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웅제약은 21일 디앤디파마텍과 경구용 펩타이드·단백질 의약품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대웅제약과 디앤디파마텍은 다양한 펩타이드·단백질 의약품을 경구제로 개발할 예정이다. 양사가 후보물질을 선정해 디앤디파마텍이 제형을 만들면 대웅제약이 고형화 및 GMP를 생산한다. 임상개발 및 상업화는 디앤디파마텍은 미국 및 유럽에서, 대웅제약은 그 외 전 세계 지역에서 각각 진행한다. 개발비용 부담과 개발성공에 따른 상업화 및 라이선스아웃 수익은 모두 양사가 절반씩 나눈다. 상세 계약금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펩타이드·
딥노이드는 21일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코스닥 상장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딥노이드의 총 공모주식수는 30만주로 희망공모가 밴드는 3만1500~4만2000원으로, 공모규모는 94억5000만~126억원이다. 오는 7월14~15일 양일간 수요예측과 21~22일 청약을 거쳐 7월말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KB증권이다. 상장 후 딥노이드는 자체적인 AI 솔루션 개발을 지속하는 한편, 의료인의 AI 개발 참여를 적극 유도해 의료 AI시장 내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서울대병원
GC녹십자가 1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사모투자 합자회사에 670억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GC녹십자는 사업확대를 목적으로 포휴먼라이프 제1호 사모투자 합자회사의 지분 60.2%를 취득한다. 취득예정일자는 6월 22일이다. 포휴먼라이프 제1호 사모투자 합자회사는 모하비인베스트먼트, 스톤라인에쿼티파트너스가 대표자로 주요 사업은 금융업이다.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영국 익수다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와 회사의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 플랫폼 기술의 확장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앞서 지난해 4월 익수다는 레고켐바이오의 ADC 링커/톡신 플랫폼을 활용한 3개 타깃에 대한 글로벌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어 이번 확장계약을 통해 익수다는 추가 3개 타깃에 대한 권리를 부여받아 총 6개 타깃에 대한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기존 계약에 포함되어 있
지노믹트리는 18일 코로나19 분자진단키트 ‘AccuraDTectTM COVID-19 RT-qPCR Kit’의 제조허가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획득했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번에 제조를 받은 제품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 후 세포 내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N 유전자와 리더서열 부위를 타깃으로 하고 있으며 대조유전자와 하나의 튜브에서 동시에 분석할 수 있도록 디자인돼 민감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바이러스 지놈(genome) 최종 상단에 위치하는 리더 서열은 코로나19 바이러스 증식 및 전사발현에 필수적인 서열로 변이가 거의 일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이사 사장은 18일 열린 창립 95주년 기념식에서 "100주년을 불과 5년앞둔 시점에서, 국내 1위를 넘어 글로벌 50대기업이 되겠다는 목표로 힘차게 나아가자"며 “현재 회사가 집중하고 있는 신약과제들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물론, 올해 하반기 출시를 앞두고 있는 '렉라자'를 국내시장에 안정적으로 런칭시키고 글로벌 임상을 차질없이 진행시켜 글로벌시장에 출시,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육성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사장은 이날 오전 서울 대방동 본사 대강당에서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95주년 기념행사를
바이오니아는 18일 충남 남공주 산업단지개발과 공장용지를 123억여원에 분양받는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바이오니아는 신소재 및 신약 공장 건설에는 분양가를 포함해 향후 5년간 총 830억여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발표에 따르면 바이오니아는 이번에 확보한 공장부지 6만여㎡(1만8,157평)에서 SAMiRNA 원료약품과 구리나노선(nanowire)을 양산하기 위한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SAMiRNA는 염기서열 20개 안팎의 siRNA 양끝에 각각 친수성·소수성 물질을 결합한 나노입자형 siRNA 신약 플랫폼이다. 인체에서 쉽게 분
아미코젠(Amicogen)은 18일 자회사 ‘퓨리오젠’ 설립을 통해 레진 생산의 100% 국산화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아미코젠은 레진 합성기술 경험과 공정개발 및 생산공장 셋업 노하우를 가진 전문인력 6명을 영입해 자회사 퓨리오젠을 설립했다. 아미코젠 관계자는 “올해말까지 현재 도입중인 레진 생산기술을 기반으로 공정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며 생산공장 부지 선정을 진행중에 있다”고 말했다. 아미코젠은 단백질 정제기술을 차세대 바이오 핵심기술로 선정해 2017년 스웨덴 레진 전문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웍스(Bio-Wor
제 12회 바이오파마테크콘서트가 오는 24일(목) 서울 서초구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강당에서 개최된다. 총 7가지 유망 기술을 소개하고 관련 연구자, 기업, 투자자간 파트너링을 통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논의한다. 이번에 12회를 맞게 되는 바이오파마테크콘서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바이오스펙테이터가 공동주관한다. 이번 행사는 오프라인 뿐 아니라 온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다. 각 기술별로 20분간 발표 후 개별 파트너링이 진행된다. 사전 접수와 파트너링 신청은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기술설
