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령(옛 보령제약)이 올해 2분기에 역대 최대 분기실적을 올렸다. 27일 공시에 따르면 보령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매출액 1722억원, 영업이익 14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보령의 2분기 역대 최대 실적이자, 사상최대 분기매출이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각각 21.4%, 64.3% 증가했다. 이같은 실적은 만성질환 중심의 전문의약품 포트폴리오에 따른 안정적인 수익구조 구축과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에 따른 수탁사업 회복 등 전 부문에서 고른 성장이 있었기 때문으로 회사측은 분석했다. 보령은 올해 상반기
에스티팜(ST Pharm)은 스위스 소재 국제 비영리 소외질환신약개발재단(DNDi, Drugs for Neglected Disease Initiative)과 내장 리슈만편모충증(VL) 후보물질의 상업화 전 공정 최적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2003년에 설립된 DNDi는 국경없는의사회(MSF), 세계보건기구(WHO) 및 5개의 주요 국제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설립한 비영리 단체로, 상업성이 낮아 글로벌제약사들이 개발을 꺼려하는 소외질병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현재 제조공정으로는 생산비가 높아 중저소득 소외계층 환
메디포스트(Medipost)가 오픈이노베이션을 확대키로 했다. 메디포스트는 27일 사내 이노베이션연구팀을 통해 메디포스트가 보유한 원천기술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 기업들과의 공동개발에 적극 나선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메디포스트는 차세대 줄기세포 플랫폼, 스멉셀(SMUP-Cell)을 포함한 엑소좀 치료제, 세포·유전자치료제 등의 협업이 이뤄지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공동 연구할 수 있는 파트너를 지속적으로 발굴중이다. 메디포스트의 스멉셀은 고효능 줄기세포를 선별하고 대량 배양 및 자동화 회수를 통해 생산시간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지난 26일 프랑스 떼아 오픈 이노베이션(Thea Open Innovation)에 라이선스아웃한 노인성 황반변성(건성 및 습성) 치료제 후보물질 ‘OLX301A’의 첫 마일스톤을 수령한다고 공시했다. 다만 마일스톤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올릭스는 떼아의 비공개 요청에 따라 이번에 받은 마일스톤 규모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올릭스의 지난해 매출액 37억원의 10%를 상회하는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마일스톤 기술료의 반환의무는 없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마일스톤은 올릭스가 지난 1일
테라베스트(Therabest)가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면역조절 NK 세포치료제 (immuno-modulatory NK, imNK)’ 후보물질의 전임상 결과를 공개한다. 테라베스트는 오는 31일부터 내달 4일(현지시간) 미국 샌디에고에서 개최되는 알츠하이머협회 국제 컨퍼런스(AAIC 2022)에서 imNK의 작용기전과 효능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황도원 테라베스트 연구소장(CTO)가 오는 8월1일 ‘알츠하이머병 마우스 모델에서 NK세포가 손상된 미세아교세포 기능을 회복시켜 아밀
앱클론(AbClon)은 26일 이사회에서 연구개발 등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총 22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전환우선주(CPS) 발행을 통한 유상증자로 120억원, CB로 100억원을 조달한다. 공시에 따르면 CPS는 쿼드자산운용 등 5인을 대상으로 118만8705주를 발행하며 발행가액은 1만95원이다. 이익배당은 연 1.0%이며, 1년간 보호예수된다. 전환가액은 발행가액으로 하며 발행가액의 70%까지 리픽싱(전환가액 조정)이 가능하다. CB 100억원은 쿼드자산운용을 대상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술출자회사 네오켄바이오(Neocannbio)는 시리즈A로 45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26일 밝혔다. 네오켄바이오는 대마유래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지난해 6월 설립된 회사이다. 이번 라운드에는 HLB그룹, 케이티앤지(KT&G) 등이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했다. 또한 지난해 TIPS(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에 참여했던 메디톡스벤처투자, 농식품펀드 운용사, 현대기술투자 등이 재무적 투자자(FI)로 참여했다. 네오켄바이오는 대마에서 추출된 칸나비디올(CBD)과 미량의 칸나비노이드(ra
멘탈헬스 전자약 개발기업 와이브레인(Y brain)은 26일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에서 A, A 등급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와이브레인은 연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한다. 기술성 평가기관으로는 이크레더블과 SCI평가정보가 참여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전자약 기술의 재택치료 가능성, 사용 편의성, 도입비용 및 파이프라인 확장성 등에서 시장 경쟁력을 높게 평가받았다는 설명이다. 와이브레인은 전기자극, 초음파, 빛 등의 물리적인 방식을 이용해 신체 대사를 조절하거나 치료하는 방식의 약물인 전자약(electroceutical
