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웅제약은 11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자가면역질환 신약 후보물질 ‘DWP213388’의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임상 1상은 올해 4분기 시작할 예정으로 건강한 성인 80명을 대상으로 단회투여, 반복투여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웅제약은 DWP213388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 특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대웅제약이 개발중인 경구용 약물인 DWP213388은 혁신신약(First-in-class)으로 일반적으로 B세포 또는 T세포 하나만을 저해하는 기존 치료제는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ILIAS Biologics)는 11일 염증성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에 대한 엑소좀치료제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2022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로 일리아스는 향후 3년간 해당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총 12억원을 지원받게 된다. 일리아스는 CARD9과 TRIM62의 상호작용 억제효능을 보유한 엑소좀 IBD 치료제 개발을 진행한다. CARD9과 TRIM62의 상호작용은 IBD 발병기전으로 알려진 장내 면역성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이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2분기 매출 534억원, 영업손실 401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2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123% 증가했다.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Cenobamate, 미국 제품명: 엑스코프리)’의 매출 상승 및 이스라엘 등 글로벌 기술수출이 성장을 견인했다. 세노바메이트 아시아 임상3상,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치료제 ‘카리스바메이트(Carisbamate)’, 항암제 등 성장동력 확대를 위한 연구개발비와 미국 마케팅·영업 강화에 따른 판매관리 유지비
셀랩메드는 11일 CAR-T 세포치료제 ‘YYB-103(CLM-103)’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2022년 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임상개발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셀랩메드는 2024년까지 신규 암항원 IL13Rα2를 타깃하는 CAR-T ‘YYB-103’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임상1상 연구개발비를 지원받는다. 상세 지원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YYB-103은 교모세포종 특이 항원만 인식하도록 최적화된 리간드를 이용해 종양 선택성과 항암 효과를 높였으며, 고형암을 적응증으로는 국내 첫 임상진입한 CAR-
툴젠은 10일 염수청 서울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초소형 CRISPR AAV'를 이용한 B형 혈우병 연구내용을 국제 학술지인 ‘Molecular Therapy Nucleic Acids(IF: 10.183)’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연구팀은 간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APOC3(apolipoprotein C3) 유전자 발현부위(locus)에 B형 혈우병 치료유전자인 혈액응고인자 9(Factor IX, FIX)을 삽입했다. 그 결과 FIX 발현이 증가하고 및 혈중 FIX 단백질이 지속적으로 생산
티앤알바이오팹은 최근 존슨앤존슨(J&J) 이노베이션(Innovation)과 ‘조직 재건을 위한 3D 바이오프린팅 스캐폴드(생분해성 지지체) 기술 개발’에 대한 전략적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이번 계약의 목적은 티앤알바이오팹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생체재료 및 바이오 합성 폴리머재료를 기반으로 체내 이식이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으로, 티앤알바이오팹의 3D 바이오프린팅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이 추진된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이 플랫폼 기술은,
RNA 치료제 플랫폼 바이오텍 올리패스(Olipass)는 호주 윤리위원회(HREC)로부터 비마약성 진통제 후보물질 ‘OLP-1002’에 대한 호주 임상2a상 2단계 ‘위약대조 이중맹검’ 평가 임상시험계획서(IND)가 승인됐다고 9일 공시했다. 임상2a상 1단계 오픈 라벨(open-label) 평가에서 말초신경 제어에 특화된 임상 용량인 1마이크로그램(μg) OLP-1002 투약시 1차요법 치료제(first-ine therapy) 특성에 부합하는 진통 효능과 긴 약효 지속력이 관찰됐다. 이 결과에 근거해 2단계 평가에서는 관절염 환
