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자진단 전문기업 랩지노믹스는 24일 신약사업본부를 출범하고 CD47 타깃 면역항암제(IO)와 코로나19 다가백신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새로 출범한 신약사업본부의 총괄책임은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 본부장과 리드컴파스인베스트먼트 대표를 역임한 김태억 부사장이 맡는다. 랩지노믹스는 이날 국내 시프트바이오로부터 페리틴 나노케이지 기반의 면역항암제 'LGP-S01'을 계약금 5억원, 개발단계에 따른 마일스톤 95억원 등 총 100억원 규모로 도입했다고 공시했다. 랩지노믹스는 계약금으로 계약시 1억5000만원, 임상 1상 임상
엑소코바이오(Exocobio)가 24일 충청북도 오송에 엑소좀 신약 GMP 제조시설및 연구소(EGMP) 신축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엑소코바이오에 따르면 이 시설에서는 엑소좀 기반 첨단신약에 대한 연구개발과 제조를 함께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엑소코바이오가 개발해온 줄기세포 엑소좀(Naïve Stem Cell Exosome)과 신규 프로젝트인 유전자 엔지니어링 엑소좀(Genetically Engineered Exosome) 연구개발 및 생산라인도 갖춘다. 신축 공사는 올해 8월에 시작, 2022년말에 완료될 예정으로 완공 시 20
뷰노(VUNO)는 24일 인공지능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딥카스™(VUNO Med®–DeepCARS™)’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뷰노메드 딥카스™는 일반병동 입원 환자의 전자의무기록(EMR) 등에서 수집한 혈압, 맥박, 호흡, 체온의 4가지 활력 징후(Vital Sign)를 기반으로 심정지 발생 위험도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의료기기다. 뷰노는 뷰노메드 딥카스™가 전자의무기록 등에서 자동수집한 환자의 활력징후를 분석하고 심정지 발생을 사전 예측하기 때문에, 중환자실에 비해 지속적인 환자감시가 어려웠
삼양바이오팜USA(Samyang Biopharm USA)는 면역항암(immuno-oncology, IO) 신약 후보물질의 연구개발을 위해 베일러의과대학 이현성 교수와 3년간 전략적 연구협력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현성 박사는 베일러 의과대학(Baylor College of Medicine)의 외과 조교수이자 시스템 종양 면역학 연구소(Systems Onco-Immunology Laboratory, SOIL) 소장이다. 이번 연구 협력에 따라 이 박사 연구팀과 삼양바이오팜USA의 면역항암 신약 후보물질인 ‘SYB-010
신약개발 플랫폼 전문기업 에이프릴바이오가 24일 시리즈C로 250억원의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C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인 LB인베스트먼트, 하나금융투자, 이베스트증권과 신규투자자인 KTB네트워크, DS자산운용, 프리미어파트너스, NH투자증권, BNK투자증권, 신한자산운용, 바로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 HuDVFab와 항체 절편 이용해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지속형 플랫폼 기술 SAFA 등을 이용해 다양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혁신신약을 개발 중이다. 에이프릴의 리드 파이프라인인 자가면
엔젠바이오는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 진단제품 ‘BRCA아큐테스트 플러스™(BRCAaccuTest PLUS™)’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외진단 의료기기 3등급 제조 허가를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BRCA아큐테스트 플러스™는 혈액에서 채취한 DNA의 BRCA1와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NGS 기반 검사를 통해 진단하는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 진단제품이다. 이번 제품은 지난 2017년 식약처 허가를 획득한 ‘BRCA아큐테스트™’의 후속 제품으로, 엔젠바이오 측은 국내외 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축적된 변이 탐지 및 분석 데이
GC녹십자랩셀은 2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급성호흡곤란증후군(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ARDS) 치료제 후보물질 ‘CT303(동종편도유래중간엽줄기세포)’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임상은 환자 8명을 대상으로 CT303의 단회 투여시 안전성, 내약성 및 유효성 등을 평가하는 임상 1상이다.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병원, 서울보라매병원 등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외상이나 감염, 폐질환 등의 원인으로 폐에 체액이 축적돼 발생한다. 사망률이 약 45%
큐라티스(Quratis)는 라이트펀드(RIGHT Fund)의 연구비 지원사업 선정과제 ‘주혈흡충증 백신(QTP105)’에서 공동 연구자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큐라티스에 따르면 이번 주혈흡충증 백신 연구에는 항원을 개발한 TTUHSC(Texas Tech University Health Sciences Center)와 PAI 라이프 사이언스(PAI Life Sciences)가 공동으로 참여한다. 큐라티스의 오송 바이오플랜트에서 모든 공정에 대한 밸리데이션(validation)과 항원 생산 최적화단계를 거친 뒤 아프리카 임상 2
