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툴젠(ToolGen)은 20일 에이앤엘바이오(ANL BIO)와 조로증(progeria)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툴젠은 이번 공동연구에서 다양한 유전자 가위 플랫폼을 테스트해 최적의 치료제를 찾는다. 에이앤엘바이오는 이를 전달할 AAV(adeno associated virus) 벡터를 개발해 치료제를 제작하고 동물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문홍성 에이앤엘바이오 대표는 “에이앤엘바이오는 창업 초기부터 AAV를 전달체로 하는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주력해 왔다”며 “이번 툴젠과의 공
항체치료제 개발기업 파멥신(PharmAbcine)은 2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TIE2 활성항체 'PMC-403'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회사는 내년 1분기 국내 임상1상 시작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PMC-403으로 진행 예정인 임상1상은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nAMD)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고 최대 내약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을 확인해 임상2상 권장용량(recommended phase 2 dose, RP2D)을 결정하
JW중외제약은 19일 URAT1(uric acid transporter-1) 저해제 ‘에파미뉴라드(Epaminurad, URC102)’의 신장애 환자 대상 임상1상에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경구제로 개발하고 있는 에파미뉴라드는 URAT1을 억제하는 기전의 요산 배설 촉진제로, 혈액 내에 요산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고요산혈증으로 인한 통풍질환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발표에 따르면 JW중외제약은 에파미뉴라드의 적응증과 투약방법 확대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2월까지 신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1상을 진행했다. 임상1상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브라질 상파울루에 위치한 알버트아인슈타인 이스라엘리타 병원(Albert Einstein Israelita Hospital)과 흉부 엑스레이 AI 영상분석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CXR(Lunit INSIGHT CXR)'에 대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계약(Software License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 아인슈타인 병원은 6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종합병원 3곳과 10개의 위성병원, 24개의 외래 진료센터를 운영하는 남미 최대규모 병원으로, 1955년 설립 이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면역항암제로 개발하는 경구용 HPK1 저해제 ‘FB849’의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16일 밝혔다. HPK1(hematopoietic progenitor kinase 1)은 면역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음성조절자(negative regulator)이며, 이를 억제하는 것은 T세포와 B세포, 항원제시세포(APC) 등을 포함한 적응성 면역반응 전반을 활성화시킨다. FB849은 HPK1에 매우 선택적인 약물이라는 것이 회사측
TPD(targeted protein degradation) 약물을 개발하는 프레이저테라퓨틱스(Prazer Therapeutics)는 PROTAC 등 기존 TPD로 타깃이 어려운 단백질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모달리티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다. 프레이저는 타깃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하기 위해 ‘세포내에서 해당 타깃 단백질의 분해를 자연적으로(intrinsic) 담당하고 있는 E3 효소를 이용할 수는 없겠는가(is it possible to boost degradation of target proteins by their i
넥스아이(Nex-I)는 15일 면역항암제 불응성 암에 대한 ‘HDAC1(Histone Deacetylase 1) 저해제’의 동물모델 연구결과를 ESMO IO(ESMO Immuno-oncology Congress 2022)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포스터에 따르면 넥스아이는 면역항암제 불응성 동물모델에 'HDAC1 저해제+PD-1항체'를 병용투여했다. 그 결과 종양미세환경(TME)에서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세포, CD8 T 세포)의 침윤을 증가시키고 기존에 불응하던 PD-1 항체의 항암효과를 높였다. 구체적으로 넥스아
알테오젠(Alteogen)은 재조합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완제품 ‘테르가제(Tergase®, ALT-BB4)’의 임상시험 결과보고서(Clinical Study Report, CSR)를 14일 수령했다고 공시했다. 알테오젠은 이번 결과에 기반해 내년 1분기 식약처에 품목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이번에 발표한 탑라인 결과는 건강한 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테르가제 단회 피내투여의 내약성, 약동학 특성, 알러지 반응 등을 평가하기 위한 품목허가용(pivotal study) 국내 임상1상이다(NCT05232175). 임상은 올해 1월부터 8