아이디언스(Idience)는 9일 표적항암제 신약후보물질 ‘베나다파립(venadaparib, IDX-1197)’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희귀의약품(ODD) 지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아이디언스는 일동제약그룹의 지주회사 일동홀딩스의 신약개발 전문 자회사다. 베나다파립은 PARP(poly ADP-ribose polymerase) 저해기전을 가진 신약 후보물질이다. 현재 아이디언스는 국내, 미국, 중국에서 베나다파립의 위암 병용요법과 관련한 임상1b상을 진행 중이다. 그 외에도 HRR(homologous recombinatio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2022 세계폐암학회(IASLC 2022 WCLC)에서 지난 8일(현지시간) 4세대 EGFR TKI 후보물질 ‘BBT-176’ 임상1상 용량상승시험의 중간 데이터에 대한 구두발표를 진행헀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 데이터는 임선민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가 진행했으며, CT(전산화단층촬영) 등 치료반응 분석과 혈액 액체생검 방식을 활용해 순환종양 DNA(ctDNA)와 같은 분자유전학적 반응(molecular response) 분석 데이터를 공개했다
티움바이오(Tium Bio)는 지난 8일 중국 한소제약(Hansoh Pharma)과 1억7000만달러(약 2200억원) 규모의 자궁내막증 신약후보물질 ‘TU2670‘에 대한 기술이전(L/O) 및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티움바이오는 이번 기술이전 계약에 따라 한소제약으로부터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으로 450만달러(59억원)를 지급받으며 이는 계약체결 후 60일 이내에 지급될 예정이다. 공정개발기술 이전으로 1년 이내 수령할 단기마일스톤은 150만달러(19억원), 중국지역 내 개발, 허가, 판매에 따른 마일스톤은 최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의 스타틴 병용요법 ‘로수젯(로수바스타틴+에제티미브 복합제)’의 장기 효능이 고용량 스타틴 단독투여 대비 비열등하며(non-inferior), LDL-C 콜레스테롤을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스타틴 병용요법을 투여할 경우 고용량 스타틴 단독투여 대비 환자가 약물투약을 중단하는 비율도 2배 가량 낮았다. 스타틴과 에제티미브 병용투여와 고용량 스타틴을 3년 장기추적한 첫 임상 결과로 이를 입증한 RACING 임상 결과는 지난달 세계 최고권위 의학저널인 란셋(Lanc
에스엔이바이오(S&E Bio)가 microRNA(miRNA) 탑재 엑소좀(exosome)을 이용해 중추신경계(CNS) 질환 신경재생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줄기세포 기반 엑소좀의 신경재생 효과와 함께 고용량의 miRNA를 탑재해 치료효과를 높인 접근법이다. 현재 가장 앞선 파이프라인은 급성 뇌졸중 치료제 후보물질 ‘Evimir-Stroke’로 내년 임상 1/2a상에 진입 예정이다. 에스엔이바이오는 지난 2019년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방오영 교수가 설립한 회사로 지난해 4월 시리즈A로 30억원을 투자받았다. 방오영 에스엔이바이오 대
큐라티스는 8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시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큐라티스는 현재 청소년 및 성인용 결핵백신 후보물질 ‘QTP101’과 mRNA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QTP104을 개발하고 있다. 대신증권과 신영증권이 공동 대표주관사다. 큐라티스의 주력 파이프라인 ‘QTP101’은 현재 임상 2b/3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QTP104는 국내 기본접종 1상 임상참여자 등록 및 투여를 완료하고 올해 하반기 임상종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큐라티스 관계자는 “코스닥 상장을 발판으로 연구개발 중인 결핵백신
메드팩토는 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재발성/난치성 골육종 환자 대상 백토서팁 단독요법 임상 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재발 난치성 혹은 진행성 골육종을 앓고 있는 14세 이상 청소년 및 성인환자 54명을 대상으로, 케이스웨스턴 리저브대 UH 무지개 어린이병원(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UH Rainbow Babies and Children’s Hospital) 등에서 진행된다. 메드팩토는 임상에서 백토서팁 단독요법
HK이노엔(HK inno.N)이 온코빅스(ONCOBIX)와 자가면역질환 신약 공동연구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온코빅스는 자체적으로 보유한 256만개 화합물 가상절편(virtual fragment) 라이브러리 기반의 타깃 화합물 도출 플랫폼기술 ‘토프오믹스(TOFPOMICS®)’를 활용해 자가면역질환 신약 후보물질 도출 및 합성연구를 수행한다. 이후 HK이노엔은 후보물질 평가, 검증, 상용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두 회사는 MOU에 이은 후속 절차로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으
셀트리온은 5일 연결기준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2분기 매출액 5961억원, 영업이익 199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각각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은 38.1%, 영업이익 21.3% 증가했다. 지난 1분기 5506억원을 포함해 상반기 매출 1조1467억원으로 사상 최초로 1조원을 넘겼다. 셀트리온은 미국,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 시장 확대와 케미컬 사업부분의 매출 증대 등이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의료정보 제공기관 심포니헬스(Symphony Health)에 따르면 화이자(Pfizer)를 통해 판매중인 자가면역질환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