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첨단바이오의약품 CDMO 전문기업 이엔셀(ENCell)은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를 ‘A, A’ 등급으로 통과했다고 26일 밝혔다. 이엔셀은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두 곳의 전문기술평가기관인 기술보증기금과 이크레더블로부터 모두 A등급을 받았다.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은 우수한 기술을 가진 기업이 외부 전문평가 기관의 심사를 통과할 경우 상장기회를 부여하는 제도이며, 한국거래소에서 지정한 전문평가기관 2곳으로부터 각각 A, BBB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 올해 3월부터는 새롭게 실시된 한국거래소의 기술평가체계 표준화 기준이 적
Lunit, a global provider of cancer diagnostics solutions, today announced that CXR-AID, FujiFilm's AI solution for chest X-ray analysis, powered by Lunit INSIGHT CXR, has been officially included as an eligible solution for health insurance reimbursement in Japan. The reimbursement is provided unde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루닛 인사이트 CXR'을 기반으로 개발해 후지필름이 판매하는 'CXR-AID'가 일본 건강보험 급여 가산 대상으로 공식 인증받았다고 26일 밝혔다. CXR-AID는 흉부 엑스레이 내 비정상 소견을 검출해 의료진의 진단을 보조하는 AI 영상분석 솔루션으로, 지난 2021년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 식약청(PMDA)으로부터 허가를 획득했다. 일본 건강보험급여 제도는 CT 및 MRI 촬영 등에 대한 수가 항목인 '영상진단관리 가산3' 항목을 통해 일정한 시설요건을 갖춘 병원에서 안전기준에 따
큐라클(Curacle)은 23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궤양성대장염(UC) 후보물질 ‘CU104’의 미국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를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CU104는 CU06의 적응증 확장 프로젝트다. CU06은 혈관내피기능장애 차단제(endothelial dysfunction blocker, EDB)로 VEGF, Ang-2, IL-1b, MCP-1, 히스타민(Histamine), 트롬빈(Thrombin) 등 다양한 내피활성인자를 타깃하는 저분자화합물이다. 공시에 따르면 큐라클은 중등도에서 중증 UC환자 45명을 C
차바이오그룹 산하 차종합연구원(CHA Advanced Research Institute)과 차바이오텍(CHA Biotech)은 진코어(GenKOre)와 겸상적혈구빈혈(sickle cell anemia) 및 베타지중해성빈혈(β-thalassemia) 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3개 기관은 차종합연구원과 차바이오텍의 바이러스벡터 기술과 진코어의 유전자가위 기술을 결합해 공동연구를 진행하며, 안전성과 효율성(efficiency)을 높인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
고분자 기반 의료기기 개발회사 엔게인(ENGAIN)의 하지정맥류 치료키트 ‘베노클로(VENOCCLO)’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허가를 위한 확증(Pivotal)임상에 진입한다. 엔게인은 지난 21일 식약처의 임상승인을 받았으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서울대병원 등 2개 병원에서 본격적인 확증임상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엔게인의 이번 임상은 총 104명을 대상으로 미국 의료기기 회사 메드트로닉(Medtronic)의 하지정맥류 치료기기 '베나실(VenaSeal)' 대비 베노클로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는 임상으로 디
SK㈜의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자회사 SK팜테코(SK pharmteco)가 세포·유전자 치료제(Cell and Gene Therapy, CGT) 유럽 제2공장을 완공하면서, 글로벌 시장진출에 속도를 낸다. SK팜테코는 프랑스 소재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자회사 이포스케시(Yposkesi)가 대규모 상업생산 설비를 갖춘 제2공장을 완공했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제1공장과 함께 프랑스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인 제노폴(Genopole)에 자리한 제2공장은 5000㎡ 규모의 시설로 유럽과 미국의 cGMP 가이드에 맞춰
GPCR Therapeutics, Inc., a clinical stage, international biopharmaceutical company with an innovative approach to drug discovery based on targeting G Protein Coupled Receptors (GPCR) pairs, announced today that the company passed the Technology Evaluation process for listing on the KOSDAQ market. T
