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수앱지스(ISU ABXIS)는 8일 지난해 개별 재무제표 기준으로 매출 543억원, 영억이익 39억원으로 흑자전환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31.9% 늘어난 543억원으로 창사이래 최대를 기록했으며, 영업이익도 연간기준 첫 흑자전환을 달성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회사에 따르면 이는 주력제품인 고셔병(Gaucher disease) 치료제 ‘애브서틴(Abcertin)’의 매출증가, 신규 생산장비 도입과 스케일업을 통한 수율개선에 따른 원가감소에 의한 것이다. 애브서틴의 지난해 매출은 349억원으로 전년 대비
미국 브릿지바이오 파마(BridgeBio Pharma)가 쿄와기린(Kyowa Kirin)에 FGFR1~3 저해제(inhibitor)의 골격근이형성증(skeletal dysplasias)에 대한 일본 권리를 계약금 1억달러에 라이선스아웃(L/O)했다. 쿄와기린이 사들인 약물은 FGFR3 타깃하는 경구용 저해제 ‘인피그라티닙(infigratinib)’이다.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2021년 인피그라티닙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국소 진행성/전이성 담관암(CCA) 치료제로 승인받아 ‘트루셀틱(Truseltiq, high dose in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가 CD47 항체 ‘매그롤리맙(magrolimab)’의 혈액암 임상개발을 전면 중단한다. 길리어드는 지난해 이미 효능 부족으로 인해 매그롤리맙의 임상3상 2건을 중단했으며, 이번에 마지막 남은 3상단계 프로그램마저 중단하게 됐다. 그리고 이번엔 효능과 더불어 안전성 문제가 다시금 길리어드의 발목을 잡았다. 급성골수성백혈병(AML)을 적응증으로 매그롤리맙과 ‘아자시티딘(azacitidine)’, 애브비(AbbVie)의 BCL-2 저해제 ‘벤클렉스타(Venclexta, venetoclax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국내에서 BCMA(anti-B cell maturation antigen) 단일항체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특허 등록에 따라 에이비엘바이오는 오는 2039년까지 단일항체 및 그 용도에 대한 권리를 보장받게 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앞서 지난 2019년 6월26일 국제출원한 바 있다. BCMA는 다발성골수종(Multiple myeloma)에서 과발현되는 단백질이다. 다발성골수종 환자의 상당수가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더라도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극복할
메타지노미(Metagenomi)가 미국 나스닥(Nasdaq) 시장에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메타지노미는 주변 환경에서부터 온천, 습지, 바다 아래 열수분출구 등 특수한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 유전체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인공지능(AI)를 이용해 새로운 핵산분해효소(nuclease)를 발굴해 새로운 CRISPR 기반 유전자편집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메타지노미는 이를 통해 CRISPR/Cas9 유전자편집 시스템의 오프타깃(off-target) 문제, 핵산분해효소의 큰 사이즈로 인한 제한적인 전달 등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
어쩌면 GLP-1 기반 인크레틴(incretin) 약물 개발 경쟁에서 촉발된 ‘GIP 작용제(agonist) 혹은 GIP 길항제(antagonist) 둘중 어떤 접근법이 더 유리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어느정도 정리돼가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비만 분야에서 암젠이 촉발시킨 질문이다. 일라이릴리(Eli Lilly)가 GIP/GLP-1 작용제 ‘터제파타이드(tirzepatide)’를 포함해 GIP 작용 메커니즘 약물을 개발해오고 있는 가운데, 암젠은 다른 전략을 취했다. 암젠은 1년반전부터 GLP-1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면서 오히
제2회 케이바이오엑스 서밋(YUCM KAMC K-BioX SUMMIT 2)이 오는 18일 오전 9시부터 연세대의대 은명대강당에서 개최된다. 이 행사는 연세대의대(YUCM),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공동주최하고 K-BioX가 주관한다. K-BioX 서밋은 국내외 한인 생명과학자가 교류하는 학술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선배 과학자와 예비 과학자 간의 소통하는 자리로, 이를 통해 차세대 인재를 양성하고 한국 의생명과학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이번 행사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며 아카데미아 강연, 인더
미국 항암신약 개발 바이오텍 이뮤놈(Immunome)이 지난 6일(현지시간) 아얄라 파마슈티컬스(Ayala Pharmaceuticals)로부터 데스모이드 종양 치료제 후보물질 ‘AL101’과 선양낭성암종(ACC) 치료제 후보물질 ‘AL101’를 구매하는 라이선스인(L/I)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이뮤놈은 아얄라에 계약금 2000만달러와 함께 3000만달러의 지분투자를 진행한다. 또한 후보물질 개발, 상업화 마일스톤으로 3750만달러를 추가로 지급하게 된다. 총 8750만달러 규모 딜이다. 아얄라는 γ-세크리타아제
