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수그룹 계열사 이수앱지스는 19일 미국 뉴로사이언스 2021(Neuroscience 2021)에서 알츠하이머병 항체신약 후보물질 ‘ISU203’의 마우스 모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미국 신경과학회(Society for Neuroscience SFN)에서 주최하는 연례학술대회인 '뉴로사이언스 2021'은 매년 80여개국에서 3만여명의 관계자들과 노바티스, 사노피 등 500여개의 글로벌 기업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규모의 뇌신경과학 학회다. 이수앱지스는 이번 학회에서 ASM 타겟 항체에 의한 알츠하이머병 마우스모델에서의 아밀로
펩트론(Peptron)이 19일 줄기세포 기반 세포치료제 전문기업 테라베스트(Therabest)와 차세대 ‘CAR-NK’ 면역항암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펩트론은 MUC-1 발현 암세포 타깃 항체 ‘PAb001’의 CAR(Chimeric Antigen Receptor, 키메릭 항원 수용체) 기술과 테라베스트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유래 NK세포(Natural Killer Cell, 자연살해세포) 분화기술을 접목한 동종유래(allogenic) CAR-NK 세포치료제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차세대 면역항암제 연구개발 기업 넥스아이는 19일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팁스(TIPS,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프로그램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TIPS는 2013년 도입된 이스라엘식 인큐베이팅을 모델로 한 민간주도 창업지원 프로그램이다. TIPS 운용사가 먼저 자체적으로 심사를 거쳐 투자한 스타트업 중 창업팀을 선발하고, 연구개발(R&D) 비용 등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넥스아이는 팁스 운영사인 슈미트(Schmidt)의 추천으로 선정돼 약 5억원의 기술개발자금을 확보했다. 넥스아이는 올해 4월 설립된 바이오벤처기업으로 지놈앤컴
지놈앤컴퍼니(Genome&company)가 미국 자회사 리스트 바이오테라퓨틱스(List Biotherapeutics)를 설립하고, 미국 인디애나주 피셔스(Fishers) 시에 대규모 마이크로바이옴 생산시설을 건설한다고 19일 밝혔다. 지놈앤컴퍼니는 앞서 지난 10월 마이크로바이옴 위탁개발∙생산시설(CDMO) 사업에 집중하기 위해 미국 자회사 List Bio를 설립했다. 지놈앤컴퍼니는 List Bio가 미국 미국 피셔스에 위치한 Fishers Life Science & Innovation Park에 1만 8,000여 평 규모의 대규
JW중외제약은 19일 신테카바이오와 '인공지능(AI) 기반 혁신신약 개발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력으로 기존 공동연구 범위를 확장해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단백질을 타깃으로 하는 신약 후보물질을 공동으로 발굴한다. JW중외제약은 지난 2018년 신테카바이오의 약물 반응성 예측기술을 이용해 자체 개발 중인 신약후보물질의 바이오마커를 규명하는 연구협력 MOU를 맺은바 있다. JW중외제약과 신테카는 앞으로 질환 특이적 특정 단백질에 작용하는 신약 연구개발 과제를 공동으로 기획하고, 신테카바이오가
분자진단 헬스케어 전문기업 랩지노믹스는 18일 AI기반 유전자분석서비스 업체 제노코어BS의 지분 48.5%를 확보하면서 최대주주가 됐다고 밝혔다. 랩지노믹스는 NGS기반의 유전자검사 서비스를 제노코어BS에 제공하고, 제노코어BS는 AI 유전자 빅데이터 분석기반 솔루션서비스를 통해 B2B파트너사 확대에 집중한다. 인수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랩지노믹스 관계자는 “개인유전체분석 서비스(PGS)를 AI플랫폼 기술과 접목시켜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해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다. 제노코어BS는 현재 액체생검기반 유전자
RNA 치료제 플랫폼 기업 올리패스(Olipass)는 유럽 특허청으로부터 HIF1A(Hypoxia-inducible Factor 1 Alpha)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는 OliPass PNA 인공유전자에 대한 물질 특허를 취득했다고 19일 밝혔다. 해당 물질 특허는 전세계 주요 국가들에 출원되어 심사가 진행 중이다. HIF1A 단백질은 산소가 부족할 경우 발현되어 세포의 사멸을 막아주는 단백질로서 세포의 ‘산소 센서’로 알려져 있다. 고형암은 크기가 커짐에 따라 산소 공급이 부족하게 되고 HIF1α 단백질이 과다 발현되는데, 이때
이노큐어테라퓨틱스는 18일 TPD(Targeted Protein Degradation) 약물에 대한 국제특허(Patent Cooperation Treaty, PCT) 출원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노큐어가 특허출원한 물질은 자체 구축한 E3 ligase 바인더 라이브러리 플랫폼 기술 엘크빌(ELCBIL™)을 이용해 다양한 타깃 단백질들에 분해효과를 확인한 TPD 약물이다. TPD는 기존 저해제 약물과는 달리 체내 단백질의 분해 경로인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을 이용해 질병 원인 단백질을 직접 분해해 치료하는 기술이다. 이노큐어는
한미사이언스 컨소시엄에 참여한 코리컴퍼니는 18일 미국 펜실베니아대(University of Pennsylvania, Upenn)에서 스핀오프한 인피니플루딕스(Infini Fluidics)와 mRNA 백신 약물전달체인 LNP 구조체의 생산공정인 미세유체 공정(microfluidic process) 분야의 새로운 공법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기본합의서(Head of Agreement, HO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리컴퍼니는 연구와 벤처 투자, 신사업 인큐베이션 전문기업으로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2007년 홍콩에 본사를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이 AI 유방암 진단보조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Lunit INSIGHT MMG)'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정식 허가를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국내 유방암 검출 AI 솔루션이 FDA 허가를 획득한 첫 케이스다. 루닛 인사이트 MMG는 AI를 기반으로 유방촬영술(Mammography) 내 유방암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제품이다. 유방암이 의심되는 부위를 97%의 정확도로 검출해, 의심 부위의 위치 정보와 의심 정도를 수치로 표기해 의료진의 진단을 보조한다.
