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5036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하면서, 사업 특성상 상대적으로 비수기인 1분기 매출액 5000억원을 첫 돌파했다. 전년동기 대비 21.1% 증가한 수치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3.3% 증가한 510억원, 당기순이익은 24.1% 증가한 541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원화약세에 따른 외화환산이익 증가 등의 영향으로 세전이익이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전제품의 글로벌 처방이 고르게 확대된 가운데 수익성 높
이뮤노포지(ImmunoForge)는 미국 듀크대(Duke University)와 반감기를 늘리는 ELP(Elastin-Like Polypeptide) 플랫폼 기술와 관련해 연구협력을 확대해나가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앞서 이뮤노포지는 지난 2월 미국 바이오텍 페이즈바이오(PhaseBio)로부터 ELP 플랫폼 기술을 비롯해 이를 기반으로 한 전임상 단계 연골무형성증 신약(CNP 유사체) 등 신약과 관련한 특허 88건을 인수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뮤노포지는 기존 페이즈바이오와 ELP 기술에 대해 협력하고 있던 듀
다중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바이오텍 머스트바이오(MUSTBIO)가 기존 면역항암제 타깃이 가진 독성이슈를 극복하기 위한 이중항체 2건의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각각 CD3 기반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egager)와 사이토카인 인터루킨-2(IL-2)의 전신독성을 극복하기 위한 이중항체이다. 머스트바이오는 지난달 18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PD-L1xCD3 이중항체 ‘MB101’과 PD-L1xIL-2 융합단백질 ‘MB201’의 전임상 결과에 대한 포스터 발표를 진행했다.
넥스아이(Nex-I)는 12일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 정부과제에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로봇 등 10대 신산업 분야에서 국가경제를 이끌어갈 딥테크 스타트업을 1000개 이상 육성하기 위해 향후 5년간 민관합동으로 2조원이상을 투입하는 프로젝트다. 중기부는 먼저 150개사를 선정해 지난 10일 발표했으며, 프로젝트 추진 첫해인 올해말까지 120개사를 추가 선정할 계획이다. 신규 선정된 스타트업은 향후
툴젠(Toolgen)은 11일 호주 카데릭스(CARtherics)가 자사로부터 도입(L/I)한 TAG-72 CAR-T ‘CTH-004’의 중화권(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 권리를 중국 순시(Shunxi Holding Group)에 부여했다고 밝혔다. 카데릭스는 지난 2021년 툴젠으로부터 CRISPR로 유전자편집한 TAG-72 CAR-T CTH-004의 글로벌 권리를 총 1500억원 규모로 라이선스인(L/I)한 바 있다. 순시는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둔 의료산업 그룹으로 의료서비스 및 혁신적 의약품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일동제약(Iidong)은 11일 제2형 당뇨병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이 미국에서 물질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ID110521156는 GLP-1(glucagon-like peptide-1) 수용체 작용제(agonist) 계열의 저분자 화합물로, 체내에서 인슐린 분비를 유도해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GLP-1 호르몬의 유사체로 작용한다. 일동제약은 ID11052115이 생물학적 제제기반 약물에 비해 구조상으로 안정적이며 혈중 반감기가 긴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 물질은 당뇨질환 동물모델을 이용한 효능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는 11일 유럽서 시판중인 전이성 직결장암 및 유방암 치료용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베그젤마(베바시주맙, Vegzelma)'가 유럽 주요국 입찰에서 잇달아 수주에 성공하며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유럽 주요 5개국 가운데 하나인 이탈리아에서 올해 1분기 열린 롬바르디아(Lombardia), 에밀리아 로마냐(Emilia Romagna) 및 토스카나(Toscana) 주정부 입찰에서 베그젤마는 낙찰에 성공했다. 3개 주정부는 이탈리아 베바시주맙 공공시장의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연결기준 실적으로 올해 1분기 매출 608억원을 기록, 환율 하락 등 외부 요인에도 불구하고 전년동기 대비 48%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손실은 227억원으로 판관비 절감 등을 통해 분기 최저수준으로 전년동기 대비 39% 축소됐다. 회사에 따르면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의 1분기 미국 매출은 53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70% 증가했다. 지난 2020년 5월 미국 세노바메이트 출시 이후 12분기 연속 성장을 달성하고 있다. 미국내 총 처방 수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연결기준 실적으로 올해 1분기 매출액이 109억7100만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68.6% 증가했으며, 지난해 전체 매출의 80%에 육박하는 수치이다. 