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격적인 에셋확보에 나서고 있는 엑셀리시스(Exelixis)가 캐털란트(Catalent)에서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을 사들였다. 엑셀리시스는 지난 2020년 캐털란트와 항체접합 기술인 'SMARTag'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한 데 이어 이번 딜로 SMARTag 기술이 적용된 3개 ADC 프로그램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딜은 엑셀리시스가 사이브렉사(Cybrexa Therapeutics)와의 펩타이드-약물접합체(PDC) 딜, 세이로파(Sairopa B.V.)와의 SIRPα 항체 딜을 발표한지 2일만에 체결한 건이다. 엑셀리시스
갈라파고스(Galapagos)가 섬유증(fibrosis)과 신장질환(kidney disease) 프로그램을 전면 중단하고, 200명 상당의 인력감축을 단행한다. 갈라파고스는 지난 3일(현지시간) 새로운 전략적 변화를 위해 이같은 프로그램 중단과 인력 구조조정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갈라파고스는 앞으로 항암제(oncology)와 면역학(immunology) 분야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갈라파고스는 지난 6월 CAR-T 개발사 셀포인트(CellPoint)와 항체치료제 개발사 어바운드바이오(AboundBio) 등 2개 회사를 인수
제조이슈와 경쟁약물 출현도, 무섭게 증가하는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의 GLP-1 약물의 매출증가 기세를 꺾지 못하고 있다. 노보노디스크는 지난 2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 자리에서 누적매출액 128억덴마크크로네(DKK, 약 172억달러)를 올렸으며, 이는 고정환율 기준(CER) 16%, 현지통화 기준 26% 증가한 수치이다. 당뇨병과 비만부문이 29% 성장하면서 매출성장을 이끌었으며, 특히 GLP-1 당뇨약 매출액이 59%로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노보노디스크는 올해 매출액 성장 기대치를 14~17%(CER)
앨커미스(Alkermes)가 항암개발 사업부를 분사한다. 앨커미스 항암개발 사업부는 현재 리드에셋으로 IL-2 약물 ‘ALKS4230(nemvaleukin alfa)’와 IL-12, IL-18 등 사이토카인(engineered cytokine) 후보물질을 파이프라인으로 보유하고 있다. 앨커미스는 분사를 통해 보유중인 신경정신 약물에 집중하고 항암제 개발사업부가 초기단계에서 개발중인 후보물질의 고도화를 동시에 노리는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최근들어 잇따른 글로벌 빅파마들의 차세대 IL-2 약물 개발실패 소식이 이번
이제 새로운 면역항암제가 폐암 1차 치료제 시장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라는 거대한 벽을 뛰어넘어야 한다는 것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키트루다가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허가임상에서 적어도 키트루다와 동등이상의 효능을 증명해야하는 것이다. 이같은 변화가 표면으로 드러난 것은 아커스 바이오사이언스(Arcus Biosciences)가 지난 2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자리에서 회사가 추진하고 있는 허가 ARC-10 임상3상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
엑셀리시스(Exelixis)는 지난 1일(현지시간) 세이로파(Sairopa B.V.)가 개발한 SIRPα 타깃 항체에 대해 1억1000만달러 규모의 옵션딜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이브렉사(Cybrexa Therapeutics)로부터 펩타이드-약물접합체(PDC)를 사들이는 계약금 6000만달러를 포함해 총 7억달러 규모의 딜을 발표한 같은날 체결한 계약이다. 두 계약에 따른 계약금 규모만 1억달러에 달한다. 엑셀리시스는 기존에는 TKI(tyrosine kinase inhibitor) 등 저분자화합물에 집중해 왔지만, 카보잔티닙(ca
화이자(Pfizer)가 초기 임상단계의 3개 프로그램 개발을 중단한다. 화이자는 지난 1일(현지시간) 파이프라인 개발현황을 업데이트하며 이같은 프로그램 중단소식을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화이자는 임상1상 단계의 △아토피피부염(atopic dermatitis) 대상 국소제형(topical) JAK 저해제 ‘PF-07259955’ △간섬유증(liver fibrosis)을 동반한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대상 DGAT2(diacylglycerol O-acyltransferase 2) 저해제 ‘PF-07202954’ △전이성 유방암 대
아피메드(Affimed)가 3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 혈액암학회(ASH 2022) 초록에서 세포 인게이저(NK cell engager)와 동종유래(allogeneic) NK세포치료제 병용투여라는 전략에서 림프종 대상 완전관해(CR) 72%라는 이전보다 개선된 결과를 업데이트하면서, 이같은 병용전략을 발전시키기 위한 상업화 파트너로 GC셀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를 택했다. 아티바가 1년반전부터 추진해오던 나스닥 기업공개(IPO)를 자진철회한다고 밝힌지 이틀만의 움직임이다. 나스닥
엑셀리시스(Exelixis)가 사이브렉사(Cybrexa Therapeutics)의 펩타이드-약물접합체(PDC)를 사들이며 새로운 모달리티의 항암제를 확보했다. 사이브렉사의 PDC는 TME(tumor microenvironment)의 낮은 pH(low-pH)에서만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종양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또한 이같은 PDC는 암세포의 특정 항원을 타깃하는 것이 아니라 TME의 특징을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암종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엑셀리시스는 지난 1일(현지시간) 사이브렉사로부터 임상단계의 PDC 약
