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 동아ST)와 온코빅스(ONCOBIX)는 지난 23일 ‘신규 표적항암제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다만 계약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계약에 따라 두 회사는 공동으로 새로운 후보물질 도출을 목표로 하며, 이후 전임상 시험과 임상개발은 동아에스티가 담당할 예정이다. 또한 동아에스티와 온코빅스는 신규 표적항암제 개발을 위해 연구자료/정보공유, 연구장비와 시설활용, 개발동향 등에 관한 정보 공유 등 부문에 협력하기로 했다. 양승민 동아에스티 신약연구소
에스티팜(ST Pharm)은 29일 mRNA 분자를 지질나노입자(Lipid Nano Particle, LNP)로 캡슐화한 백신 원액의 대량생산을 위해, 포스텍 지능형 미세유체 의약합성 연구단과 미세유체공학 기술(microfluidics technology)을 적용한 LNP 구조체의 제조장치 및 공정기술 개발에 관한 자문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에스티팜은 향후 2년간 포스텍 연구단의 자문을 받아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결과물 및 지적재산권은 에스티팜과 포스텍 연구단이 공동으로 소유하게 되며, 연구기간 중 또는 만
한미약품의 주1회 투여하는 장기지속형 GLP-1 수용체 작용제(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 agonist) ‘에페글레나타이드(efpeglenatide, efpeg)’가 제2형 당뇨병 환자 4076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임상3상 결과에서 주요 심혈관계 질환(MACE)과 신장질환 발생율을 유의미하게 줄인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에페글레나타이드는 사노피가 지난해 9월 한미약품으로부터 라이선스인한지 5년만에 권리를 반환했던 약물이다. 당시 폴 허드슨(Paul Hudson) 대표가 취임하면서 당뇨·심혈관
이수앱지스(Isu Abxis)는 28일 삼성증권, 신한은행, KB증권, 중소기업은행 등을 대상으로 8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수앱지스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바이오 혁신신약 개발에 사용할 예정이다. 이번에 발행한 사모CB의 만기일은 2026년 6월 30일이며 전환가액은 1만6150원, 시가하락에 따른 최저 조정가액은 1만1350원이다.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수는 495만3547주로 이는 총 주식수의 14.9%를 차지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식품의약품안전처(MFDS)에 코로나19(COVID-19) 백신 후보물질 'GBP510'의 임상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28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임상3상은 건강한 성인 4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다기관, 활성대조, 무작위배정 임상이다. 임상3상에서 GBP510 2회 접종 후 면역원성, 안전성을 평가하게 된다. 임상은 고려대 구로병원을 포함해 14개 기관에서 진행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내 외에도 유럽, 동남아시아 지역 등 다국가에 임상시험계획을 신청할 예정이다. 회사는 내년 상반
일동제약은 25일~29일까지 개최되는 미국 당뇨학회(ADA 2021)에서제2형 당뇨병치료제 후보물질 ‘IDG16177’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IDG16177은 췌장 베타세포의 GPR40 작용제로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고 혈당을 조절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발표에 따르면 IDG16177은 대조약물인 ‘파시글리팜(fasiglifam)’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파시글리팜보다 100배 낮은 농도에서도 인슐린의 분비를 유도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 IDG16177은 파시글리팜보다 약동학적(PK) 측면에서 약물
JW중외제약 28일 일본 킷세이제약과 혈소판 감소증 치료제 ‘포스타마티닙(Fostamatinib)’의 국내 개발 및 판매에 관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미국 라이젤 파마슈티컬(Rigel Pharmaceuticals)이 개발한 포스타마티닙은 지난 201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이전 치료로 효과가 없는 모든 면역성 혈소판감소증(immune thrombocytopenic purpura, ITP)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을 받았다. 현재 미국에서 ‘타발리스(Tavalisse)’라는 제품명으로 판매중이다. 킷
면역세포치료제 연구개발 바이오텍 바이젠셀(ViGenCell)이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28일 밝혔다. 바이오젠셀은 기술특례 상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코스닥 기업공개(IPO)에 본격 들어가게 된다. 바이젠셀의 총 공모주식수는 188만6480주로, 주당 공모 희망가는 4만2800~5만2700원이다. 회사는 이번 공모를 통해 807억~994억원을 조달할 예정이다. 바이젠셀에 따르면 공모자금은 연구개발, 시설자금, 운영자금 등에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기술 고도화 및 임상 개발을 통한 파이프라인 경쟁력 강
한국제약바이오협회(KPBMA)는 29일 오전 11시 30분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 출범식이 온라인으로 개최된다고 28일 밝혔다. 출범식에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과 권순만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장,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한미약품·에스티팜·GC녹십자 등 컨소시엄 참여 3개사 대표이사와 KIMCo(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대표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행사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생중계할 예정이다(접속 링크 바로가기).