바스킹 바이오사이언스(Basking Biosciences)가 시리즈A로 55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바스킹은 뇌졸중을 적응으로 한 폰빌레브란트인자(vWF) 타깃 RNA 압타머(aptamer) 약물의 임상1상을 완료한 상태이며, 올해 임상2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압타머는 안전성 등의 문제로 인해 승인된 치료 옵션이 부족한 급성허혈성뇌졸중(acute ischemic stroke, AIS)을 주요 적응증으로 약물을 개발중이다. AIS는 전체 뇌졸중의 87%를 차지하지만, rtPA(recombinant tissue plasmino
BMS의 블록버스터 항응고제 ‘엘리퀴스(Eliquis)’가 제네릭 출시로 본격적인 매출감소 모드에 진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 캐나다 등에서 제네릭이 출시되면서 미국지역 외 매출이 전년 대비 10% 감소한 36억1400만달러를 기록했다. 아직 특허가 살아있는 미국내 매출은 전년대비 10% 증가하면서 85억9200만달러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글로벌 매출액은 122억6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6% 증가하는데 그쳤다. 엘리퀴스는 BMS의 블록버스터 PD-1 항체 ‘옵디보(Opdivo)와 함께 오는 2026년 미국 특허 만료를 앞두
버텍스 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이 새로운 삼중요법으로 진행한 낭포성섬유증(cystic fibrosis, CF) 임상3상에서, 회사의 블록버스터 삼중요법 치료제인 ‘트리카프타(Trikafta)’ 대비 땀속 염소농도(sweat chloride, SwCl)를 줄인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낭포성섬유증(CF)에서 땀염소 농도를 줄이는 것은 폐기능, 생존율 등의 예후 개선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버텍스는 이미 트리카프타로 CF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트리카프타는 지난해 16%의 매출 성장과 함께 89억
HLB글로벌은 7일 진양곤 HLB그룹 회장이 7억8500만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모두 주식으로 전환하며 13만7165주를 추가로 취득해 지분율이 기존 6.20%에서 6.38%로 늘렸다고 공시했다. 진 회장은 HLB글로벌의 최대주주다. 진 회장은 지난달에도 HLB테라퓨틱스의 주식 10만주를 추가 매수했으며, 이번에 HLB글로벌의 지분까지 추가 확보하며 그룹 전반에 대한 책임경영 실천과 함께 주주가치 제고에 나서고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HLB글로벌은 지난해 미디어커머스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는 티아이코퍼레이션을 흡수합병해 미
에자이(Eisai)와 바이오젠(Biogen)이 개발한 아밀로이드베타(Aβ) 항체 ‘레켐비(Leqembi, lecanemab)’의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매출액이 불과 11억엔(한화로 약 98억원)에 그쳤다. 애널리스트 예상치의 절반 수준의 성적이다. 이같은 소식은 지난 6일 에자이의 회계연도 기준 3분기 실적발표 자리에서 드러났다. 예상보다 더딘 상업화 속도이다. 애초 에자이는 올해 3월말까지 미국내 1만명의 알츠하이머병(AD) 환자에게 레켐비를 처방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국내 2000명의 환자가 레켐비를 투
SK케미칼(SK chemicals)은 연결기준으로 지난해 4분기 매출 4316억원, 영업이익 64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9.6%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85.7% 감소한 수치다. 4분기 당기순이익은 -105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는 지난해 4분기 매출 3229억원, 영업이익 16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12%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35.6% 감소했다. SK케미칼 관계자는 “판관비 등 비용 증가가 실적에 반영됐다”면서 “올해에도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나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세포치료제 투자는 올해에도 계속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주 록빌(Rockville, Maryland) 소재 첨단시설에 세포치료제 생산 플랫폼을 신설하기 위한 3억달러의 투자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몇년간 아스트라제네카는 세포치료제 부문에 꾸준한 투자를 진행해왔다. 지난 2022년 11월 아스트라제네카는 네오젠 테라퓨틱스(Neogene Therapeutics)를 3억2000만달러에 인수하며 임상 및 전임상 단계의 동종유래 TCR-T(T-cell recept
일라이릴리(Eli Lilly)가 GIP와 GLP-1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인크레틴(incretin) 약물개발 접근법으로, 또 한건의 성과를 이뤄낸 것으로 보인다. 올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과 심부전(heart failure) 적응증에서 잇따라 해당 GIP/GLP-1 이중작용제 ‘터제파타이드(tirzepatide)’의 임상3상 결과발표를 앞둔 가운데, 당뇨병과 비만을 넘어선 심혈관대사 적응증에서의 경쾌한 출발이다. 단 당뇨병 환자에게서 심혈관위험(CV)을 줄일 수 있는지 여부를 보는 SUR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