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17일 이사회를 열고 제5공장 증설을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객사 CMO 예상 수요 및 바이오의약품산업 성장세 등 시장 상황을 반영하여 제 5공장 증설을 결정했다. 회사에 따르면 제 5공장은 인천 송도 11공구 제 2바이오캠퍼스 부지에 건설된다. 총 투자비는 1조9800억원, 생산능력(capacity)은 18만 리터이며 연면적은 9만6000㎡이다. 5공장에는 1~4공장 운영경험을 통해 확보한 노하우와 최신기술이 집약된다. 삼성 특화 디자인을 적용해 생산 효율성을
한국거래소는 16일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예정 공모주식수는 200만주로, 상장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빅데이터 및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Chemiverse)를 이용한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등의 약물을 개발 중이다. 파로스는 현재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치료제 후보물질 ‘PHI-101 AML’의 국내와 호주에서 임상1상(NCT04842370)을 진행 중이다.
순환종양세포(circulating tumor cell, CTC) 기반 액체생검 전문기업 싸이토젠(CytoGen)은 16일 EML4-ALK 유전자 변이 분석방법에 대한 일본 특허가 등록 결정됐다고 밝혔다. 해당 특허는 싸이토젠의 고밀도다공성칩(High-Density Micro Porous, HDM)을 활용해 폐암 환자의 혈중 CTC를 회수한 후, CTC에서 분리한 RNA를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qRT-PCR) 및 2차 PCR(nested PCR)을 거쳐 EML-ALK 유전자 변이를 검출하는 과정을 내용으로 한다. 특허목적은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바이오의약품 개발 생산역량을 토대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대규모 위탁생산(CMO) 및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한미약품은 오는 20일부터 22일(현지시간)까지 스위스 바젤에서 열리는 ‘2023 바이오 유럽 스프링 컨퍼런스(BIO-Europe Spring 2023)’에 참가해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비즈니스 미팅을 가질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바이오 유럽 스프링은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투자자가 네트워크를 쌓고 파트너십을 추진하는 행사이며 올해 전세계 기업에서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ROR1 타깃을 4-1BB 이중항체 플랫폼으로도 확장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내달 14일부터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ROR1x4-1BB 이중항체 ‘ABL102’의 전임상 데이터를 첫 공개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와 레고켐바이오가 공동개발해 3년전 중국 시스톤 파마슈티컬(CStone Pharmaceuticals)에 라이선스아웃한 ROR1 ADC ‘ABL202(CS5001)’는 현재 임상1상 단계에 있으며, 시스톤은 올해 4분기 CS5001의 임상1상 용량증량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16일 이상지질혈증을 앓고 있는 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리바로(Livalo, pitavastatin)’의 연구자주도 임상에서 지질개선 효과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자주도 임상결과는 지난 1월 국제학술지 ‘혈액 정화(Blood Purification, IF: 3.348)’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하마다 치에코(Chieko Hamada) 준텐도대 의대(Juntendo University) 교수 연구팀이 진행했다. 연구팀은 일본에서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을 앓고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기업 티움바이오(TiumBio)가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1b상을 진행하고 있는 경구용 TGF-β/VEGFR2 이중저해제 ‘TU2218’의 신규 면역항암제 CTLA-4와 병용투여 가능성을 첫 공개한다. 티움바이오는 내달 14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각각 TU2218과 CTLA-4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투여 가능성, PD-1 항체와 병용투여 효능에 대한 기전연구에 대한 결과 2건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티움바이오는 현재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넥스아이(Nex-I)는 16일 아론티어(Arontier)와 AI기반 항체 신약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윤경완 넥스아이 대표, 손진법 넥스아이 최고운영책임자를 비롯한 넥스아이의 주요 관계자들과 고준수 아론티어 대표, 손인석 아론티어 최고전략책임자 등이 참석했다. 이번 MOU는 아론티어가 개발한 AI 기반 혁신신약 개발 플랫폼인 AD3를 이용해 넥스아이의 항체 신약 개발방식을 개선해 더 효율적이고 정밀한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것이 목표다. 고준수 아론티어 대표는 “아론티어는 표적단백질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16일 미국에서 열린 제8회 OPT회의(OPT Congress)에서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asiRNA 후보물질 ‘OLX702A’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동기 올릭스 대표가 초청연사로 참석해 NASH 치료제 후보물질 ‘OLX702A’ 등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올릭스는 OLX702A를 투여한 영장류(NHP) 모델 연구에서 간 내 지방함량이 NASH 수준에서 정상수준으로 낮아졌으며, 투여 후 3개월시점까지 감소된 지방함량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올릭
