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는 DPP-4 저해제 계열의 당뇨병치료제 ‘슈가논(Suganon, evogliptin)’의 당뇨병성 심근병증(diabetic cardiomyopathy, DCM) 예방효과를 확인한 비임상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 ‘실험 및 분자 의학(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IF: 12.172)’에 게재됐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원종철 인제대 상계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김형규 인제대 심혈관 및 대사질환센터 교수 등으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이 진행했다. 연구팀은 당뇨병 및 비만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25일 미국 시력안과학회(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ARVO) 연례 학술대회를 통해 '아일리아(Eylea, aflibercept)' 바이오시밀러 ‘SB15’의 임상3상 최종 데이터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ARVO는 23일부터 27일까지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진행되는 국제학회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0년 6월부터 2022년 3월까지 미국, 한국 등 10개국에서 습성 연령 유관 황반변성(neovascular age-r
에스티팜(ST Pharm)이 탄키라제(tankyrase, TNKS)1/2 저해제인 ‘STP1002(basroparib)’의 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했다. 에스티팜은 현재 고형암을 대상으로 STP1002의 미국 임상1상을 진행중이다. 에스티팜은 이번 발표에서 STP1002의 주요 적응증인 KRAS 돌연변이 대장암(CRC)에 대한 인비트로(in vitro), 인비보(in vivo)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에스티팜은 KRAS 돌연변이 대장암 중 MEK 저해제에 내성을 갖는 환자를 주요 적응증으로 STP10
목암생명과학연구소(MOGAM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와 서울대병원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한 희귀질환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업무협약식은 서울대병원 대한의원 건물에서 김선 목암연구소장, 신현진 부소장, 박경수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장, 채종희 희귀질환센터장, 문장섭 임상유전체의학과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단순히 정보를 모아 놓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개발을 넘어,
셀트리온(Celltrion)은 25일 유럽의약품청(EMA)에 알러지성 천식, 비용종을 동반한 만성비부비동염 및 만성 특발성두드러기 치료제 '졸레어(XOLAIR, omalizumab)’ 바이오시밀러 'CT-P39'의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폴란드, 불가리아 등 총 6개국에서 만성 특발성두드러기(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환자 61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CT-P39 글로벌 임상3상에서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유효성과 동등성과 안전성에서 유사성을 확인했다. 셀트리온은 해당 임상 결과를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24일 연결기준으로 올해 1분기 매출 7209억원, 영업이익 191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위탁생산개발(CDMO)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삼성바이오에피스 실적 연결반영으로,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41%, 영업이익은 9% 증가했다. 지난해 4월 에피스 지분인수 후 연결 회계처리에 따라 내부거래소거와 기업인수가격배분(PPA) 상각이 반영됐음에도 불구하고,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증가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분기 별도기준 매출은 5910억원
큐라티스(Quratis)는 24일 증권신고서를 기재정정함에 따라 공모일정이 순연됐다고 밝혔다. 큐라티스에 따르면 오는 25일과 26일로 예정됐던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은 다음 달인 5월 18일~19일에 진행된다. 일반 청약은 5월 25~26일 양일간 진행된다. 큐라티스 관계자는 “투자자 보호조치의 일환으로 규제당국이 증권신고서에 사업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근거자료 추가기재를 요구해 수정을 진행중”이라며 “희망 공모가밴드와 신주발행을 포함한 밸류에이션은 기존대로 유지되며 이후 공모절차에 따라 투자자 미팅 등 IR 일정을 진행할 계획
