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는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NeuroBo Pharmaceuticals)가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 ‘DA-1241’의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신청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NASH 환자 87명을 대상으로 DA-1241과 위약군을 비교평가하는 임상으로, DA-1241의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는 DA-1241의 미국 임상2상을 올해 3분기내 시작하고, 내년 하반기 종료할 계획이다. DA-1241은 GPR119 작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는 4일 세포주 개발 전문기업 스위스 엑셀진(Excellgene)과 CDO(위탁개발)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양사는 의약품 세포주 개발부터 대규모 위탁생산까지 CDMO(위탁개발생산) 서비스의 전과정(end-to-end)을 협력하며, 이를 요청하는 잠재 고객사에게 공동 파트너십을 제안할 수 있다. 엑셀진은 세포주 개발, 고수율 공정개발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마스터 세포은행(Master Cell Bank) 서비스, 임상 및
큐라티스는 3일 금융의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일정에 본격 돌입했다고 밝혔다. 큐라티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350만주로, 희망 공모가 밴드는 6500~8000원이다. 이에따른 예정 공모금액은 227억5000만~280억원이다. 큐라티스는 오는 4월 25일과 26일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내달 2~3일까지 일반청약을 받는다. 큐라티스는 5월 중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상장주관사는 대신증권과 신영증권이 공동으로 맡았다. 지난 2016년 설립된 큐라티스는 면역 관련 백신 개발 기업으로,
큐리언트(Qurient)가 현재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임상1/2상을 진행하고 있는 CDK7 저해제 ‘Q901’의 임상지역을 국내로도 확대한다. 큐리언트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Q901의 국내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3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1/2상은 고형암 환자 최대 128명(국내 70명)을 대상으로 Q901의 단독투여와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과 병용투여하는 프토포콜로 국내 기관 3곳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Q901은 4주동안 주1회 투여하며, 이후 2주마다 1회 정맥투여하게 된다. 임상에
일동제약그룹은 4월 1일부로 2023년도 정기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각 회사별 세부 발령 사항은 아래와 같다. ◆ 일동제약 △전무 배용찬 △상무 강대석 △상무 김수일 △상무 이상영 △강경수 △강석일 △강정완 △공정한 △권혜미 △김명종 △김준령 △김태윤 △김현석 △박진 △성원제 △양승권 △윤중현 △이도환 △이철호 △전민지 △정희성 △하승목 △홍창희 ◆ 일동홀딩스 △김정우 △박경찬 ◆ 아이디언스 △상무 손정민 △상무 이명재 △구진아 △양재윤 ◆ 일동이커머스 △ 문희종
신약개발 컨설팅 기업 애임스바이오사이언스(AIMS Bioscience)는 3일 계량약리학 분석서비스 기업 큐피터(Q-fitter)를 인수합병했다고 밝혔다. 인수금액 등 상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애임스에 따르면 큐피터는 국내 유일의 계량약리학 분석(Pharmacometrics analysis) 서비스 기업으로, 맞춤형 약리분석,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석 등을 통하여 약물 용량설정 등 임상 개발 시에 필요한 근거 및 기준을 제시하는 업무를 수행해왔다. 애임스는 지난 2019년 설립돼 제약 및 바이오텍 기업들을 대상으로 후보물질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중국 파트너사인 포순파마(Fosun Pharma)로부터 HER2 ADC ‘LCB14(FS-1502)’의 임상3상 개시(첫 환자투약 기준)에 따라 마일스톤 350만달러(약 46억원)을 수령할 예정이라고 3일 공시했다. 해당 마일스톤 기술료는 포순제약이 인보이스(invoice)를 수신할 날로부터 45일이내 수령할 예정이며, 반환의무가 없다. 레고켐바이오는 지난 2015년 8월 포순파마와 LCB14의 중국권리를 라이선스아웃(L/O)하는 208억원규모의 딜을 체결한 바 있다.