대웅제약은 26일 호주에서 진행한 탈모 장기지속형 주사제 ‘IVL3001(피나스테리드)’의 임상 1상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IVL3001은 인벤티지랩, 위더스제약과 공동개발중인 약물이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에 진행된 IVL3001 임상1상에서는 약물 체내동태(PK)와 내약성 검토를 통해 ▲안정적인 혈중 약물 농도 유지 ▲남성형 탈모의 원인으로 꼽히는 혈중 DHT(dihydrotestosterone) 억제 ▲내약성 등이 확인됐다. 특히 임상에서 IVL3001는 기존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최대 리스크인 초기과다방출(initial bu
디어젠(Deargen)이 인공지능(AI) 융합 신약개발 연구소 아이디어센터(iDear Center)의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고 26일 밝혔다. 디어젠의 iDear Center는 경기도 동탄에 위치해 있으며, 인공지능 신약개발 회사로서 약 800평의 크기의 Wet Lab을 갖췄다. iDear Center에서는 디어젠의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발굴 및 디자인한 물질에 대해 직접 합성과 약효 테스트를 진행한다. 또한 그 결과로 발생하는 양질의 실험데이터를 다시 인공지능 플랫폼을 고도화하기 위해 사용하게 된다. iDear Center는 아직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는 중추신경계(CNS)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후보물질로 개발하고 있는 c-Abl 저해제 ‘FB-101’의 임상1상 파트A(Part A)가 종료됐으며, 파트B(Part B)를 시작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FB-101은 c-Abl을 타깃하는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파킨슨병은 신경세포 안에 알파시누클레인(alpha-synuclein, α-Syn)이 쌓이면서 신경세포 신호전달에 문제가 생기면서, 세포 사멸로 이어지게 된다. 퍼스트바이오는 c-Abl이 과도하게 활성화돼 알
유바이오로직스는 22일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유코백-19 멀티주’의 수출용 품목허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신청했다고 발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임상개발 단계에 따른 수출용 품목허가 검토 및 승인은 통상 4~6개월 정도 소요돼 이르면 연내 승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수출용 품목허가 신청은 필리핀 제약사의 수입요청 사양서(Product specification)를 바탕으로 진행하게 되었으며, 유코백-19 백신의 원액은 회사의 춘천 제1공장 동물세포라인(1000L x 2기)에서 제조한다. 바이알 완제품은 무균 충
부광약품은 21일 조현병 치료제 ‘루라시돈(Lurasidone)’ 임상 3상에서 기존 치료제로 사용되는 ‘쿠에티아핀(Quetiapine XR) 대비 비열등성을 보인 긍정적인 결과를 공시했다. 루라시돈은 부광약품이 지난 2017년 일본 스미토모다이닛폰(Sumitomo Dainippon Pharma)으로부터 라이선스인한 약물이다. 루라시돈은 비정형 조현병치료제로 도파민 D2, 세로토닌 5-HT2A, 세로토닌 5-HT7 수용체를 차단하는 길항제다. 공시에 따르면 부광약품은 급성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는 조현병 환자 210명을 대상으로 루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21일 상장 첫날 30% 가까이 급상승하며 IPO 과정에서의 아쉬움을 다소나마 달래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루닛은 이날 공모가 3만원보다 소폭 높은 3만800원을 시초가로 장을 시작했다. 이후 장중 최고 28.41% 상승한 3만9550원까지 상승하며 4만원(상한가) 터치를 시도했다. 이날 오후 2시10분께 3만9150원(27.11%)으로 시가총액 4100억원을 넘어섰다. 루닛은 지난 11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수요예측에서 공모가 3만원을 확정했다. 희망 공모가밴드 4만4000~4만
HK이노엔(HK inno.N)은 21일 위식도역류질환 P-CAB(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약물 ‘케이캡(K-CAB, tegoprazan)’이 미란성(erosive)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요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을 받으며 적응증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기존 50mg 용량에 이어 25mg 용량의 승인도 함께 받았다. 회사에 따르면 HK이노엔이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요법에 대해 케이캡정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최대 6개월 간 케이캡정을 복용한 경우 내시경 상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가 2년전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독성 우려에 따라 권리를 반환받았던 특발성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후보물질 ‘BBT-877’의 임상2상을 마침내 시작할 수 있게 됐다. 브릿지바이오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BBT-877의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1일 공시했다. BBT-877은 오토택신 저해제(autotaxin inhibitor)이다.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2019년 베링거인겔하임에 BBT-8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길리어드, '트로델비' TNBC 1차 “키트루다 SoC 이겨“
오크힐, ‘로슈 중단’ ASO 사들여.."엔젤만증후군 3상"
사노피 "돌파", '듀피젠트' 10년만에 CSU 新치료옵션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부광약품, 1분기 매출 478억 "전년比 39% 증가"
툴젠, 버텍스 '카스게비' 상대 영국서 "특허소송"
입셀, ‘iPSC’ 골관절염 치료제 연구자임상 “첫 투여”
제노스코, 코스닥 시장위원회서도 결국 "미승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