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 개발이 진전되면서, 이에 대한 시각도 진화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 이뤄진 진전은 페이로드(payload)에 대한 것이다. 2000년대 1세대 페이로드인 칼리키아마이신(calicheamicin)을 적용한 ADC가 첫 출시됐으며, 이후 2013년을 기점으로 2세대 페이로드 미세소관(microtubule) 저해제를 적용한 여러 ADC가 나오고 있다. 이어 2019년 3세대 페이로드로 토포이소머라아제(topoisomerase, TOP) 저해제 적용 ADC가 등장하면서, 약물의 치료지수(TI)가 개선됨에 따라
ImmunAbs has embarked to develop complement-associated autoimmune disease treatment using a next-generation complement 5 antibody that exhibits improved C5 inhibitory efficacy and safety. Dr. DongJo Kim, CEO of ImmunAbs, stated, "Based on the preclinical results of inhibiting C5 activity, which is
이뮨앱스(ImmunAbs)가 C5 억제 효능과 안전성을 개선한 차세대 보체5(complement 5) 항체를 이용해 보체 유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김동조 이뮨앱스 대표는 “기존 약물보다 표적 선택성이 높아 더 효과적인 C5 활성을 억제한 전임상 결과를 기반으로 현재 리드파이프라인 ‘IM-101’의 미국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다”며 “치료효과를 예상해볼 수 있는 free C5 등 바이오마커 분석도 예정되어 있어, 최종결과가 도출되는 올해말이 변곡점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7년 설립된 이뮨앱스는
This year marks a turning point for Abclon as it transforms into a completely different company. The first interim results of phase 1 clinical trials of CAR-T candidates based on Abclon's antibody technology released at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ACR 2023) next month, and the re
알테오젠(Alteogen)은 그 어느 국내 바이오텍보다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여줘 온 회사이다. 알테오젠은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회사이지만, 2008년 설립후 지금까지 회사를 대표하는 키워드는 계속해서 바뀌면서 변화해왔다. 그리고 그 기저에는 ‘개발(development)’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이 있었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회사는 사이언스(Science)보다 개발이 중요하다"고 단언한다. 우리가 그동안 통상적으로 들어왔던 이야기와는 다른 결의 목소리다. 박 대표는 “바이오산업은 사이언스가 기본이 되지만, 사업적 측면으로 들어
프로지니어(Progeener)가 특정 환경에서 활성화되도록 설계한 신규 면역증강제 플랫폼과 무세포(cell-free) 단백질 생산 플랫폼 기술을 고도화하고, 이를 이용한 개인맞춤형 비호지킨림프종(NHL) 타깃 항암백신 개발에 나선다. 프로지니어는 특정 환경에서 활성화되도록 설계된 TLR7/8 작용제(agonist) 기반 면역증강제 플랫폼 ‘ProLNG’과 RNA 겔(RNA hydrogel)을 이용한 무세포(cell-free) 단백질 생산 플랫폼 ‘ANGEL’ 등의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proLNG는 TLR7/8 작용제 기반의
올해는 앱클론(Abclon)이 이전과는 전혀 다른 회사로 변모하는 전환점이 될 해이다. 내달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앱클론의 항체기술을 기반으로 한 CAR-T 후보물질의 임상1상 첫 중간결과가 공개될 예정이며, 올해 상반기 항암제 후보물질의 위암 임상2상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다. 앱클론이 항체기술에 대한 자신감으로 설립된지 14년만에 또다른 진전이 예고되고 있다. 그동안의 앱클론을 대표할 수 있는 단어를 꼽는다면 '정공법(正攻法)'이다. 앱클론 항체기술의 바탕이 되는 것은 이종서 대표가 2003년부터 지
나디안바이오(NADIANBIO)가 세포내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양을 늘려 종양미세환경(TME)을 조절하고 암피로증후군(cancer related fatigue, CRF)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제 후보물질 ‘WK0202’를 개발하겠다고 나섰다. 나디안바이오는 지난 2016년 소홍섭, 곽태환 공동대표가 설립했다. 소 대표는 현재 원광대 의대 교수로도 재직중이며, 곽 대표는 과거 머젠스와 파이안바이오 대표이사를 거친 바 있다. 곽 대표는 2000년 머젠스를 설립해 베타라파콘(β-lapach
슈뢰딩거(Schrödinger) 창업자 교수 실험실 출신의 조은성 대표가 2019년 설립한 인세리브로(inCerebro)의 신약개발 전략과 파이프라인 진행현황을 공개했다. 조은성 인세리브로 대표는 지난달 31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인세리브로 사업설명회(IR)에서 “현재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트랜드는 분자모델링(molecular modeling) 기술과 AI를 함께 이용하는 것으로, 아직까지 AI만을 이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며 “구글(Google)의 알파폴드(AlphaFold)처럼 AI가 확실히 우위를