압타머 플랫폼 기업 압타머사이언스(Aptamer Sciences)는 4월14일부터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CD25-ApDC’ 면역항암제(IO)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압타머사이언스는 이번 AACR에서 ‘인간 CD25를 표적으로 하는 압타머-약물 전달체의 조절T세포 제거 및 억제(Human CD25-targeted aptamer-drug conjugate (CD25-ApDC) depletes and blocks regulatory T cells)’를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의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신약 후보물질 ‘CJRB-101’의 전임상 결과가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박테리아 단일균주인 CJRB-101은 CJ바이오사이언스의 리드 에셋이며, 지난 1월 비소세포폐암(NSCLC) 등의 고형암을 대상으로 미국 머크(MSD)의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 CJ바이오사이언스가 이번 AACR에서
암진단 전문기업 젠큐릭스(Gencurix)는 오는 4월14일부터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대장암 조기진단 검사 ‘콜로이디엑스(COLO eDX)’의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젠큐릭스가 발표할 내용은 ‘콜로이디엑스를 활용한 대장암 수술상태 및 미세잔존암(Minimal Residual Disease, MRD) 여부와 재발 상관성에 대한 결과’이다. 이번 발표의 논문 초록은 오는 31일 공개될 예정이다. 콜로이디엑스는 젠큐릭스가 자체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법으로, 혈액내 대장암 특이적 메틸
레고켐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영국 런던에서 13일부터 오는 16일(현지시간) 열리고 있는 월드ADC(World ADC 2023)에서 TROP2 ADC ‘LCB84’의 비임상 결과를 업데이트했다고 15일 밝혔다. 레고켐바이오는 오는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삼중음성유방암(TNBC), 비소세포폐암, 대장암 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LCB84의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예정이다. LCB84는 암세포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잘린 TROP2(ADAM1-cleaved TROP2 isoform)을
브릿지바이오 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내달 14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자체 발굴한 폐암 4세대 EGFR TKI 후보물질 ‘BBT-207’의 업데이트된 전임상 연구 결과에 대한 포스터발표를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브릿지바이오는 4세대 EGFR TKI 후보물질로 EGFR C797S 변이를 포함하는 삼중저해제 ‘BBT-176’의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추가 후속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번에 발표하는 BBT-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내달 14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개최되는 미국암학회(AACR 2023)에서 다양한 암종에서 AI 바이오마커 및 AI 병리분석 솔루션에 대한 연구결과 5건을 발표한다고 15일 밝혔다. 특히 이번 학회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해 비소세포폐암에서 KRAS G12C 변이를 예측하는 딥러닝모델을 첫 공개한다.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2개의 KRAS G12C 변이 저해제로 암젠의 ‘루마크라스(Lumak
큐리언트(Qurient)가 미국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AXL/MER/CSF1R 삼중저해제 ‘Q702’의 용량증량 중간 임상결과를 첫 공개한다. 큐리언트는 내달 14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Q702를 투여받은 고형암 환자에게서 약력학적(PD) 바이오마커 분석결과 약물의 면역조절 활성을 보여주는 공개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Q702가 타깃하는 AXL, MER, CSF1R은 골수종 세포(myeloid; TAM, MDSC)를 통해 종양미세환경(TME)에서 면역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마카리 신임 FDA 국장, 자문위에 "제약업계 참여제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
대웅제약, 씨어스·ACK와 '스마트 병상모니터링' MOU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