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이피트바이오(Apitbio)는 15일 리드 파이프라인인 CD171 항체 ‘APB-A001의 국내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에이피트바이오는 이번 임상1상에서 표준 치료요법이 없거나 마지막 치료요법에 재발, 불응, 진행성을 보인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APB-A001의 내약성, 안전성, 약동학적 평가, 예비적 항종양 효과 등을 평가한다. 이번 임상은 신촌 세브란스병원 송시영, 조중현 교수 연구팀에서 진행한다. APB-A001은 췌장암, 담도암, 난소암 등 난치성 고형암에서 주로 발현되는 단백질인 CD171
이뮨앱스(ImmunAbs)는 15일 임상개발 컨설팅 기업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AIMS BioScience)와 C5 보체 기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IM-101’의 임상개발 가속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IM-101은 면역작용을 하는 보체계의 C5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로 중증근무력증,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 등의 자가면역질환과 황반변성(AMD) 등 안과질환 치료제로 현재 미국 임상1상을 진행 중이다. 이뮨앱스는 올해 6월 BIO USA에 참가해 글로벌 제약사를 대상으로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파트너링을
국내 CAR-T 전문기업 큐로셀(Curocell)이 내달 14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T세포 림프종 치료제 후보물질인 신규 ‘CD5 CAR-T’의 연구결과를 공개한다고 15일 밝혔다. CAR-T 치료제는 재발성 또는 불응성 B세포 종양(B-ALL, B-NHL, MM)에서 유례없는 약물효능을 보이며 시판허가를 받았지만, 아직 T세포 림프종이나 백혈병(T-NHL, T-ALL), 급성골수성백혈병(AML) 등 다른 혈액암에서는 아직 효능을 입증하지 못했다. 특히 T세포 악성종양을 타깃하는 경우 T세
JW신약(JW Shinyak)은 15일 갈더마코리아(Galderma Korea)와 탈모치료제 ‘엘-크라넬알파액(Ell-Cranell)’, 손발톱무좀 치료제 ‘로세릴네일라카(Loceryl Nail Lacquer)’에 대한 국내 독점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JW신약은 앞으로 갈더마코리아의 엘-크라넬알파액과 로세릴네일라카의 국내 영업, 마케팅을 전담한다. 엘-크라넬알파액은 남녀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안드로겐성 탈모치료제다. 탈모의 원인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의 생성을 3중으로 억제
에임드바이오(AimedBio)는 15일(현지시간) 중국 파트너사인 진퀀텀 헬스케어(GeneQuantum Healthcare)가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월드ADC 2023(World ADC 2023)에서 FGFR3 ADC 후보물질 ‘AMB302/GQ1011’의 전임상 결과를 구두발표한다고 밝혔다. 발표는 폴 송(Paul Song) 진퀀텀 CSO가 진행한다. 에임드바이오와 진퀀텀이 공동개발하고 있는 ‘AMB302/GQ1011’은 현재 영장류 독성 및 약동학적 특성 연구를 진행중이다. AMB302/GQ1011은 FGFR3 변이 또는 과발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 DTx) 기업 에스알파테라퓨틱스(S alpha Therapeutics)는 시리즈B로 11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15일 밝혔다. 에스알파는 현재의 의료기술로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분야에서 치료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지난 2019년 설립된 회사이다. 이번 시리즈B는 기존 투자자로 한국투자파트너스, 토니인베스트먼트, CJ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으며, 신규투자자로 LB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캐피탈, 키움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다. 이번 시리즈B 리드 투자기관은 LB인베스트먼트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기업 고바이오랩(KoBioLabs)은 14일 인체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유래 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인 ‘KBL693’의 미국 특허가 등록 결정됐다고 밝혔다. KBL693(Lactobacillus crispatus)은 한국인 여성에게서 확보한 단일균주 기반 신약 후보물질로, 고바이오랩은 천식 등 알레르기질환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KBL693은 비임상 동물모델 시험을 통해 알레르기 및 염증성, 면역성 질환 개선 효능이 확인됐다. 또한 고바이오랩은 글로벌 임상1상과 인체적용시험 등을 통해 KB
오토텔릭바이오(Autotelic Bio)는 14일 영진약품과 고혈압, 당뇨를 동시에 치료하는 복합제 개량신약 후보물질 ‘ATB-101’의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아웃(L/O)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ATB-101은 고혈압 치료제인 ‘올메사르탄’과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인 ‘다파글리플로진’을 주성분으로 하는 개량신약으로 고혈압과 당뇨를 동시에 앓고 있는 만성질환 환자들의 복약 편의성을 높인 복합제다. 계약에 따라 영진약품은 오토텔릭에 계약금에 더해 개발 단계에 따른 마일스톤과 상업화 이후 판매에 따른 로열티를 지급한다. 계약금 등