IMBiologics is seeking a change different from the past as it unveils an IgM-based antibody platform after two years of establishment. Most antibody platforms are based on IgG, and even in the global market, platform development using IgM antibodies is not common. An IgG antibody has two antigen-bi
로제타엑소좀(Rosetta Exosome)이 약독화 박테리아로부터 얻은 엑소좀(exosome)을 이용한 면역항암제 및 약물전달체(DDS) 개발에 나섰다. 박테리아 기반 엑소좀은 대량배양·생산이 용이하고, 크기가 큰 치료물질도 탑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줄기세포 기반 엑소좀과 차별화된다. 고용송 로제타엑소좀 대표이자 포항공대 교수는 “약독화 박테리아를 이용하면 줄기세포보다 대량배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일정한 품질을 가진 엑소좀을 높은 수율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차별화된 부분”이라며 “면역시스템을 활성화하는 REX 플랫폼
마이크로바이오틱스(Microbiotix)가 항생제가 듣지않는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에 대한 박테리오파지(파지) 치료제를 개발한다. 슈퍼박테리아는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고 있어 더 이상 치료할 방법이 없는 박테리아를 의미한다. 마이크로바이오틱스는 자체 구축한 300여종 박테리오파지 라이브러리, 박테리오파지 생산 GMP 시설, 마이크로바이옴 뱅킹 등을 이용해 다제내성균에 대한 박테리오파지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용동은 마이크로바이틱스 대표는 “다양한 종류의 슈퍼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십명의 환자들을 매달 보고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Oncolytic virus development biotech, ViroCure is about to change its constitution back to a R&D-oriented company. Since June of this year, the new CEO Dong-guk Park , a cancer surgery specialist at Dankook University, has been recruited as a co-representative. In the past, ViroCure was a company th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가 설립 2년만에 IgM 기반 항체 플랫폼을 공개하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대부분의 항체 플랫폼은 IgG를 기반으로 하며, 글로벌에서도 IgM 항체를 이용한 플랫폼 개발은 생소한 개념이다. IgG 항체는 항원을 잡는 부위가 2개라면, IgM 항체는 10~12개로 더 많다. 글로벌에서도 IgM 항체 플랫폼을 가진 회사는 올해 3월 사노피와 파트너십 딜을 맺은 IGM 바이오사이언스(IGM Biosciences) 정도만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운데 아이엠바이로직스는 올해 4
항암바이러스(oncolytic virus, OV) 개발 바이오텍인 바이로큐어(ViroCure)가 연구개발 중심의 회사로 다시금 체질을 바꾸려고 한다. 올해 6월부터 공동대표로 단국대의대 암수술 전문의인 박동국 신임 대표이사를 영입하면서다. 그동안의 바이로큐어가 항암바이러스 연구에 집중한 회사였다면, 박 신임대표가 합류하면서 각 항암바이러스 프로젝트의 임상개발 전략 고민에 대한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맞물려 올해말 항암바이러스 리드 프로젝트의 PD-1 병용투여 호주 임상1b상 최종 결과도 도출될 예정이다. 박 신임대표
Lunit, which has established a foundation as a global medical AI diagnostics company, is planning to penetrate the 50% of the market, where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are not prescribed, with a new AI biomarker that quantifies tumor-infiltrating lymphocytes (TIL) in cancer tissues. Competition to
서범석 루닛 "‘AI 바이오마커’ 진 적 없어..아예 新영역"
LG화학, 'XO 저해제' 통풍 3상 중단 "상업성 고려, 종료"
美보건부, "대대적 개편" 1만명 감축..FDA 3500명 영향
펩트론, ‘ADC 효능↑’ 펩타이드 기술 “AACR 발표”
대웅제약, CS파마서 'PRS 저해제' 계약해지 "통보"
릴리도, '도나네맙' 유럽 허가거절.."ARIA 또 발목"
루닛, 美NCI와 'AI 바이오마커' "암 데이터 분석" 착수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인사]제일파마홀딩스, 임원 승진 인사
차바이오텍, 부회장에 최석윤 前메리츠증권 고문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아이엠바이오 L/O 'OX40LxTNFα' 中 1b상 "IND 승인"
동아쏘시오홀딩스, 사내이사에 이현민 전무 선임
온코닉, ‘PARP/TNKS’ 위암 비임상 “AACR 발표”
용마로지스, "13년 연속" 우수녹색물류실천기업 인증
셀트리온, ‘졸레어 시밀러' 오토인젝터 "CHMP 승인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