알테오젠(Alteogen)은 ‘하이브로자임(Hybrozyme™)’의 첫 적용 품목이 임상3상에 진입함에 따라 파트너사로부터 마일스톤(기술료) 1300만달러(약 168억원)에 대한 대금을 청구했다고 3일 공시했다. 해당 마일스톤은 계약에 따라 발행후 1개월안에 수령하게 된다. 하이브로자임은 알테오젠의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ALT-B4’가 사용되는 피하투여(SC) 제형 변경 플랫폼이다.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를 활용해 피하층에 있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하여, 기존에는 피하로 흡수할 수 없던 약물이 주입될 수 있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3일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후보물질인 P-CAB 제제 ‘자스타프라잔(zastaparzan, OCN-101/JP-1366)’ 임상1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AP&T(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IF 9.542)’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고 발표했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은 서울대의대 이승환 교수 등이 공동연구한 임상1결과로 건강한 한국인 남성을 대상으로 무작위, 공개, 위약 및 활성제어, 단회 및 반복증량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약력
JW생명과학(JW Life Science)의 연구개발(R&D) 자회사 JW바이오사이언스(JW Bioscience)는 정밀진단 전문기업 마이크로디지탈(MicroDigital)과 고감도 현장진단기기 ‘제이웰릭스Q6(JWELICS Q6)’의 초도 생산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제이웰릭스Q6는 화학발광 면역분석 장비로서 사람의 전혈, 혈장, 혈청, 비인두분비물 등에 포함된 항원·항체 및 특정 바이오마커를 정량화해 다양한 질환을 진단하는 현장진단(POCT, Point Of Care Testing) 기기다. 최대 6개의 샘플 측정이 가
셀트리온(Celltrion)은 3일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Eylea, aflibercept)' 바이오시밀러 'CT-P42'의 글로벌 임상3상 24주결과 분석에서 동등성과 유사성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독일, 스페인 등 총 13개국에서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Diabetic Macular Edema) 환자 348명을 대상으로 52주간 임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번 결과는 24주까지의 임상결과다. 셀트리온은 CT-P42 투여군과 오리지널 의약품 투여군 두 그룹으로 나눠, 기준선(baseline)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1일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솔리리스(Soliris)'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Epysqli, SB12, eculizumab) '의 판매허가 승인권고(positive opinion)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솔리리스는 미국 알렉시온(Alexion)이 개발한 발작성야간혈색소뇨증(PNH) 등 난치성 희귀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연간 치료비용이 수억원에 달하는 초(超)고가 바이오의약품이다. 솔리리스의 지난해 글로벌 매출은 37억6200만달러(한화 4조70
HLB그룹은 31일 사장단 인사를 단행하며 그룹 피플팀 총괄(CPO)에 김종원 사장을, 그룹 마케팅 총괄(CMO)에 황제이 사장을 신규 임명했다고 밝혔다. 신규 선임된 김종원 CPO는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노사관계학 석사와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신한은행, 소프트뱅크 파이낸스, 메릴린치증권을 거쳐 ACA인베스트먼트 대표를 역임했으며, 이후 HLB그룹에 소속돼 HLB파워 대표, HLB글로벌 대표를 지냈다. 황제이 CMO는 미국 노스웨스턴대를 거쳐 일리노이대 어바나샴페인캠퍼스에서 마케팅 학사 및 광고마케팅 석사 학위를 받
펩트론(Peptron)은 오는 6월 개최되는 미국당뇨병학회(ADA)에 참가해 1~2개월 지속형 당뇨∙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2종의 전임상 결과에 대해 발표한다고 31일 밝혔다. 발표하는 펩트론의 당뇨∙비만 치료제 후보물질 2종은 GLP-1R 작용제(agonist)인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 서방형제제 ‘PT403’과 ‘GLP-1/GIP 이중 수용체 작용제의 서방형제제’로 독자적인 약효 지속성 약물전달기술인 스마트데포(SmartDepot) 기술이 적용됐다. 펩트론은 두 후보물질의 1개월 지속형(매월1회 주사) 혹은 2개월
프로테옴텍(ProteomeTech)은 30일 한국거래소로부터 기술평가 특례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프로테옴텍은 지난 2000년 설립된 체외진단 의료기기 전문기업으로, 2018년 코넥스시장에 상장했다. 프로테옴텍은 다음달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상장주관사는 키움증권이다. 프로테옴텍은 알러지 진단키트, 항생제 감수성 진단키트, 면역력 모니터링 키트 등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다. 주력 제품으로는 총 118종의 알러젠(알러지 유발물질)을 한번에 검사할 수 있는 알레르기 다중진단 키트 ‘프로티아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PARP/TNKS 이중저해제(dual inhibitor) ‘네수파립(nesuparib, JPI-547, OCN-201)’의 비임상 결과를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3)에서 발표한다고 31일 밝혔다. 네수파립은 PARP(poly (ADP-ribose) polymerase) 1/2와 PARP 패밀리에 속하는 탄키라제(tankyrase, TNKS) 1/2를 함께 저해하는 항암제 후보물질이다. 온코닉은 기존 1세대 PARP 저해제에 대한 내성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으로 네수파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릴리 "폭풍", ‘경구 GLP-1’ 첫 3상 성공.."전세계 공급"
루닛, AACR서 ‘제넨텍·AZ’ 폐암 공동연구 등 “7건 발표”
J&J, 'mGluR2 조절제' 21년 파트너십 끝에 "권리반환"
핀테라퓨틱스, 'CK1α 분해약물' MSS 대장암 연구 "발표"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SYK 저해제' ITP 연구자 2상 "IND 신청"
차백신硏, ‘재조합 대상포진 백신’ 1상 “안전성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