3D 바이오프린팅 전문기업 티앤알바이오팹은 23일 자사가 개발한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를 강남세브란스병원의 윤인식 교수의 집도로 성공적으로 환자에게 이식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외측성 소이증 환자 대상의 귀 재건용 맞춤형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다. 티앤알바이오팹과 강남세브란스병원 성형외과 윤인식 교수팀은 지난해 식약처로부터 연구자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완료하고, 연구자 주도 탐색임상을 진행해왔다. 이번 소이증 환자에게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맞춤형의 귀 재건용 생분해성 인공지지체를 이식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삼성바이오에피스가 23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바이우비즈(BYOOVIZ™, SB11, Ranibizumab)’의 유럽 판매허가를 최종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은 지난 6월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위원회(CHMP)로부터 긍정의견을 받은 후 2개월 만에 진행된 것이며, 이로써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유럽 시장에서 첫 번째로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 판매 승인을 얻게 됐다. 루센티스는 로슈(Roche)와 노바티스(Novartis)가 판매하고 있는 안과질환 치료제로 황반변성, 당뇨병성 황반
뇌질환 신약개발 바이오벤처 소바젠(SoVarGen)은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난치성 뇌전증인 국소피질이형성증 2형(Focal Cortical Dysplasia type 2, FCD Type 2) 치료제 ‘SVG101’의 임상 1상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소바젠의 SVG101은 약물재창출 신약후보물질로 국소피질이형성증 2형에 동반된 뇌전증을 적응증으로 연구 중이다. SVG101의 성분은 mTOR 저해제인 에베로리무스(everolimus)다. SVG101은 지엘팜텍과 공동개발을 통해 소아 환자들이 쉽게 복용할 수 있는 분산정으로
셀트리온은 20일 아이큐어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용 도네페질(Donepezil) 패치제 ‘도네리온패취’의 국내 독점 판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도네리온패취’는 올해 4월 식약처에 품목허가신청을 제출한 상태로 식약처 승인시 세계 첫 도네페질 패치제가 된다. 셀트리온은 지난 2017년 아이큐어와 도네페질 패치제에 대해 국내 공동판권 계약을 체결했으나, 이번 독점판매 계약에 따라 국내에서 약 12년간 독점으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아이큐어는 도네페질 패치제의 생산 및 공급을
파멥신(Pharmabcine)이 혈관신생차단제로 개발중인 신규 항체에 대한 PCT(특허협력조약) 출원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ANG-2(안지오포이에틴-2)를 타깃하는 항체를 개량한 것으로, 안구주사제에 요구되는 고농축 제형 개발을 위한 용해도 및 생산성 개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해당 기술은 안질환, 특히 노인성 황반변성 및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ANG-2는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성장인자다. 파멥신은 습성황반변성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레이저 유도 맥락막 신생
휴메딕스는 19일 에이치엘비제약과 비만치료용 장기지속형 주사제 특허전용실시권 및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 3월에 맺은 업무협약(MOU)을 발전시킨 것으로, 양사는 비만치료용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개발, 허가 및 생산, 유통 등 사업 전반에 대한 계약이다. 이번 딜의 계약금은 공개하지 않았다. 계약에 따라 휴메딕스는 에이치엘비제약의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기술료를 지급하며, 시판 후 10년동안 상업생산 마일스톤 기술료와 특허존속기간 만료일까지 특허전용실시권 로열티를 지급한다. 또한 휴메딕스는 치료제의 한
압타바이오는 19일 경구용 의약품 개발을 위한 러시아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압타바이오가 이번에 취득한 특허는 의약품의 활성 성분이 장기간 분해되지 않고 안정성을 갖춰 장기간 저장시 안정성을 높이고 제조의 용이성을 높인 제제특허다. 해당 기술은 생체 내 약리 활성의 안정화 및 경구 흡수율을 향상시켜 경구용 치료제 개발에 이용할 수 있다. 이번 러시아 특허 취득은 국내, 호주, 캐나다에 이어 네번째이다. 압타바이오는 해당 특허를 회사의 핵심 신약 후보물질인 'APX-115'에 적용해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를 개발
대웅제약은 19일 한올바이오파마와 미국 보스턴 소재 신약개발회사 알로플렉스(Alloplex Biotherapeutics)에 100만달러 규모의 공동투자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알로플렉스는 하버드대 출신 면역학자 프랭크 보리엘로(Frank Borriello) 박사가 2016년 설립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바이오 기업으로, 광범위 종양을 타깃하는 말초혈액 단핵세포(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 유래 자가(Autologous)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대웅제약과 한올은 알로플렉스의 항암 면역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노보노, ‘경구 GLP-1’ 비만3상 2년만에 “美 허가신청”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리제네론, ‘고용량 아일리아’ 투약간격↑ “FDA 거절”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포트래이, 공간생물학·AI융합기술 11건 “AACR 발표”
삼성바이오, 1Q 매출 1조2983억 "전년比 37%↑"
다안바이오, GC셀에 고형암 ‘CAR-T/NK 항체’ L/O
퍼스트바이오, 'HPK1 저해제' 메커니즘 "AACR 발표"
SK바사, 모더나 'mRNA 제조' 특허소송서 "승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