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스티팜(ST Pharm)은 23일 자체개발 신약 에이즈치료제 ‘STP0404’의 전임상 결과 논문이 국제학술지 '플로스 패소전스(PLOS Pathogen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 저널은 면역학·바이러스학 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로, 이번 논문에는 STP0404의 작용 메커니즘과 우수한 효과, 안전성 데이터가 발표됐다. 게재된 논문 제목은 ‘숙주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과 바이러스의 인테그라제가 상호작용하는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 강력하고 안전한 알로스테릭 HIV-1 바이러스 인테그라제 억제제’이다(doi: 10.1371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는 23일 Apo E(Apolipoprotein E)을 분별진단하는 ‘에스에스유 아포E (SSu-ApoE)’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외진단의료기기 인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SSu-ApoE는 알츠하이머병의 발병 유전자로 알려진 ApoE 유전형 4종(E1, E2, E3, E4)을 모두 분석 가능하다. 유전자 탐색 확률을 높인 프로브(probe)와 표적 유전자간의 반응(hybridization)에 대한 온도차 기반 분석법과 시선바이오머티리얼스의 다중 유전자 동시검출 기술을 결합해 Apo E 유전자
한미약품그룹이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와 함께 이중항체 기반의 ADC 항암제를 공동으로 개발한다. 한미약품과 북경한미약품,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2일 북경한미가 개발한 이중항체 플랫폼 ‘펜탐바디’를 적용한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 공동연구 및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북경한미약품이 보유한 서로 다른 2개의 항원에 결합하는 이중항체 물질에 레고켐이 보유한 ADC 링커-톡신 플랫폼을 적용해 차세대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을 발굴한다. 구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3일 유럽시장에서 자가면역질환 바이오시밀러 '베네팔리’, ‘임랄디’, ‘플릭사비’ 3종의 올해 상반기 매출이 4억750만달러(약 4600억원)로 전년동기 3억9040만달러 대비 4.4% 증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1분기 매출은 2억510만달러였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유럽지역 마케팅 파트너사인 바이오젠(Biogen)의 2분기 실적발표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주력제품인 베네팔리(BENEPALI, etanercept)는 올해 상반기에 2억4320만달러(약 2750억원), 플릭사비(FLIXABI, inflixima
에이치케이이노엔(inno.N)의 코로나19 백신이 국내 임상1상을 승인받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에이노엔의 코로나19 백신 ‘IN-B009’의 안전성, 면역원성(중화항체 증가 비율)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1상 시험계획을 22일 승인했다고 밝혔다. IN-B009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표면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만든 재조합단백질 백신이다. 특히 이번에 승인받은 백신은 표면항원 단백질의 N-말단 부위에 세포투과 펩타이드(Cell Penetrating Peptide, CPP)를 추가로 발현시켜 세포 내로 단백질이 잘 전달될
에이치케이이노엔(inno.N)이 CAR-T와 CAR-NK에 주력한 유전자·세포 치료제 분야에서 국내 첫 주자로 자리잡기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강석희 이노엔 대표는 오는 8월 코스닥 상장을 앞두고 지난 22일 열린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유전자·세포 치료제 분야에서 글로벌 플레이어로 자리잡기 위해 CAR-T와 CAR-NK에 집중하고 있으며, 우선 자가세포(autologous)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한다”며 “국내와 아시아 시장에서 성공적인 상용화를 목표로 자가 CAR-T, CAR-NK 생산에 적합한 비용 효율적인(fully clo
닥터노아바이오텍은 22일 뇌졸중 치료제 후보물질 ‘NDC-002’의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만약 승인된다면 국내에서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개발한 약물의 최초 임상진입 사례가 된다고 닥터노아측은 의미를 부여했다. NDC-002는 신경염증을 줄여 뇌손상을 줄임과 동시에 손상된 뇌신경세포 분화를 촉진시켜 뇌졸중 후유증 및 회복을 돕는 다중기전 2제 복합신약이다. 닥터노아의 'ARK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한 첫 신약후보물질이다. 닥터노아는 ARK 플랫폼을 기반으로 신약개발을 진행하고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는 22일 나노입자 항암제 제조기술인 이중나노미셀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대해 미국, 유럽, 호주, 러시아 등에서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중나노미셀 기술은 초기부터 상업화를 위해 대량생산에도 적합하게 개발됐으며, 나노의약품의 임상단계 진입에 장벽 중 하나인 균일품질을 유지하는 스케일업에도 성공해 첫 파이프라인인 ‘SNB-101’에 적용됐다.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주요국 특허등록에 따라 이중나노미셀 기술을 다른 약물에도 적용하는 것을 고려 중”이라며 “특히 최근 주목받고 있는 mRNA 전달기술의 단점
