희귀질환 ’LNP 대체요법’
한국노바티스, '킴리아' 급여 3주년 “치료기회 확대”
BMS, 빅 베팅 ‘미오신 저해제’ 후속 적응증 3상 “실패”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파노로스, 최민수 상무 영입..前넷타겟 대표
유한의학상 대상에 박완범 서울의대 부교수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유바이오로직스, 'mRNA 백신개발' 질병청 과제선정
젠큐릭스, '유방암 예후진단' 경쟁제품 비교 "논문 게재"
대웅제약, 당뇨약 '엔블로' 중남미·러시아 7개국 허가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