CSL 자회사 CSL 시퀴러스(CSL Seqirus)가 악투러스(Arcturus Therapeutics)와 자가증폭 mRNA(self-amplifyng mRNA, sa-mNRA) 기반 코로나19 백신 등 감염병 백신개발을 위해 45억달러 규모의 파트너십을 맺었다. CSL 시퀴러스는 악투러스에 계약금만 2억달러를 베팅했다. 이번 계약으로 CSL 시퀴러스는 악투러스가 개발한 sa-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ARCT-154’의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가지며, 독감을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유행하는 3가지 호흡기감염질환에 대한 백신을
미국 머크(MSD)의 블록버스터 PD-1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가 올해 상반기 매출액이 처음으로 100억달러에 돌파한 것에 이어, 계속해서 높은 성장률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앞으로의 키트루다 시장 확대에 중요한 초기 시장을 타깃해 mRNA 암백신, 차세대 mRNA 등 RNA 기술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미국 머크(MSD)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 자리에서 올해 3분기의 키트루다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26% 성장한 54억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날 머크는 켄 프
1년반 전부터 추진해 온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의 나스닥 기업공개(IPO)에 또다시 차질이 생겼다. 아티바는 지난 2019년 GC녹십자홀딩스와 GC녹십자랩셀이 NK세포치료제 개발을 목적으로 미국에 설립한 바이오텍이다. 아티바는 지난해 4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S-1 서류 제출을 통해 1억달러를 조달할 계획을 밝히면서 기업공개를 추진했다. 아티바는 나스닥에 'ARTV'라는 티커로 거래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같은해 12월 아티바는 리드 NK세포치료제 후부물질 ‘AB-101’의 임상
오름테라퓨틱(Orum Therapeutics)이 몰레큘러글루(molecular glue) 분해약물(degrader)이라는 새로운 페이로드(payload)가 적용된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로 임상에 들어갔다. 기존에 전신투여시 독성이슈가 있는 GSPT1 분해약물에 항체를 결합해, 타깃 조직으로 정밀하게 약물을 전달해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를 개선하는 오름의 TPD²(Dual-Precision Targeted Protein Degradation) 플랫폼이 적용된 첫 임상진입 건이다. 이번에 임상을 시작한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pembrolizumab)'는 면역항암제다. 면역항암제는 몸속 면역시스템이 암을 없애는 기능을 이용하는 개념의 치료제다. 표적항암제가 특정한 암의 특별한 성질을 타깃해 암을 공격하는 메커니즘이라면, 면역항암제는 우리 몸속에 존재하는 면역시스템이 암을 공격하는 메커니즘을 활용하므로 여러 종류의 암 치료에 처방할 수 있다. 머크(Merck & Co.)의 키트루다는 2022년 기준으로 거의 모든 암에 처방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키트루다를 ‘기적의 항암신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책은 키트루
베이징대(Peiking University) 연구팀이 니코틴(nicotine)에 의해 활성화되는 AMPKα-SMPD3-세라마이드 신호전달 경로를 니코틴 분해 박테리아가 억제해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증상을 완화한 연구결과를 내놨다. 흡연은 지방간염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상세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장내미생물인 B. xylanisolvens(Bacteroides xylanisolvens, Bx)를 흡연 마우스 모델에 투여하자 니코틴 농도가 감소한 결과를 확인했다. 또 AMPKα와 SMPD3의 인산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확증임상에서 실패한 젭젤카(Zepzelca, lurbinectedin)’의 승인철회를 진행하지 않고 그대로 승인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젭젤카는 지난 2020년 소세포폐암(SCLC) 2차치료제로 FDA 가속승인을 받은 재즈(Jazz Pharmaceuticals)의 약물이다. FDA가 이같은 입장을 내놓은 것은 확증임상에서 테스트한 용법과 용량이 가속승인 받은 용법, 용량이 다르다는 점과 소세포폐암 2차치료제에서 젭젤카 승인 후 새로 승인된 약물이 없다는 점이 주된 이유로 작용했다. FDA는 재즈에
에이비엘-유한, 'EGFRx4-1BB' 비임상 "AACR 발표"
에이비엘 "GSK 공격적, 3개월만에 딜..Aβ·타우 제외"
BMS도, ‘옵디보+여보이’ 대장암 1차 “美 FDA 승인”
페링, 방광암 첫 유전자치료제 “첫해 7천만€ 벌어"
에스티팜, 글로벌 ‘CRISPR 학회’ 참가..기술 홍보
노바티스, 美 제조·R&D에 5년간 "230억弗 투자"
솔루, 시리즈A 4100만弗..GSK ‘CyTAC’ 플랫폼 임상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CSO) 영입
디티앤씨 휴사이언스, 조권 대표 선임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거래소, 오스코텍 자회사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유한양행, ‘비판텐 연고’와 ‘카네스텐’ 판매 호조
HLB제넥스, 뉴로토브 지분 74.73% 확보 "자회사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