아미코젠(Amicogen)은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비피도(Bifido)의 지분 245만4000주 취득을 결정했다고 21일 공시했다. 이는 비피도 지분의 30%에 해당하며 600억원 규모다. 이번 결정으로 아미코젠은 비피도의 실질적인 경영권을 인수한다고 밝혔다. 아미코젠에 따르면 비피도 인수를 통해 국내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 시장 지배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사람 유래 기능성 비피도박테리움 분야에서 기술력을 갖고 있는 비피도와 시너지를 발휘해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또한 양사가 가진 제품기술력과 유통망을 이용해 마이크로바이
한올바이오파마는 대웅제약과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HL036 점안액(성분명: 탄파너셉트)'에 대한 2번째 임상3상(임상명: VELOS-3)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올해 3분기 HL036의 VELOS-3 임상을 시작해 내년 상반기내 탑라인(Topline)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한다. VELOS-3 임상은 HL036의 효능과 안전성이 앞선 결과와 재현되는지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미국내 9개 안과병원에서 안구건조증 환자 300명을 대상으로
메드팩토는 22일 ‘백토서팁+5FU/LV/오니바이드' 병용요법이 췌장암을 대상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 ODD)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메드팩토 관계자는 “’백토서팁+5FU/LV/오니바이드’ 병용요법은 전임상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이며 췌장암의 새로운 치료옵션으로서 가능성을 확인한 상황”이라며 “백토서팁과 암 치료제의 병용요법이 희귀의약품(ODD)지정을 받은 것은 위암에 이어 두번째”라고 말했다. 메드팩토가 지난 4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발표한 전임상 결과
씨제이제일제당(CJ제일제당)이 천랩의 대주주 지분과 유상증자를 통한 신주 발행을 합쳐 지분 43.99%를 확보, 천랩을 인수한다. 천랩 인수금액은 총 982억원 규모다. 천랩은 21일 최대주주인 천종식 대표와 주요 주주인 상해 ZJ 바이오텍(Shanghai ZJ Bio-Tech)이 보유주식 총 62만5233주(15.99%)를 CJ제일제당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각각 천종식 대표는 10%, 상해 ZJ 바이오텍은 5.99%의 주식을 양도했다. 주당 4만원으로 총 250억원 규모다. 더불어 천랩은 CJ제일제당을 대상으로
AI startup Lunit said on 19th that it has completed attracting a strategic investment of $26 million from Guardant Health. The deal, which includes the investment made by Guardant Health and also a groundbreaking collaboration between a liquid biopsy company and a medical AI startup, is intended to
쓰리빌리언(3billion)은 21일 희귀유전질병 진단을 위한 유전변이 해석 딥러닝 모델 ‘3Cnet’개발에 대한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Bioinformatic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3Cnet은 순환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s, RNN)이 적용된 유전변이 해석 인공지능 모델로, 환자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변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기 위해 쓰리빌리언 연구팀이 개발중인 모델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3Cnet은 기존에 개발된 인공지능(AI) 모델(REVEL, VEST4, SIFT, PolyPhen, Pr
동아에스티(Dong-A ST, 동아ST)와 전략적 파트너사인 메이지세이카파마(Meiji Seika Pharma)는 인도 제약사 인타스(Intas Pharmaceuticals)와 임상3상 단계에 있는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DMB-3115’의 글로벌 라이선스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동아에스티와 메이지세이카파마는 DMB-3115의 연구개발과 완제품 독점 공급을 맡고, 글로벌 지역(한국, 일본, 일부 아시아 국가 제외)에서 허가와 판매에 대한 독점 권리를 인타스에 이전한다. 상업화 후 제품 생산은 동아쏘시오
샤페론은 지난 13~15일 비대면으로 열린 급성호흡곤란 증후군치료제 개발 써밋(ARDS Drug Development Summit)에서 코로나19 치료제 ‘누세핀 (NuSepin®)’의 유럽 임상 2상 최종결과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누세핀이 코로나19 환자의 폐렴증상을 개선시키고, 치료기간을 단축시켰다는 결과다. 이번 써밋은 영국 핸슨웨이드(Hanson Wade)가 주관해 개최됐다. 발표에 따르면 임상2상은 지난해 9월부터 루마니아 소재 5개 병원에서 코로나19 폐렴환자 64명을 대상으로 위약군과 누세핀 주사제를 투여해 진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노보노, ‘경구 GLP-1’ 비만3상 2년만에 “美 허가신청”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리제네론, ‘고용량 아일리아’ 투약간격↑ “FDA 거절”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포트래이, 공간생물학·AI융합기술 11건 “AACR 발표”
삼성바이오, 1Q 매출 1조2983억 "전년比 37%↑"
다안바이오, GC셀에 고형암 ‘CAR-T/NK 항체’ L/O
퍼스트바이오, 'HPK1 저해제' 메커니즘 "AACR 발표"
SK바사, 모더나 'mRNA 제조' 특허소송서 "승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