해외판매 확대가 분기 최대실적을 이끌었다. 1분기 해외매출은 97억2000만원으로 26억300만원을 기록했던 전년동기 대비 273.4%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매출도 3억7300만원에서 12억5100만원으로 235.4% 증가했다. 이로써 1분기 해외 매출 비중은 전체의 88.6%, 국내 매출은 11.4%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지난 10일 온라인 IR 기업설명회를 통해 지난달 진단기업인 엘립스진단(ELIPS Diagnostics)의 50% 이상에 해당하는 지분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엘립스진단은 지난 2021년 7월 신익수 숭실대 화학과 교수가 설립했으며, pre-시리즈A 단계 회사이다. 브릿지바이오는 전기화학발광(ElectroChemiLuminescence, ECL) 기반 진단기술을 보유한 엘립스진단을 인수해 중앙검사실(central Lab), 현장진단(point-of-care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연내 선천성면역 STING을 활성화시키는 기전의 ENPP1 저해제 후보물질을 도출해, 전임상 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또다른 한축으로 레고켐바이오는 항체에 STING 작용제(agonist)를 결합한 ADC 형태의 면역활성화 약물도 연구하고 있다. 글로벌에서도 면역항암제로 ENPP1 저해제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앞서가는 회사로 리보사이언스(Riboscience)가 ‘RBS2418’와 키트루다 병용투여로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임상 개발 단계 회사로 아바뮨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지난 2013년 휴젤(Hugel)과 총 10억원 규모로 체결한 비대흉터 치료제 후보물질 CTGF asiRNA ‘OLX101A(BMT101)’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해지하고 모든 권리를 반환받기로 합의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계약해지는 기술적 문제가 아닌 휴젤의 내부 사업방침 변경에 따른 것이다. 휴젤은 OLX101A의 국내 임상진행 및 아시아지역 독점판권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지난 2018년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OLX101A(BMT101)의
'바이오코리아 2023(BIO KOREA 2023)' 행사가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개막돼 12일까지 열린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충청북도가 공동 주최하는 바이오코리아는 2006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18째를 맞는다. 이번 행사는 "초연결시대, 신성장 혁신기술로의 도약”을 주제로 컨퍼런스, 비즈니스 파트너링, 전시, 인베스트페어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컨퍼런스의 주요 카테고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차세대 임상시험 △유전자 치료제 △항체-약물접합체(ADC) △백신 △재생의료 △위탁개발생산(CDMO) △인
바이젠셀(Vigencell)은 10일 희귀 난치성 혈액암인 NK/T세포림프종을 적응증으로 하는 ‘VT-EBV-N’의 임상2상 환자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바이젠셀은 전국 14개 의료기관에서 NK/T세포림프종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VT-EBV-N을 투약하고 2년간의 경과관찰을 거쳐 유효성과 안정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VT-EBV-N은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양성 NK/T세포림프종을 적응증으로 하는 면역항암제로, 환자로부터 채취한 T세포를 항원특이적 살해T세포(cytotoxicity T lymphocyte, CTL)로 분화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은 지난 6일부터 4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진행되는 ‘2023년 소화기학회(Digestive Disease Week 2023, DDW 2023)’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Fexuprazan)’ 부스를 마련하고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환자 대상 펙수클루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한 2건의 임상데이터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7일(현지시간)에 진행된 포스터 발표 2건은 ▲국내에서 진행된 식전, 식후
셀트리온(Celltrion)은 6~9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소화기학회(Digestive Disease Week, DDW 2023)에 참가해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CT-P13 SC)’의 글로벌 임상3상 결과 2건을 각각 구두 및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셀트리온이 이번 학회서 구두발표 세션과 포스터 세션을 통해 각각 발표한 연구는 크론병 환자 343명, 궤양성대장염 환자 4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임상3상 결과다. 셀트리온은 임상에 참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파노로스, PD-L1xVEGFR1 융합단백질 "AACR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