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뇌에서 후천적으로 일어나는 체세포 유전자변이(somatic mutation)가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킬 수 있을까? 이정호 카이스트 교수팀은 타우 유전자 상에서 일어나는 체세포 유전자 변이가 타우 병리증상을 일으켜, 알츠하이머병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에 지난 12일 게재했다(doi: 10.1038/s41467-019-11000-7). 특정 유전자 변이가 있는 경우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APP, PSEN, PSEN2 유전자 변이는 조기발병 알츠하
임상시험수탁기관(CRO) 씨엔알리서치는 3일 신약개발지원팀을 신설하고 신약개발 전문가인 전선덕 이사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전선덕 이사는 서울대학교 약학과를 졸업했으며 동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SK케미칼 생명과학부문 약리팀 책임연구원, 파마킹 신약연구소, 삼천당제약 중앙연구소의 소장을 역임하면서 다양한 신약개발, 임상개발 경험을 갖고 있다. 전 이사는 씨엔알리서치가 신설한 신약개발지원팀을 총괄할 예정이다. 신약개발지원팀은 ▲공동개발 후보 P/L의 소싱 ▲투자/공동개발 후보 대상 투자 적격성 검토 및 보고 ▲공동개발 결정
메디프론은 2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각자 대표이사에 노기선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 임명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메디프론은 김영호 단독대표이사 체제에서 김영호, 노기선 각자 대표체제로 바뀐다. 회사측은 “향후 전개될 진단키트 사업의 확장과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통한 R&D 역량 강화에 효율적인 대응이 필요함에 따라 각자 대표이사 체제를 도입하게 됐다”고 선임 배경을 설명했다. 신임 노기선 대표이사는 연세대학교 행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메리츠증권과 이베스트증권에서 IB 전문가로 27년간 활동했으며 2
관절연골의 ‘통증 감소’가 아닌 ‘재생(Regeneration)’을 위한 새로운 치료법에 대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세계최초 디모드(골관절염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신약, DMOAD) 승인에 도전한다던 코오롱생명과학의 '인보사'가 성분논란으로 품목허가 취소된 가운데, 지난달 27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2019 글로벌 바이오 컨퍼런스(2019 GBC)’에서 연골 재생을 목적으로 한 치료법의 2개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 하나는 유도만능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
하나제약은 1일 최순규 전 유한USA 대표이사를 연구본부장으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신임 최순규 연구본부장은 서강대 화학과를 졸업한 후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다국적 제약사인 바이엘 신약연구소와 피티씨 테라퓨틱스(PTC Therapeutics)를 거쳐 녹십자 목암연구소 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최근까지는 유한양행 중앙연구소장과 유한USA 대표이사를 맡아왔다. 회사 관계자는 "최 연구본부장이 R&D 분야 전반에 대한 높은 통찰력과 풍부한 글로벌 네트워크 및 경험을 갖고 있어 하나제약의 R&D역량 강화와 해외시장 진출에 큰
2017년 CAR-T 치료제의 탄생 이후 암을 치료하는 면역세포치료제를 향한 기대는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노바티스와 길리어드가 선보인 CAR-T 치료제는 CD19를 타깃으로 혈액암에 국한돼 있는데 이를 고형암으로 확대하기 위한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말콤 브레너(Malcolm Brenner) 박사는 지난 26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개최된 ‘2019 글로벌 바이오 컨퍼런스(Global bio conference; 2019 GBC)’의 기조강연 연자로 나서 면역세포 항암치료제 개발과 추구해야하는 방향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신약 R&D 역량강화를 위해 염선영 부사장(전 베링거인겔하임 본사 중추신경계 신약 임상개발팀 리더)을 임상개발본부 총괄 책임으로 영입했다고 25일 밝혔다. 염선영 신임 부사장은 서울의대 졸업후 서울대병원에서 약물역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이후 미국 코넬대학교 및 뉴욕 프레스바이테리언병원 등에서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다. 암젠코리아 이사를 비롯 일라이 릴리, 화이자, 베링거인겔하임 등에서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 설계, 운영 및 기술이전 등 핵심업무를 담당했다. 특히 베링거인겔하임에서는 본사 신약개발팀 리더로 다
“세포의 정체성은 어떤 순간에 특정 유전자가 온/오프(on/off) 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면 원하는 세포를 만들수 있는 것이다. 개발한 플랫폼은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저분자 화합물을 발굴해 원하는 세포로 전환하는 기술로 희귀 및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는 재생 개념의 세포치료제로 개발이 가능하다.” 김경규 성균관대 교수는 20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열린 '2019년 제1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에서 세포치료제로 사용되는 줄기세포의 종양가능성을 극복할
