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중국의 하버바이오메드(Harbour BioMed)와 총 46억8000만달러 규모의 다중항체(multi-specific antibody) 라이선스 옵션딜을 체결했다. 1억500만달러의 지분투자가 포함된 딜이며, 향후 계약금과 옵션행사금 등을 합해 1억7500만달러를 하버에 지급하게 된다. 특히 이번 딜은 아스트라제네카의 25억달러에 달하는 중국 투자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아스트라제네카는 25억달러를 투자해 중국에 R&D센터 건설 및 하버 등과 파트너십 딜을 체결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중국에 계
화이자(Pfizer)가 초기임상 단계의 경구용 STING 작용제의 개발을 중단했다. 지난해 2월 고형암 임상1상에 돌입한지 1년만에 프로그램을 정리하게 됐다. 화이자가 이번에 중단한 ‘PF-07820435’는 업계에서 유일한 경구용 STING 작용제(agonist)로 알려져 있던 약물이다. STING 작용제의 임상실패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화이자도 추가적인 개발중단 사례를 추가하게 됐다. 화이자의 이번 PF-07820435 개발중단 소식은 지난 10일 미국 임상연구사이트(ClinicalTrials.gov)에 화이자가 임상개발 현
이수그룹(ISU Group)은 이수앱지스(ISU ABXIS)에 유준수 대표이사를 신규 선임했다고 24일 밝혔다. 유 신임 대표는 1972년생으로 동아ST에서 R&D 전략 및 사업개발(BD) 담당 전무를 지낸 경험을 가지고 있다. 유 신임 대표는 서울대 식품공학 학사 학위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생물과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다트머스대 턱 경영대학원(Tuck School of Business)에서 MBA 학위를 취득한 바 있다.
HK이노엔(HK inno.N)은 24일 일본 파트너사인 라퀄리아파마(RaQualia Pharma)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통한 신주 인수계약을 체결하고, 라퀄리아의 1대 주주가 됐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HK이노엔은 라퀄리아 주식 259만2100주를 취득해 10.61%의 지분을 확보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총 101억원 규모이다. HK이노엔에 따르면 라퀄리아는 일본 화이자제약 출신 연구진이 2008년 설립한 신약개발 바이오텍으로, 2010년 HK이노엔에 위식도역류질환 P-CAB 신약 '케이캡(K-CAB®, tegopraza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VUNO)는 24일 AI기반 심전도측정 의료기기 ‘하티브 P30(HATIV P30)’이 유럽 CE MDR(Medical Device Regulation)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동시에 영국의 인증제도인 UKCA(UK Conformity Assessed)도 함께 획득했다. 발표에 따르면 CE MDR은 유럽 시장에 수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준수해야하는 유럽 의료기기 규정이다. 기존 의료기기 지침인 MDD(Medical Device Directive)가 강화된 제도로 지난 2021년 5월부터 시행되고
셀트리온(Celltrion)은 지난 22일(현지시간) 미국 코스트코(Costco)의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계열사 코스트코 헬스 솔루션스(Costco Health Solutions)와 ‘스텔라라(Stelara)’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Steqeym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등재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통해 미국 전역에 위치한 코스트코 매장 내 약국에서 PBM 가입자, 코스트코 임직원 등을 대상으로 스테키마 환급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계약으로 스테키마가 선호의약품(preferred drug)으로 등재되
노바티스(Novartis)는 지난 19일(현지시간) AAV 유전자치료제 ‘졸겐스마(Zolgensma)’의 척추강내주사(intrathecal, IT) 제형을 이용한 척수성근위축증(SMA) 임상3상에서 긍정적인 업데이트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졸겐스마는 지난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정맥주사(IV) 제형 SMA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다만 IV는 몸무게에 비례한 양을 투여하는데, 졸겐스마IV는 20kg 이상의 사람에게 투여시 간독성의 위험이 커 2세 이하의 SMA 환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사용이 가능했다. 따라서 적용범위
엘레베이션 온콜로지(Elevation Oncology)가 끝내, 클라우딘18.2(CLDN18.2) 약물개발 대열에서 이탈한다. 개발중단의 여파로 인력 70%를 해고하는 구조조정도 수반된다. 이미 엘레베이션은 지난해 8월 중국에서 사들였던 CLDN18.2 항체-약물접합체(ADC) ‘EO-3021’의 미국 임상결과를 첫 공개하면서 기대보다 낮은 효능에 실망감을 자아냈었고, CLDN18.2 저발현 환자에게서는 효능이 없었다. 토포이소머라아제(TOP1) 저해제 페이로드(payload)의 붐 속에서, EO-3021은 MMAE를 이용했고 약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파트너사인 영국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에 경영참여를 목적으로 25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익수다 투자금 중 1차에 해당하는 1500만달러는 지난해 4분기에 이미 투자가 완료됐고, 추가 1000만달러는 올해 중순 진행될 예정이다. 투자 완료 후 리가켐바이오는 익수다의 지분 26.6%를 확보하게 된다. 이와함께 리가켐바이오는 익수다의 기존 주요 투자자들과 익수다의 지분을 3년 이내 투자원금에 매입할 수 있는 옵션