유틸렉스(Eutilex)는 13일 VSIG4 항체 ‘EU103’의 고형암 임상1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서(IND)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유틸렉스는 해당 국내 임상1상에서 표준요법에 실패한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 최대 30명을 대상으로 EU103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한다. 용량별로 3~6명의 환자를 등록해 용량제한독성(DLT), 최대내약용량(MTD), 임상2상 권장용량(RP2D)를 확인할 계획이다. 유틸렉스에 따르면 EU103은 종양 관련 대식세포(Tumor-associated ma
셀트리온(Celltrion)은 14일 국내 지뉴브(Genuv)와 항체 발굴 및 신약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에 따라 양사는 선행되는 지뉴브의 항체 발굴 용역을 완료하고, 지뉴브의 항체 발굴 플랫폼 ‘샤인마우스(Shine Mouse®)’를 활용해 최대 2종의 항체 발굴 및 연구개발을 진행한다. 공시에 따르면 셀트리온과 지뉴브는 연구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각각 50%씩 부담하며, 셀트리온은 각 연구시작 단계 전 부담하는 연구비용의 50%를 지뉴브에 선지급한다. 공동연구 결과에 따라 셀트리온이 라이선스
큐롬바이오사이언스(Curome BioSciences)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멜라스(MELAS) 증후군에 대한 치료 후보물질 ‘HK-660S(Beta-lapachone)’의 국내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4일 밝혔다. 멜라스 증후군(Mitochondrial encephalomyopathy, lactic acidosis, stroke-like episodes, MELAS)은 대표적인 미토콘드리아 이상질환으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mtDNA) 돌연변이에 의한 미토콘드리아내 ATP 생성 결핍으로 발생하는 희귀질환이
LG화학(LG Chem)이 전세계 아동 공중보건 문제 해결을 위한 소아마비백신 등 영유아 필수백신을 대량 공급한다. LG화학은 14일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Eupolio)’, 5가(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간염, 뇌수막염) 혼합백신 ‘유펜타(Eupenta)’로 유니세프(UNICEF) 입찰에 참여해 총 2억달러 규모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바탕으로 LG화학은 전세계 약 8000만명 영유아의 감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 물량을 공급하게 된다.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를 2년간(2024~2025) 1억달러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는 현대약품(Hyundai Pharm)과 전략적투자(SI)와 신약 공동연구 개발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구체적인 전략적투자(SI)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티씨노바이오는 현대약품과 신약 공동연구 개발을 통해 KRAS 변이암 치료제 전임상 후보물질을 도출할 예정이다. RAS GTPases는 KRAS, HRAS, NRAS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3개의 유전자로 원래는 세포의 정상적인 성장신호 조절에 기능한다. 다만 유전자 변이가 생기면서 암세포의 성장·전이를 유발하는
GC녹십자(GC Biopharma)는 최근 대만 메디젠 백신 바이오로직스(Medigen Vaccine Biologics Corp., MVC)에 라이선스아웃(L/O)한 4가 독감백신이 대만 식품의약품청(Taiw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FD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획득했다고 13일 밝혔다. GC녹십자는 지난 2018년 MVC에 4가 독감백신 ‘지씨플루 쿼드리밸런트(GCFlu Quadrivalent)’에 대한 대만내 독점적인(exclusive) 유통(distribution), 상업화 권리를 L/O한 바
희귀질환 진단 전문기업 쓰리빌리언(3billion)은 오는 3월 14~18일 미국 유타주에서 열리는 미국 임상유전학회(American College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ACMG 2023)에서 전장엑솜분석(whole exome sequencing)과 관련된 포스터 3건을 발표한다고 13일 밝혔다. ACMG는 매년 연례회의를 통해 글로벌 진단 기준을 수립하고 가이드라인을 공유하는 최대 규모의 임상 유전학회로 알려져 있다. 회사에 따르면 쓰리빌리언은 지난해에 이어 ACMG에 참여하는 국내 유일
툴젠(Toolgen)은 13일 효능을 유지하면서 오프타깃(off-target) 부작용을 낮춘 CRISPR/Cas9 유전자편집 기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Nature Chemical Biology’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김형범 연세대 교수, 하택집 존스홉킨스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진행했다. 이번 논문에서 툴젠은 Sniper2L 기술을 이용해 효능은 유지하면서 오프타깃을 낮춰 특이도를 높인 결과를 공개했다. Sniper2L은 툴젠이 지난 2018년 판매를 개시했던 Sniper-Cas9을 자체 구축한 스크리닝 플랫폼 Sn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마카리 신임 FDA 국장, 자문위에 "제약업계 참여제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
대웅제약, 씨어스·ACK와 '스마트 병상모니터링' MOU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