셀트리온은 18일 코로나19 항체 ‘렉키로나(CT-P59)’의 남아공변이형(베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동물효능시험 결과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코로나19에 감염된 마우스 모델 50마리를 대상으로 렉키로나를 투입한 결과 약물을 투입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렉키로나 투여군에서 바이러스 역가가 감소하고 체중 감소도 개선되는 등 임상적 효과를 확인했다. 특히 이전에 진행된 페렛(Ferret) 시험에서 사용한 용량보다 낮은 용량에서도 효능이 입증돼 렉키로나의 중화능을 확인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또 생존
오스코텍(Oscotec)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고형암 대상 AXL 저해제 'SKI-G-801'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SKI-G-801은 AXL 인산화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해 암 전이를 막고, 종양미세환경에서 항암 면역 반응을 활성화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오스코텍은 조병철 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여러 종양모델에서 종양미세환경내 항원제시세포를 활성화하고, 면역세포를 늘려 항종양효과와 전이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또한 면역항암제와 시너지 효과도 확인했다. 오스코
휴젤(Hugel)이 17일 최대주주가 지분매각을 검토중이라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는 휴젤의 신세계백화점 피인수 보도에 대해 사실여부 및 구체적인 내용을 밝히라는 거래소의 조회공시요구에 대한 답변이다. 공시에 따르면 휴젤 최대주주는 지분매각에 대해 검토중에 있고, 현재까지 구체적인 사항은 아직 정해진바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휴젤은 향후 구체적인 사항이 결정되거나 확정되면 재공시할 예정이다.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CHA vaccine institute)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3세대 B형 간염 예방백신 후보물질 ‘CVI-HBV-002’에 대한 임상1상 시험계획서(IND) 승인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임상은 만 19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을 대상으로 2023년 10월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차백신연구소는 임상을 통해 CVI-HBV-002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CVI-HBV-002는 3세대 항원인 L-HBsAg과 차백신연구소에서 개발한 면역증강제 L-pampo™를 포함하고 있다
큐라클(Curacle)이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15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큐라클의 총 공모주식수는 213만 3333주이며 제시한 희망 공모가 밴드는 2만~2만5000원이다. 오는 7월 7~8일 양일간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13일과 14일 일반청약을 받는다. 상장은 7~8월 중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상장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큐라클은 혈관 내피기능장애 치료제 개발에 특화된 ‘SOLVADYS®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당뇨병성 황반부종(CU06-RE), 당뇨병
빅데이터∙AI 기반 신약개발 회사 카이팜(Kaipharm)이 전사체 기반의 신약발굴 서비스(KMAP 서비스)를 오픈하기 위해 차세대 염기서열(NGS) 생산 및 분석업체 디엔에이링크(Dnalink)와 협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카이팜은 대규모 약물 유도 전사체(KMAP 데이터)와 후보물질 예측 및 기존 약물의 새로운 적응증을 제안할 수 있는 자체 알고리즘을 확보하고 있다. 카이팜은 이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KMAP 서비스가 고객이 제공하는 약물의 작용기전을 전사체 수준에서 해석하고, 타깃을 유추하거나 후보물질의
SK바이오팜(SK Biopharm)이 독자 개발한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가 유럽시장에 출시됐다고 16일 밝혔다. SK바이오팜의 파트너사 안젤리니파마는 세노바메이트가 ‘온투즈리TM(Ontozry®)’라는 제품명으로 6월초 독일에서 첫 발매됐다고 발표했다. 세노바메이트는 지난해 미국에서 '엑스코프리(Xcopri®)'라는 제품명으로 출시된데 이어 1년만에 유럽시장으로 진출하게 됐다. 독일은 유럽 최대 규모의 제약시장으로 유럽 진출의 전초기지로 손꼽힌다. 글로벌 리서치기업인 디시전 리소스 그룹(Decision Resources G
브릿지바이오, 5일 연속 하한가後 "하한가 탈출"
에이비엘, 'DLL4xVEGF' 담도암 1차 임상 "첫 환자 투여"
AZ '엔허투', 이제 유방암 1차까지 진전 "3상 또 히트"
노보노, ‘경구 GLP-1’ 비만3상 2년만에 “美 허가신청”
오스코텍, "ploidy 전략 첫선" 'NUAK1/2 저해제' 공개
비아이케이, TOP1 기반 '인테그린 PDC' AACR서 "공개"
BMS "기대", ‘코벤피’ 후속 조현병 3상 “실패”..포기안해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FNCT, 新접근 ‘CSF3 타깃’ IPF 도전 “자신하는 이유”
Orum Therapeutics Names Sang-Hyun Lee Head of Research for New DAC Payload
오름테라퓨틱, 이상현 연구소장 영입..'DAC 페이로드'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루닛, 日NCCE와 'AI' 엔허투 효능 등 “ASCO 12건 발표”
HK이노엔, '케이캡' 美3상 "1·2차 종결점 모두 도달"
포트래이, 공간생물학·AI융합기술 11건 “AACR 발표”
삼성바이오, 1Q 매출 1조2983억 "전년比 37%↑"