휴온스글로벌은 28일 1회접종 방식의 러시아 코로나19 백신 ‘스푸트니크 라이트’ 국내 생산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휴온스글로벌을 주축으로 하는 휴온스글로벌 컨소시엄이 최근 러시아국부펀드(RDIF)와 스푸트니크 라이트 국내 생산에 대한 최종논의를 거친 결과다. 스푸트니크 라이트는 러시아 보건부 산하 가말레야 국립 전염병·미생물학센터가 개발한 1회 접종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이다. 현재까지 러시아, 키르키스탄, 베네수엘라, 몽골에서 승인받았다. 스푸트니크 라이트는 스푸트니크V와 동일하게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하며 1회만 접종하면
inno.N은 28일 중국 제약사 뤄신(Luoxin Pharmaceuticals)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K-CAB, tegoprazan)’의 주사제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으로 inno.N은 뤄신으로부터 기술료 및 단계별 로열티를 받으며 뤄신은 중국에서 케이캡 주사제의 개발, 허가, 생산 및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갖게됐다. 계약금액은 밝히지 않았다. inno.N은 지난 2015년 뤄신에 케이캡의 정제(알약)에 대한 기술수출을 했으며 이번 계약으로 주사제 기술수출까지 하게 됐다. 주사제는 알
툴젠은 28일 호주 카데릭스(CARtherics)에 CRISPR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한 CAR-T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이전 계약은 툴젠의 유전자교정 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고형암 및 혈액암에서 발현되는 마커인 TAG-72 항원에 대한 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는 권리에 대한 것이다. 계약에 따라 툴젠은 카데릭스의 일정 지분을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으로 수령하고 이에 더해 임상단계 개발 및 사업화에 따른 판매 마일스톤으로 총 약 1500억원을 받게 된다. 또 로열티도 별도로 지급받는다. 카데릭스는 툴젠의 Sty
카이노스메드는 28일 중국 파트너사 장수아이디(Jiangsu Aidea Pharmaceuticals)가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에이즈 치료제(ACC007, KM023)의 판매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ACC007은 테노포비르(TDF), 라미부딘(3TC)과 함께 처방하는 방식의 경구용 에이즈 치료제다. 카이노스메드는 ACC007을 임상 1상까지 개발한 후 2014년 장수아이디에 기술이전했다. 장수아이디는 지난해 ACC007의 임상 3상을 마친 후 NMPA에 신약허가신청서(NDA)를 제출했다. 회사 관계자는 “에이즈
동아에스티는 25일부터 29일까지(현지시간)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1에서, 제2형 당뇨병치료제 후보물질 ‘DA-1241’의 미국 임상1b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미국 당뇨병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권위있는 당뇨병 관련 국제학회로서 작년에 이어 올해도 비대면으로 개최됐다. DA-1241의 미국 임상1b상 결과는 ADA 2021 등록자에 한해, 학회 웹사이트 내 e-포스터 세션에서 포스터 및 초록을 확인할 수 있다. DA-1241은 GPR119 작용제(agonist) 기전의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BBT-877의 향후 개발 계획과 관련하여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C타입 미팅(Type C Meeting)의 서면 회신을 수령했다고 28일 공시했다. C타입 미팅은 신약 개발 과정에서 임상시험 개발사 요청에 의해 진행되는 회의다. BBT-877은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로 개발하는 오토택신 저해제(autotaxin inhibitor)다. 2년전 베링거인겔하임에 기술이전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오는 28일부터 30일(미국 동부 표준시간)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제3회 Blood-Brain Barrier Summit(BBB Summit)에서 뇌투과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B’를 발표한다. BBB Summit은 산업계와 학계 관련 종사자가 모여 중추신경계 치료제 개발에 있어 가장 큰 장벽으로 꼽히는 혈액뇌장벽 투과에 대해 발표하고 토론하는 글로벌 컨퍼런스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아시아 소재 기업중 유일하게 공식 초청받은 기업으로 로슈(Roche)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노보노, ‘경구 GLP-1’ 비만3상 2년만에 “美 허가신청”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비아이케이, TOP1 기반 '인테그린 PDC' AACR서 "공개"
BMS "기대", ‘코벤피’ 후속 조현병 3상 “실패”..포기안해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셀트리온, '짐펜트라' 3상 102주 연장연구 "논문 게재"
루닛, 日NCCE와 'AI' 엔허투 효능 등 “ASCO 12건 발표”
HK이노엔, '케이캡' 美3상 "1·2차 종결점 모두 도달"
포트래이, 공간생물학·AI융합기술 11건 “AACR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