카카오헬스케어(Kakao Healthcare)는 22일 미국 샌디에고 덱스콤(Dexcom) 본사에서 연속혈당측정기(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기반 혈당관리서비스의 글로벌 사업협력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카카오헬스케어와 덱스콤은 지난 4월 미국 보스톤에서 글로벌 공동사업 추진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카카오헬스케어와 덱스콤은 한국을 시작으로 미국, 중동, 일본 등 다양한 국가에서 혈당과 생활습관 데이터를 결합해 초개인화 디지털 혈당관리 서비스 사업
셀트리온(Celltrion)은 22일 이사회를 열고 주가안정 및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셀트리온이 이번에 매입할 자사주는 총 31만4466주로 취득 예정금액은 500억원 규모다. 자사주 취득은 2023년 6월23일부터 9월22일까지 장내매수를 통해 진행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지난 2월과 3월에 이어 올해 세번째로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으며, 이번에 추가로 자사주를 매입하면 올해에만 총 97만1820주(1500억원)의 자사주를 취득하게 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셀트리온의 사업성장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에서 첫 자체 ADC 후보물질의 임상개발에 들어간다. 약 300명의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1/2상으로, 치열한 경쟁속에서 빠르게 개념입증(PoC) 데이터를 내기 위한 움직임으로 읽힌다. 레고켐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삼중음성유방암(TNBC), 대장암 등 진행성 고형암 대상 TROP2 ADC ‘LCB84’의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 약 300명을 대
알테오젠(Alteogen)은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PH20에 대한 PCT 출원을 했다고 22일 밝혔다. PH20은 체내 5가지 히알루로니다제의 한 종류로 피하조직의 중성 pH에서도 활성화돼 피하투여(SC) 제형 변환 플랫폼에 사용하고 있다. 이번 PCT 출원의 주요 의미는 인간, 영장류, 포유류의 PH20 물질구조를 이해하고 발현율을 높였다는 점에 있다. 이번 특허출원은 물질과 제법 등이 포함돼 있으며, 경제적,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PH20 변이체에 대한 권리를 광범위하게 확보하고
디앤디파마텍(D&D Pharmatech)이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GLP-1/GCG 이중작용제 ‘DD01’의 4주투여 임상1상 결과를 유럽간학회(EASL)와 미국 당뇨학회(ADA)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DD01은 페길레이션 기술을 적용한 주1회 피하투여 제형이다. GLP-1 수용체와 글루카곤(glucagon, GCG)에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지방간을 낮추고, 포도당 조절개선, 체중감량 효과를 기대한다. DD01의 임상1상 결과는 ADA 학회에서 임상이행연구를 진행한 아담 벨(Adam Bell)이 구두발표를
HLB그룹이 암 진단 전문기업 파나진을 300억원에 인수하며 암 진단사업 강화에 나섰다. HLB그룹은 HLB헬스케어사업부, HLB생명과학 메디케어사업부를 통해 진단키트 하드웨어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번 인수로 유전체 분석기술 소프트웨어를 더하게 됐다. 파나진은 21일 이사회를 거쳐 HLB, HLB바이오스텝, HLB테라퓨틱스, HLB이노베이션, HLB인베스트먼트 등으로 구성된 HLB 그룹에 30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파나진은 신주 886만7867주를 HLB 그룹에 300억원 규
항체치료제 개발기업 파멥신(PharmAbcine)은 면역항암제로 개발중인 VISTA 항체 ‘PMC-309’의 고형암 임상1a/b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 HRECs)에 제출했다고 21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호주 3개 기관에서 최대 67명의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오픈라벨(open-label)로 진행된다. 파멥신은 1a상 파트에서 PMC-309 단독요법과 미국 머크(MSD)의 PD-1 항체 ‘키트루다(Keytr
큐리언트(Qurient)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항암제로 개발하는 CDK7 저해제 ‘Q901’의 국내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21일 공시했다. 이로써 CDK7 저해제의 임상이 미국에서 국내까지 확대되게 된다. 임상1/2상은 진행성 고형암 환자 128명을 대상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되며, 현재 미국 메이요클리닉 등 7개 임상병원에서 용량증량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NCT05394103). 이번 국내 임상 승인으로 서울아산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이 임상에 참여하며, 폐암과 유방암 전문연구자와 협력하게 된다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파노로스, PD-L1xVEGFR1 융합단백질 "AACR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