엔솔바이오가 이태오 전 유한양행 연구소장을 영입했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11일 오전 대전 본사 대회의실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이태오 부사장을 비롯한 신규 사내/사외이사 선임안을 의결했다. 이번 인사 중 신규 사내이사 및 엔솔바이오사이언스의 부사장으로 선임 된 이태오 부사장은 주식회사 유한에서 35년간 근무하며 유한양행 연구소장을 역임하는 등 바이오산업 전반에 걸쳐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유한양행이 작년 7월 미국 스파인 바이오파마에 기술수출한 퇴행성 디스크치료제 'YH14618'을 엔솔바이오로부터 도입할 때
대원제약은 최태홍(63) 전 보령제약 대표를 신임 사장으로 선임했다고 4일 밝혔다. 최 사장은 서울대 약대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석사학위를 취득했고 미국 마이애미대학 약학대학원 약리학 박사 과정을 거쳤다. 이후 1987년에 한국얀센에 입사해 부사장과 한국 · 홍콩 얀센 총괄사장, 북아시아지역 총괄사장 등을 지냈다. 2013년부터 올해 3월까지 약 7년간 보령제약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최 사장은 보령제약 재직시 다국적 제약사에서 쌓은 글로벌 네트워크와 경영노하우를 바탕으로 글로벌 진출과 매출 증대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뤄냈다는게
네오이뮨텍(NeoImmuneTech, NIT)은 사무엘 장(Samuel Zhang)을 최고사업책임자(Chief business officer, CBO)로 영입했다고 3일 밝혔다. 그는 네오이뮨텍의 주력 제품인 '하이루킨-7(hyleukin-7)' 등 파이프라인의 전략적 상업화를 주도할 계획이다. 장 CBO는 글로벌 빅파마의 면역 항암 사업화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전략 및 사업개발 경력을 가지고 있다. 장 CBO는 항체/이중항체 항암제 개발 전문 회사인 메러스(Merus)에서 제품, 포토폴리오의 연구개발, 전략적 제휴 등을 책임지는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 AI 신약개발기업 신테카바이오는 이석준 신임 감사, 우원하 신임 CAO, 이우진 법률특허 자문을 선임했다고 31일 밝혔다. 이석준 신임 감사는 행시 28회 출신으로 정보통신부와 경제기획원을 거쳐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독점감시팀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 법무법인 율촌에서 변호사로 재직 중이다. 이 신임 감사는 미국 시라큐스대 법과대학원에서 J.D. 학위를, 동 대학 경영대학원에서는 회계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2012년부터는 한국제약협회 공정경쟁규약심의위원회 위원을 맡아 바이오산업 업계와 연을 맺어왔다. 우원하 신임 C
보령바이오파마가 개발2본부장에 전용관 전무를 영입했다고 23일 밝혔다. 전용관 전무는 전북대 의학과를 졸업했으며 34년간 제약계에 몸 담으며 개발, 임상, 인허가 업무를 담당했다. 보령제약 개발본부장을 거쳐 KT&G생명과학 총괄사장, 파메딕스 총괄사장, 한국파비스제약 개발담당 부사장 등을 역임했다. 보령바이오파마에서는 전문의약품의 개발, 임상, 인허가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국내 연구진이 그동안 단순히 단백질 합성에만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던 ARSs(Aminoacyl-tRNA synthetases)와 같은 단백질 합성효소가 새로운 신약개발의 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규명했다. 22일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에 따르면 김성훈 서울대 교수(연구단장)와 권남훈 박사(책임연구원)는 클리브랜드 클리닉의 Paul L. Fox 교수와 함께 단백질 합성 효소가 단백질 합성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기능을 통해 다양한 질환과 연결돼 있으며 질환 특이적 기능 및 발현 조절을 통해 새로운 신약을 개발하는데 타깃이
윤문태 씨엔알리서치 회장이 국내 임상시험산업 육성·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윤 회장은 지난 17일 서울아산병원에서 열린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에서 주최한 ‘2019 세계 임상시험의 날 기념행사’에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윤 회장은 임상시험 진흥 부문에서 임상시험의 육성 발전을 위한 환경, 제도 및 법제적·사회적·윤리적 규제 개선, 홍보 등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한 윤문태 회장은 1978년 동아제약에서 제품개발 업무를 거쳐 1984년 LG에 입사해 임상시험 업무를 맡았다
국내 연구진이 세포 내에서 돌연변이 DNA를 복구하는 효소(UDG; Uracil-DNA Glycosylase) 중 특이한 활성을 보이는 신규 단백질 효소(UdgX)의 기능을 규명했다. 아직 규명되지 않은 새로운 DNA 복구 시스템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UdgX라는 새로운 종류의 UDG 단백질 효소 기능을 규명한 우의전 질환표적구조연구센터 박사팀(교신저자: 우의전/Umesh Varshney 박사, 제1저자: 안우찬 박사과정)의 연구가 Nature Chemical Biology 온라인판에
BMS도, ‘옵디보+여보이’ 대장암 1차 “美 FDA 승인”
에이비엘 "GSK 공격적, 3개월만에 딜..Aβ·타우 제외"
서정진 회장, 셀트리온 주식 500억 규모 장내매입키로
에이비엘-유한, 'EGFRx4-1BB' 비임상 "AACR 발표"
'세포·유전자’ CDMO 앰플리파이, 출범 4년만에 “폐업”
'DNA 시퀀싱' 팩바이오, 대대적 비용감축..”관세역풍”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뷰노, 김택수 최고전략책임자(CSO) 영입
디티앤씨 휴사이언스, 조권 대표 선임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HLB제넥스, 뉴로토브 지분 74.73% 확보 "자회사 편입"
에스티팜, 글로벌 ‘CRISPR 학회’ 참가..기술 홍보
앱클론, 'CD19 CAR-T' "FL·MZL 확대..연내 IND 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