LG화학(LG Chem)이 중국 이노벤트 바이오로직스(Innovent Biologics)에 임상3상 단계 통풍신약의 중국 권리를 총 9550만달러 규모에 라이선스아웃(L/O)했다. 이로써 LG화학은 중국 파트너사 확보로 중국시장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미국, 유럽지역 등 임상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LG화학은 15일 이노벤트에 통풍신약 후보물질 잔틴옥시다제(xanthine oxidase, XO) 저해제 ‘티굴릭소스타트(tigulixostat)’의 중국지역 개발 및 상업화 독점권리를 기술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따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가 시리즈B로 100억원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로써 티씨노바이오는 지난해 시리즈A 투자금 70억원을 포함해 지금까지 총 194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기존 투자자인 한국투자파트너스, 컴퍼니케이가 참여했으며, 신규 투자자로는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데일리파트너스, 메디톡스벤처투자 등이 참여했다. 티씨노바이오는 “신규로 논의 중인 투자자들이 있어 내년 초에도 자금 유치를 이어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티씨노바이오는 이번 투자금으로 개발 중인 선천면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뇌전증 ‘발작 완전소실’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제로(Project ZeroTM)’를 본격 가동하며 디지털치료제(DTx) 시장으로의 확장을 공식적으로 알렸다. 지난 2019년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XCOPRI®)’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은지 3년여만의 새로운 움직임이다. SK바이오팜은 향후 ADHD, 우울증, 조현병,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계 전반 및 항암 등 분야에 대한 디지털치료제 개발도 진행할 계획이
SK케미칼은 14일 캐나다 인공지능(AI) 신약개발기업 사이클리카(Cyclica)와 AI 신약개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K 케미칼에 따르면 이번 협업으로 사이클리카는 자체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SK케미칼은 사이클리카가 발굴한 후보물질의 전임상, 임상개발, 전세계 상업화를 담당하게 된다. 사이클리카는 중추신경계(CNS) 질환, 종양학, 자가면역질환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AI기반 신약 개발 기업이다. 약리학적, 물리화학적, 체내동태적 특성을 고려해 약물 타깃과 결합하는 후보물질을 선별할 수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은 14일 콜롬비아와 베트남에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의 신약허가신청서(NDA)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대웅제약은 펙수클루 국내 승인 1년만에 글로벌 10개국에 NDA 신청을 완료했다. 대웅제약이 지금까지 펙수클루의 NDA를 제출한 국가는 브라질,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페루, 콜롬비아, 베트남 등 10곳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인 아이큐비아(IQVIA Global MIDAS)에 따르면 이들 10개국의 항궤양제 의약품 시장은 약 2조원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유래 면역세포치료제 개발기업 테라베스트(Therabest)는 14일 iPSC유래 동종 NK세포치료제 후보물질 ‘TB-100’과 독일 글라이코토프(Glycotope)의 종양표적 면역사이토카인 ‘GT-00AxIL15’의 병용 임상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두 회사는 삼중음성유방암 등 고형암을 대상으로 TB-100과 GT-00AxIL15의 병용요법에 대한 효능, 독성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글라이코토프는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탄수화물 구조 또는 단백질-탄수화물 결합
셀트리온(Celltrion)은 13일 미국 혈액학회(ASH 2022)에서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CT-P10)’의 국내 시판후 임상시험(Post-marketing Surveillance, PMS)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한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ASH 2022는 이달 10~13일 미국 루이지애나주에서 열렸으며, 셀트리온은 12일(현지시간) 포스터 발표를 통해 트룩시마의 임상 결과를 공개했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지난 2016년 11월부터 2020년 11월까지 4년의 조사시간 동안 국내에서 트룩시마를 투약한
파노로스 바이오사이언스(Panolos Bioscience)는 13일 중국 켈룬제약 자회사 켈룬바이오텍(Kelun-Biotech)과 이중표적 면역항암제 ‘PKB01’의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파노로스는 자사의 다중특이적 약물생성 플랫폼 ‘αART(Anti-angiogenesis-based Artifact Re-targeting Tri-specifics platform)' 기술을 켈룬바이오텍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약물 활성부위에 적용한 ‘PKB01’을 개발한다. 켈룬바이오텍은 자체개발한 면역관문억제제를 파노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마카리 신임 FDA 국장, 자문위에 "제약업계 참여제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
대웅제약, 씨어스·ACK와 '스마트 병상모니터링'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