일동제약은 18일 일본 시오노기제약과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후보물질 ‘S-217622’을 국내에서 공동으로 개발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일동제약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S-217622의 국내 임상 2/3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받았다. 일동제약은 국내에서 무증상 및 경증/중등증 코로나19 환자 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바로 임상을 시작한다. 식약처 임상정보사이트 의약품안전나라에 따르면 임상기관은 인하대병원으로 내년 2월까지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일동제약은 국내에서 시오노기는 일본 및 싱가포
아이젠사이언스(AIGEN Sciences)가 17일 의학 및 생물학 분야 AI(인공지능) 국제 경진대회 ‘BioCreative VII’에 참가해 2개 트랙에서 각각 1등, 3등의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고 밝혔다. 올해로 7회를 맞는 BioCreative 대회 결과는 지난 8일~10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BioCreative VII 워크숍을 통해 공개됐다. 아이젠사이언스는 강재우 고려대 컴퓨터학과 교수가 지난 4월에 설립한 AI 기반 신약개발 회사다. ‘BioCreative’ 국제대회는 의생명 텍스트처리 인공지능 경진대회로 올해는 총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2년전 랩트 테라퓨틱스(RAPT Therapeutics)로부터 국내, 중화권 권리를 라이선스인한 CCR4 저해제 ‘FLX475’의 임상 결과를 첫 공개했다. FLX475는 면역을 억제하는 조절T세포(Treg)의 종양내 이동에 관여하는 케모카인 수용체 CCR4를 저해하는 경구용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이다. 한미약품은 미충족수요가 큰 위암을 타깃해 올해 5월 FLX475와 PD-1 항체 ‘키트루다(펨브롤리주맙)’를 병용투여하는 국내 임상2상을 시작했으며, 임상협력 계약을 통해 미국 머크(
신약개발 전문업체인 시선테라퓨틱스는 17일 혈뇌장벽(BBB) 투과전달체로 인공핵산(PNA)을 이용한 원천기술 'POLIGO'에 대한 확장특허를 국내 등록했다고 밝혔다. 시선테라퓨틱스에 따르면 원천기술인 POLIGO 국내 특허는 지난 2019년 3월 이미 등록된 상태로, 이번에 등록된 확장 특허는 BBB 투과전달체로서 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POLIGO 기술이다. 대부분의 ASO(Antisense Oligonucleotide) 치료제들이 BBB 등을 투과해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없는 한계점을 가진 반면 이번에 확장등록한
보로노이(Voronoi)가 미국 바이오텍 피라미드 바이오사이언스(Pyramid Biosciences)에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하는 MPS1 타깃 저분자화합물 'VRN08'와 추가 에셋(비공개)의 전세계 권리를 라이선스아웃했다고 17일 밝혔다. 보로노이는 피라미드로부터 마일스톤 기반으로 최대 8억4600만달러를 지급받게 된다. 단 계약금을 포함한 자세한 계약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MSP1(monopolar spindle1)은 종양세포 분열에 관여하는 세포주기(cell cycle) 조절인자다. VRN-08은 MPS1 인산화효소를 억
SK는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유전자∙세포 치료제(Gene and Cell Therapy, GCT) 생산전문 CDMO인 CBM(The Center for Breakthrough Medicines) 투자를 위한 독점 협상을 진행중이며, 연내 계약 체결 및 딜 클로징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는 SK가 지난 3월 프랑스 유전자∙세포 치료제 CDMO 이포스케시(Yposkesi) 인수 후 약 8개월만의 추가적인 유전자∙세포 치료제 생산시설 투자 추진 건이다. SK는 바이오 CMO 사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합성과 바이오 부문에서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사노피 "또", '자가면역 이중항체' 18.45억弗 사들여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삼성바이오, 창립 14주년 "3대축 확장..글로벌 톱티어"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리제네론, ‘고용량 아일리아’ 투약간격↑ “FDA 거절”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포트래이, 공간생물학·AI융합기술 11건 “AACR 발표”
삼성바이오, 1Q 매출 1조2983억 "전년比 37%↑"
다안바이오, GC셀에 고형암 ‘CAR-T/NK 항체’ L/O
퍼스트바이오, 'HPK1 저해제' 메커니즘 "AACR 발표"
SK바사, 모더나 'mRNA 제조' 특허소송서 "승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