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는 3일 연결 기준으로 지난해 매출액 1조9722억원, 영업이익 2289억원, 당기순이익 1472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대비 9.3%, 14.8% 증가했으며, 당기순이익은 3.5% 감소했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수익성 높은 ‘램시마SC’의 유럽 판매가 늘어난 가운데 ‘유플라이마’ 유럽 매출 본격화 및 성장시장 내 제품판매 확대 등의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회사에 따르면 램시마SC는 2022년 매출이 전년 대비 160% 이상 늘어
에스티팜(ST Pharm)은 경기도 안산시 소재 반월캠퍼스에서 동아쏘시오그룹 계열사 대표이사를 비롯한 그룹 임직원 100여명이 참석해 이노베이션센터(Innovation Center) 준공식을 가졌다고 3일 밝혔다. cGMP 시설 전문 건설사 아벤종합건설이 지난 2022년 1월 착공해 올해 2월 3일 완공한 이노베이션센터는 연면적 5166㎡, 지상 12층 건물이다. 저탄소제품 인증의 친환경 유리와 E0등급의 친환경자재를 사용하는 등 경기도 녹색건축 설계 기준을 적용했으며, 총 180억원이 소요됐다. 이노베이션센터 준공을 통해 시화와
셀트리온그룹은 3일 각 사별 이사회를 개최해 서정진 명예회장을 2년 임기로 셀트리온홀딩스를 포함해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의 사내이사겸 이사회 공동의장 후보자로 추천하는 선임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서 명예회장의 각 사 사내이사겸 이사회 공동의장 선임은 오는 3월28일 열리는 각 사 주주총회 및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최종확정된다. 이번에 의결된 서 명예회장 선임 추천안은 최근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가운데, 위기극복과 미래전략 재정비를 추진중인 현 경영진이 그룹 창업주인 서 명예회장의 한시적 경영복귀
HLB테라퓨틱스(HLB Therapeutics)는 3일 미국 자회사 오블라토(Oblato)가 고셔병(Gaucher Disease)에 대한 유전자치료제를 라이선스인(L/I)하며 파이프라인을 확장했다고 밝혔다. 오블라토가 라이선스인(L/I)한 유전자치료제는 정상적인 GBA 유전자를 벡터에 탑재한 1회투여 방식의 약물이다. 계약 상대방, 계약금, 벡터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고셔병은 글루코세레브로시데이즈(glucocerebrosidase, GBA)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병하는 희귀 리소좀 축적질환이다. GBA 돌연변이로 인해 글루코실세라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URAT1 저해제 '에파미뉴라드(epaminurad, URC102)'의 다국가 통풍 임상3상 임상시험계획(IND)이 대만식품의약품청(TFDA)으로부터 승인을 거절받았다고 지난 2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지난해 12월16일 통풍 및 통풍과 관련된 고요산혈증을 적응증으로 에파미뉴라드의 이번 임상3상 IND를 TFDA에 제출했으며, 지난 2일 IND 불승인을 통보받았다. 불승인 사유에 대해선 '임상 디자인에 있는 대조약에 대한 기준 부적합' 때문이라고 설명했으며, 이외
파멥신(PharmAbcine)의 TIE2 작용제 항체(agonistic antibody) ‘PMC-403’이 교모세포종(GBM) 인비보(in vivo) 모델에서 종양으로 인해 비정상화된 혈관을 복구시킨 내용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GBM(glioblastoma) 마우스 모델에 PMC-403을 투여했을 때 종양 부위의 혈관확장(vasodilation)을 완화시키고, 줄어든 혈관분지(vessel branching) 등이 복구됐다는 내용이다. 파멥신은 이같은 연구결과를 지난달 24일 국제학술지 ‘EMM(Experimental & Mole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화이자(Pfizer)와 2410억원 규모의 의약품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일 공시했다. 이는 2021년 매출액의 15.37%에 해당한다. 해당 계약일자는 지난달 28일이며, 오는 2029년 12월31일 종료된다. 구체적인 의약품 품목은 공개하지 않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계약기간 종료일은 생산일정 등 계약조건 변경에 따라 변동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셀트리온(Celltrion)은 2일 송도에 위치한 신규 글로벌생명공학연구센터가 시운전을 완료하고, 오는 4월부터 입주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해당 연구센터는 부지 대지면적 1만33㎡(3000평)에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로 300명 이상의 바이오의약품과 합성의약품 연구인력이 근무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센터 내에는 비임상 원료의약품(Drug Substance, DS) 생산이 가능한 파일럿 랩(Pilot lab)을 비롯해 비임상 완제의약품(Drug Product, DP) 생산을 위한 충전설비 등 최신 연구설