고바이오랩(KoBioLabs)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궤양성대장염(UC) 치료제로 개발하는 ‘KBLP-007(성분명: KBL697)’의 임상2a상 지역에 한국을 포함하는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4일 밝혔다. 고바이오랩은 KBLP-007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임상2a상 승인하에 호주에서 환자모집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지역을 추가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식약처에 한국지역 임상진행을 위한 IND를 제출했다. 식약처는 지난해 4월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 국내 임상을 위해 ‘생균치료제 임상시험시 품질 가이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EGFR 변이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 대상 4세대 EGFR TKI로 개발하는 ‘BBT-207’의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24일 밝혔다. 브릿지바이오는 4세대 EGFR TKI 후보물질로 ‘BBT-176(삼중변이 저해제)’의 국내 임상1/2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로써 2번째 임상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BBT-176은 현재 임상1상 용량상승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주용량군 시험을 마치고 추가 확
면역 혁신신약개발 바이오기업 샤페론(Shaperon)이 미국 현지에 자회사 허드슨 테라퓨틱스(Hudson Therapeutics)를 설립한다고 24일 밝혔다. 샤페론은 허드슨 테라퓨틱스에 초기 자본금 230만달러(약30억원)을 출자하며, 지분 100%를 직접 보유하게 된다. 허드슨은 향후 모회사 샤페론이 보유한 주요 파이프라인들의 글로벌 임상 컨트롤타워 역할과 함께 글로벌 라이선스아웃(L/O)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샤페론이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글로벌 L/O을 전담할 오피스는 메이저 글로벌 제약사들이 몰려 있는 보스턴(Bost
지투이(G2e)는 24일 시리즈B로 85억원을 투자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시리즈A에 참여했던 코오롱인베스트먼트, 세마인베스트먼트, 데일리파트너스 등을 포함해 휴온스, 소리에스비 등 전략적 파트너 2곳 등 총 5곳이 참여했다. 지투이는 지난 3월 휴온스와 스마트인슐린펜 'DIA:CONN P8'의 국내 독점 유통·판매 계약을 체결했으며 최근 GMP 승인을 획득해 본격적으로 제품을 공급할 예정이다. 정창범 지투이 대표는 “완전인공췌장(APS) 완성을 위해 당뇨병 헬스케어 플랫폼을 고도화하는 한편, 향후 코스닥 시장 상장을 통
바이젠셀(Vigencell)은 21일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CD30 유래 공동자극 신호전달 도메인을 이용한 CAR-T 세포의 시험관내 실험(in vitro) 및 동물실험(in vivo)을 통해 항종양 효능을 평가한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바이젠셀은 CD30 유래 공동자극 신호전달 도메인(intracellular costimulatory signaling domain, ICD)이 추가된 CAR-T 세포가 기존 CAR 신호전달 도메인(CD28, 4-1BB)을 갖는 CAR-T세포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혈액암을
피노바이오(Pinot Bio)는 20일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DNMT1 저해제 ‘NTX-301’의 난소암 대상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발표는 연구를 주도한 다니엘라 마테이(Daniela E Matei) 노스웨스턴대 교수가 진행했다. 발표에 따르면 NTX-301은 난소암(ovarian cancer, OC) 세포주에 높은 선택성을 보였으며, 난소암 마우스모델에 단독투여시 항암효과를 나타냈다. 피노바이오는 지방산 대사경로 교란은 암세포가 기존 항암제에 내성을 갖게 하는
항암백신 개발사 애스톤사이언스(Aston Sci.)가 HER2 암백신 후보물질인 ‘AST-301’과 PD-1 항체 ‘키트루다’ 병용투여를 평가한 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했다. 애스톤은 위암 마우스모델에서 AST-301과 키트루다를 병용투여했을 때 키트루다 표준용량 투여군 대비 항암효능과 독성T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다만 실험에 사용한 개체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은 충족시키지 못했다. 최영기 애스톤사이언스 책임연구원은 지난 16일(현지시간) AST-301과 키트루다 병용투여를 평가한
에임드바이오(Aimedbio)가 FGFR3 타깃 항체-약물접합체(ADC)인 ‘AMB302/GQ1011’의 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했다. AMB302는 에임드바이오가 중국 진퀀텀 헬스케어(GeneQuantum Healthcare)와 공동개발을 진행중인 에셋으로, 에임드가 개발한 FGFR3 타깃 항체에 진퀀텀의 위치 특이적인 링커-페이로드 기술을 접목한 약물이다. 에임드바이오는 AMB302를 FGFR3 유전자 변이(alteration) 혹은 과발현된 방광암과 교모세포종(glioblastoma, GBM)
피노바이오(PinotBio)는 21일 Pre-IPO로 126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기존 투자자였던 IMM인베스트먼트와 KB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으며 BNH인베스트먼트, 유니온투자파트너스, 쿼드자산운용 등 제약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탈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와 안국약품이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이번 투자를 계기로 피노바이오와 ADC CMC 개발 및 생산을 위한 전략적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안국약품은 지난해 피노바이오와 ADC 항암제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MOU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파노로스, PD-L1xVEGFR1 융합단백질 "AACR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