사노피(Sanofi)가 계약금 6억달러를 베팅하며 드렌바이오(Dren Bio)로부터 자가면역질환을 타깃하는 식세포(phagocyte) 인게이저를 인수한다. 마일스톤을 합해 총 19억달러 규모의 딜이다. 이번에 사노피가 사들이는 인게이저는 식세포의 특정 표면단백질과 B세포의 CD20을 타깃해 B세포를 사멸시키는 컨셉이다. CAR-T, T세포 인게이저(TCE) 등 자가면역질환에서 더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T세포 기반 약물과 달리, 선천면역세포의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을 이용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사노피는 지난 20일(현지
앱클론(AbClon)은 21일 감사보고서 제출이 지연된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외부감사인은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정기주주총회 1주일 전에 회사에 제출해야하며, 앱클론은 오는 31일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는 바, 외부감사인은 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일 전인 21일까지 감사보고서를 제출해야한다. 그러나 앱클론은 2024 회계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와 관련, 감사의견 형성을 위한 추가 감사증거자료 제출이 지연되고 있다고 공시했다. 앱클론은 "감사보고서의 제출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감사
세르비에(Servier)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블랙다이아몬드 테라퓨틱스(Black Diamond Therapeutics)와 RAS/RAF 저해제 후보물질인 ‘BDTX-4933’의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라이선스인(L/I)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세르비에는 블랙다이아몬드에 계약금 7000만달러를 지급하고 이후 개발, 상업화 판매 마일스톤으로 최대 7억1000만달러를 지급하게 된다. 판매에 따른 로열티는 별도다. 계약에 따라 세르비에가 BDTX-4933의 임상1상 시작부터 개발과 상업화를 주도한다. 세르비에는 BRAF, C
일본의 조절T세포(regulatory T cell, Treg)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회사 레그셀(RegCell)이 지난 18일(현지시간) 시드 펀딩을 종료하며 시드와 비희석 투자 등을 포함해 총 4580만달러의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레그셀은 지난 2016년 설립된 바이오텍으로, 사카구치 교수의 면역억제세포 Treg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사카구치 교수는 Treg 및 Treg의 면역학적 자가내성(immunological self-tolerance)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처음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셀트리온(Celltrion)은 500억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자사주 취득은 오는 24일부터 장내매수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매입하는 자사주는 26만8385주, 500억원 규모다. 이번 자사주는 취득 후 전량 소각할 계획이며, 향후 연내 추가 매입하는 자사주도 전량을 소각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올해 1월 보유 수량의 25%에 해당하는 5533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완료했으며, 이번달 14일 추가로 2033억원 규모의 올해 취득한 자사주 전량을 소각했다. 이번에 취득한 500억원 규모의
아버 바이오테크놀로지(Arbor Biotechnologies)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시리즈C로 739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아버는 지난 2017년 시리즈A로 1560만달러를, 2021년 시리즈B로 2억1500만달러를 투자받은 바 있다. 아버는 CRISPR 연구의 선구자인 펑 장(Feng Zhang) MIT 교수가 지난 2016년 공동설립한 바이오텍으로 간질환 및 중추신경계(CNS) 질환 등에서 유전자편집(gene-editing)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ARCH 벤처 파트너스(ARCH Venture
에스티팜(ST Pharm)은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린 디캣 위크(DCAT Week 2025)에 참가했다고 21일 밝혔다. DCAT(Drug, Chemical & Associated Technologies) Week는 지난 1890년 뉴욕상공회의소 주관으로 시작된 150년 전통의 제약, 바이오 분야 대표 행사로 행사 기간동안 다양한 형태의 기업간 파트너링 미팅이 진행된다. 특히 의사결정권을 가진 고위 임원들이 주로 참석하면서 다양한 파트너링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티팜은 성무제 사장을
서범석 루닛 "‘AI 바이오마커’ 진 적 없어..아예 新영역"
LG화학, 'XO 저해제' 통풍 3상 중단 "상업성 고려, 종료"
美보건부, "대대적 개편" 1만명 감축..FDA 3500명 영향
펩트론, ‘ADC 효능↑’ 펩타이드 기술 “AACR 발표”
대웅제약, CS파마서 'PRS 저해제' 계약해지 "통보"
루닛, 美NCI와 'AI 바이오마커' "암 데이터 분석" 착수
‘CAR-NK’ 엔카르타, 직원 53명 해고..CFO도 퇴임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3H바이오, 비만 新MoA 'apoB100 백신' 차별점은?
[인사]제일파마홀딩스, 임원 승진 인사
차바이오텍, 부회장에 최석윤 前메리츠증권 고문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J&J “마침내”, 유한 '레이저티닙' 병용 폐암 "FDA 허가"
아이엠바이오, 'OX40LxTNFα' 中 1상 "IND 승인"
동아쏘시오홀딩스, 사내이사에 이현민 전무 선임
온코닉, ‘PARP/TNKS’ 위암 비임상 “AACR 발표”
용마로지스, "13년 연속" 우수녹색물류실천기업 인증
셀트리온, ‘졸레어 시밀러' 오토인젝터 "CHMP 승인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