차바이오텍(CHA Biotech)은 2일 일본 글로벌 제약회사 아스텔라스(Astellas Pharma)의 자회사인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터(Astellas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AIRM)와 3200만달러(약 43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차바이오텍은 반환조건 없는 계약금(Upfront Payment)으로 1500만달러(약 200억원)를 받는다. 또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은 총 1700만달러(약 230억원)다. 차바이오텍은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
정밀항암신약 개발기업 에이비온(Abion)은 2일 미국암연구학회(American Association of Cancer Research, AACR 2023)에서 ‘ABN401’ 등 5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는 4월 미국 올랜도(Orlando)에서 개최되는 AACR 2023에서 에이비온은 c-MET 저해제 ABN401 관련 연구결과 2건, 클라우딘3(CLDN3) 항체 ‘ABN501’ 연구결과 1건과 추가적인 연구결과 2건의 발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에이비온은 c-MET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치료제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은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는 GI-101(CD80-IgG4 Fc-IL2v)의 피하투여(SC) 제형 ‘GI-102’에 대한 임상1/2a상 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2일 밝혔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이어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GI-102의 임상1/2a상의 IND를 승인받았다. 지아이이노베이션은 GI-102 미국과 국내 임상을 준비하고 있다. GI-102는 리드 프로젝트인 GI-101과 동일한 약물이며, IgG4 Fc에 CD80 세포밖도메인(E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 지니너스(Geninus)가 싱글셀(single cell) 분석기술을 바탕으로 폐암 환자의 면역관문억제제 약물반응과 혈액내 면역세포 사이 상관관계를 밝힌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지니너스는 폐암 환자에게 PD-1, PD-L1 약물투여 초기부터 혈액내 특정 면역세포의 비중을 확인하면, 면역관문억제제에 대한 장기 효능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니너스는 미국 면역항암학회 공식학술지인 JITC(Journal for ImmunoTherapy of Cancer, IF 12.469)에 싱글셀 분석을 활용한 연구결과
인벤티지랩(Inventage Lab)은 2일 애니젠(Anygen)과 펩타이드 의약품 공동개발 및 전략적 사업화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MOU를 통해 애니젠이 보유하고 있는 펩타이드 기반 신약 후보물질을 인벤티지랩의 약물전달기술 플랫폼에 탑재하는 방식으로 의약품 개발 공동연구를 진행한다. 양사는 펩타이드 약물의 안정적인 방출을 통해 약물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공동개발한 파이프라인에 대한 글로벌 사업화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인벤티지랩은 미세유체역학(microfluidics)
네오이뮨텍(NeoImmuneTech)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D19 CAR-T 치료제 ‘킴리아(Kymriah)’와 반감기를 늘린 IL-7 약물인 ‘NT-I7(물질명: efineptakin alfa)’의 병용투여 임상1b상(NIT-112)을 다른 CD19 CAR-T 치료제까지 확대하는 프로토콜을 변경승인받았다고 2일 밝혔다. 이로써 임상에 NT-I7 병용투여 약물로 시판된 다른 CD19 CAR-T 치료제인 ‘예스카타(Yescarta)’와 ‘브레얀지(Breyanzi)’가 추가된다. 네오이뮨텍은 여러 CAR-T 치료제가 상
사노피(Sanofi)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주1회 투여방식의 ‘알투비오(Altuviiio, efanesoctocog alfa)’가 A형 혈우병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알투비오는 8번 혈액응고인자(factor VIII, FVIII) 대체요법(replacement therapy)으로 정맥투여(IV) 방식의 재조합 FVIII 단백질이다. 알투비오는 사노피의 주 2~3회 투여방식의 재조합 FVIII 단백질 ‘엘록테이트(Eloctate)’의 반감기를 늘린 장기 지속형(high-sustained)
순환종양세포(circulating tumor cell, CTC) 기반 액체생검 전문기업 싸이토젠(CytoGen)은 연세대산학협력단과 전이성 유방암 전이규명을 위한 단일세포 RNA 분석(single cell RNA, scRNA) 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싸이토젠은 총 8명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게 되며, 계약규모는 총 3억원이다. 절반에 해당하는 4명 분석이 완료됐을 때 계약금액의 50%, 모든 환자에 대한 분석이 완료됐을 때 추가로 잔여 50%를 지급받는다. 싸이토젠은 이번 계약은 연세대 AST사업단에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마카리 신임 FDA 국장, 자문위에 "제약업계 참여제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
대웅제약, 씨어스·ACK와 '스마트 병상모니터링' MOU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